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디자인에 있어서의 환경친화와 Green Amenity의 역할에 관한 연구 - 그린(Green Materials)을 이용한 에콜로지디자인을 중심으로 -
Role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 & Green Amenity in Space Design - a focus on ecology designs using green materials - 원문보기

디자인學硏究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v.16 no.1, 2003년, pp.137 - 148  

이정민 (홍익대학교 대학원 디자인 공예학과 공간디자인학 전공)

초록

21세기는 유기체적 세계관의 발달과 함께 환경친화적 접근이 조형계에서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제 환경친화디자인은 단순히 환경보호적인 차원을 넘어 인간과 기술, 환경이 함께 호흡하는 유기체적인 환경친화, 환경과의 일치의 개념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현대에 발전하고 있는 환경친화디자인의 유형, 즉 자연보호적인 접근이 중심이 된 입장과 인간과 환경의 친화관계 회복이 중심이 된 입장의 두 가지 환경친화디자인 유형을 조사하고 이의 필요성과 Green Amenity에 의거한 기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중에서 단절된 인간과 자연환경의 유기적 연결성을 강조하는 환경친화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어 이에 해당하는 공간 디자인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간이 소원하는 삶과 환경에는 편리함과 관련된 기술적 물리환경 뿐만이 아니라 생물적 소산을 이용한 자연친화적 구상이 필요함을 논증해 보고자 한다.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이런 접근은 인간과 자연의 단절된 친화관계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렇게 인간과 자연의 친밀감이 회복될 때에 자연보호를 위한 인간의 노력도 유기체적 방향성을 가지고 바람직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vironment-friendly design becomes one of the main issues of the contemporary design. It has been developed with the advent of the organic view of the wend. It started as the environment-protective orientation and then enlarged its boundary including the designs which aims to revive the organic r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장은 결론으로서 각 장의 연구 성과들을 요약하고 생물적 소산을 이용한 디자인이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상생관계를 회복시키는 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최종적으로 정리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4장에서는 앞에서 논의된 인간과 자연의 단절된 친화관계 회복을 위한 디자인적 접근의 한 표현으로 현재 공간디자인 에서 나타나고 있는 그린(Green Material)을 이용한 에콜로지디자인 사례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고의 중점 주제는 환경친화 디자인의 확대된 개념과 이의 필요성, 역할에 대한 논의와 증거제시에 있으므로 이 사례들의 제시는 본고의 주장이 현재 공간 디자인계에서는 어떤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소개하는 것으로 제한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분류와 깊이 있는 사례 분석은 후속 연구로 남기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고는 현대에 발전하고 있는 환경친화 디자인의 유형을 조사하고 이의 필요성과 Green Amenity에 의거한 기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중에서 단절된 인간과 자연환경의 유기적 연결성을 강조하는 환경친화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어 이에 해당하는 공간 디자인 작품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 환경친화디자인의 개념과 유형, 필요성과 기능들을 연역적으로 추출, 정리한다. 그리고 이 논거들을 뒷받침할 수 있는 과학적 연구 성과들을 제시함으로써 본고의 주장을 객관적인 논의로 전개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본고는 현대에 발전하고 있는 환경친화 디자인의 유형을 조사하고 이의 필요성과 Green Amenity에 의거한 기능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 중에서 단절된 인간과 자연환경의 유기적 연결성을 강조하는 환경친화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어 이에 해당하는 공간 디자인 작품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간이 소원하는 삶과 환경에는 편리함과 관련된 기술적 물리환경 뿐만이 아니라 생물적 소산을 이용한 자연친화적 구상이 필요함을 논증해보고자 한다.
