$\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정감과 리듬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stening to Music for the Children's Development of Tone Recognition & Sense of Rhythm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1 no.10 = no.188, 2003년, pp.75 - 84  

엄정애 (이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김경남 (구미동아유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listening to music during musical activities on children's development of tone recognition and sense of rhythm. The subjects were total sixty 4-years-olds from two classes of thirty.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and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만 4세아 유아들을 대상으로 음악 감상 활동을 체계적으로 실시하여 유아의 음정 감과 리듬감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음악 감상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음악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 기관 현장에서 음악 감상 활동을 체계적으로 실시함으로서 음악 감상이 유아의 음정감과 리듬감으로 이루어진 음악적 잠재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001). 음악 감상 활동을 체계적으로 실시한 집단의 유아들이 음악 감상 활동을 실시하지 않은 집단의 유아들보다 음정감이 더발달될 것이라는 가설 1은 수용.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곽이정(1999). 유치원 음악교육 실태 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부(1998).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8-10호 

  3. 교육부(2000).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권미란(2000). 음악감상활동에서 신체표현이 유아의 창의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경애(2000). 음악감상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미숙(2000). 체험적 음악감상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성균(1998). 듣기를 통한 유아교육. 서울: 김성균유아음악교육연구 

  8. 김성희(1996). 음악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개념 및 그림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영아(1999). 음악감상을 통한 통합적 유아 Program의 개선방안.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우숙(1996). 유아의 음악청취력 향상을 위한 분석적 감상수업의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춘희(1994). 포괄적 음악교육접근이 5세 유아의 음악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현영(2001). Gordon의 음악학습이론에 근거한 음악감상활동이 유아의 음감과 리듬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노원숙(1997). 개념적 접근법에 의한 음악 학습활동이 유아의 음감 청취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신정자(1998). 음악감상에 기초한 포괄적인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안재신(1996). 유아음악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6. 유애경(1985). 유아의 음악환경과 음악능력발달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숙현(1992). 효율적인 음악감상지도 방안의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유영(2001). 음악활동의 통합적 접근이 유아의 음악적 잠재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홍수(1990). 음악교육의 현대적 접근.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20. 이홍수(1997). 유아 음악교육의 이해 및 실제. 한국유아교육협회 제 33회 유아교육 교사연수회 자료집 

  21. 장길자(1997). 음악감수성 개발을 위한 유아기의 듣기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전경숙(1999). 지각적 감상수업이 유아의 음악청취력과 음악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조영주(1999). 창의적인 음악감상학습. 공동육아, 5(7) 

  24. 황은영 (2001). 신체표현을 사용한 음악감상이 만 5세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숙명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Andress, B. (1980). Music Experience in Early Childhood.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26. Gordon, E. E. (1986). Manual for the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and intermediate measures of music audiaiion. Chicago: GIA Publication 

  27. Gordon, E. E. (1989). Audie. Chicago: GIA Publication 

  28. Gordon, E. E. (1997).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and young children. Chicago : GIA Publication 

  29. Greenberg, M. (1985). Your children need music: A Guide for parents and teachers of young children. 이기숙, 김영주(역). 서울: 교문사 

  30. Jenkins, M. D. (1976).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parents' musical experienced and the musical development of two and three year old girls.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Urbana-Campaign, Illinois 

  31. Leonhard, C., & House, R. W. (1972). Foundations and principles of music education. New York: McGraw-Hill 

  32. Morrow, L. (1983). Home and school correlates of early interest in literatur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6, 221-230 

  33. Perry, J. C. (1993). Music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 Spodek(Ed.).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pp.207-224). New York: Macmillan Publi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