  • 이를 통해 종래의 인간만을 위한 디자인 접근이나 환경보호만을 강조하여 인간의 욕구를 무시한 디자인 접근에서 벗어나서 인간과 환경의 매개를 위한 디자인적 접근의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에콜로지 디자인의 기능을 환경적 기능과 인간적 기능으로 분석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4장에서는 앞에서 논의된 인간과 자연의 단절된 친화관계 회복을 위한 디자인적 접근의 한 표현으로 현재 공간디자인 에서 나타나고 있는 그린(Green Material)을 이용한 에콜로지디자인 사례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렇게 인간과 자연의 친밀감이 회복될 때에 자연보호를 위한 인간의 노력도 유기체적 방향성을 가지고 바람직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이 소원하는 삶에는 편리함과 관련된 기술적 환경뿐만이 아니라 생물적 소산을 이용한 자연친화적 구상이 필요하다는 것도 논증하였다. 본문에서 언급한 연구들 외에도 여러 연구들을 통해 식물을 가까이 두는 것이 인간의 정신 및 육체 건강에 유익하다는 것은 이미 증명된 사실이다.
  • 본고는 본문에서 연구한 환경 친화의 두 가지 개념 중에서 단절된 인간과 자연환경의 관계가 회복되고 인간의 삶의 방식 자체가 자연과의 유기적인 연결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목적인 에콜로지 디자인에 중점을 두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렇게 인간과 자연의 친밀감이 회복될 때에 자연보호를 위한 인간의 노력도 유기체적 방향성을 가지고 바람직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 즉 자연의 우위에 선정복자의 위치가 아닌 자연의 영향력 하에 있는 겸허한 위치로서의 인간성 회복에 도움을 줄 것이다. 본고는 에콜로지 디자인이 미치는 이런 긍정적인 심리적, 생리적,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논의를 중점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 이 절에서는 에콜로지 디자인의 필요성을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환경적 측면의 필요성은 주로 그린 디자인의 입장에서 환경 파괴를 방지해야 할 필요성을 언급한 것이지만 결국 이런 그린 디자인이 인간의 삶에서 자연스럽고 당연한 가치가 되기 위해서는 에콜로지 디자인 환경의 창출이 필요하다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 그리고 이 중에서 단절된 인간과 자연환경의 유기적 연결성을 강조하는 환경친화 디자인에 초점을 맞추어 이에 해당하는 공간 디자인 작품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간이 소원하는 삶과 환경에는 편리함과 관련된 기술적 물리환경 뿐만이 아니라 생물적 소산을 이용한 자연친화적 구상이 필요함을 논증해보고자 한다. 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이런 접근은 인간과 자연의 단절된 친화관계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렇게 인간과 자연의 친밀감이 회복될 때에 자연보호를 위한 인간의 노력도 유기체적 방향성을 가지고 바람직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 환경친화디자인, 특히 에 콜로지 디자인의 필요성과 기능을 분석하는 데 환경적 측면, 인간적 측면, 인간과 환경의 조화를 위한 매개의 측면에서 검토한다. 이를 통해 종래의 인간만을 위한 디자인 접근이나 환경보호만을 강조하여 인간의 욕구를 무시한 디자인 접근에서 벗어나서 인간과 환경의 매개를 위한 디자인적 접근의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에콜로지 디자인의 기능을 환경적 기능과 인간적 기능으로 분석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 이장은 본고의 중점 논의 대상으로, Green Amenity에 기반한 에콜로지 디자인의 필요성과 기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과학적 증거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사라짐(being away) ; 자연환경은 스트레스가 쌓이는 조건과는 달리 탈출, 휴식, 추억 등에 대한 느낌을 증진시 킨다.
  • Jung)이 말한 바와 같이 인간은 의식의 상태보다는 무의식의 상태에서 삶의 더 많은 부분을 보내기 때문에 무의식의 내용을 구성하는 인자들 중의 하나인 환경은 인간의 삶에 있어 중요한 대상이 아닐 수 없다.16) Berleant가 주장하는 것처럼 인간이 자연에 대해 갖게 되는 가치 판단이나 경험, 행동은 일반적으로 생각되어지는 것처럼 '주관적(subjective)'인 것이 아니라 대부분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성격을 가진 것이다.17) 즉 자신이 속한 사회적, 문화적 환경이 제공하는 경험에 의해 자연에 대해 '학습된'태도, 신념, 행동체계를 가지게 된다는 것이다.
  • 이드(formaldehyde), ) 37ppm을 8ppm까지 감소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20) 둘째, 실내의 습도 및 온도조절 효과가 있다. 잎의 기공을 통하여 수분을 방출함으로써 주위 환경의 습도를 조절하며 이때 방출되는 수분의 잠열로 주위 온도를 조절한다.
  • 과거에는 에너지의 전환속도가 완만했기 때문에 전환된 에너지가 효율을 가질 시간 여유가 있었으나 오늘날은 그 전환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기 때문에 에너지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결국 고갈되어 가 고 있다는 데 문제가 있다. 넷째, 상호 의존성이다. 한 유기체가 계속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른 유기체들의 기능과 상호 관련되어 있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