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실을 이용한 알콜 발효의 최적 조건
Optimum Condition for Alcohol Fermentation Using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4, 2003년, pp.539 - 543  

손상수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지원대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정현채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실을 사용하여 알콜을 생산하기 위하여 당농도, 발효온도, 발효시간의 3변수와 5수준의 fractional factorial design으로 RSM computer program을 사용하여 최적 발효조건을 조사하였다 알콜함량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R^2$는 0.9276으로 높게 나타났다. 당농도 8.39%, 발효온도 28.86$^{\circ}C$에서 3.84일간 발효하는 것이 알코올 생성을 위하여 가장 양호하였으며, 이 조건에서의 알코올 생성 예상치는 5.24%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oduce alcohol from Mume (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fermentation conditions were optimized by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using the fractional factorial design with 3 variables and 5 levels.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of response surface regression equ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독립 변수를 당 농도, 발효 온도 및 발효 시간으로 하고, 반응 변수를 알콜생성량으로 하였을 때 그 변화 정도를 반응표면으로 살펴보았다. 각각 당 농도와 발효 온도, 당 농도와 발효 시 간, 발효 온도와 발효 시간을 함수로 하여 등고선을 그려본 결과, 반응변수에 따른 조건이 일치하지 않아 세 가지의 실험변수 중 가장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난 발효시간을 고정 시 키고 당 농도와 발효 온도 간의 최적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발효 시간의 중간값을 4일로 정한 후 당 농도와 발효 온도만을 변수로 하여 분석을 행한 결과 그 변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반응 표면과 contour map을 나타낸 결과는 각각 Fig.
  • 이에 본 연구는 매실이 가진 여러가지 우수한 효능으로 인하여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들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삶의 질을 높여주는 식문화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새로워지고 있는 현실에 따라, 매실의 약리적 기능성이 함유되고 기 호성이 우수한 매실 발효식품을 개발하여 산업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기반을 구축할 목적으로 반응표면분석 법으로 매 실을 사용한 알콜생성의 발효 조건을 조사하였기에 보고 하 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Shim KH, Sung NK, Choi JS, Kang KS. 1989. Changes in 

  2. Bae JH, Kim KJ, Kim SM, Lee WJ, Lee SJ. 2000. Development 

  3. Lee EH, Nam ES, Park SI. 2002. Characteristics of curd 

  4. Kim YD, Kang SH, Kang SK. 1996. Studies on the acetic 

  5. Jeong YJ, Kim KE, Shin JS, Jo HS, Lee OS. 2002. Monitoring 

  6. SAS. 1999. SAS/STAT User's guide version 8.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7. Kim HJ, Ryu YW. 1989. The conditions affecting ethanol 

  8. Hur Bk, Kim HS, Mok YI. 1989. Functional relationship 

  9. Yang JY, Park KH, Park UH, Yu JH. 1990. Screening and 

  10. Kim DH, Lee JS. 2000. Vinegar production from subtropical 

  11. Jeong YJ, Seo JH, Lee JB, Jang SM, Shin SR, Kim KS. 2000. 

  12. Kim SL, Kim WJ, Lee SY, Byun SM. 1984. Alcohol fermentation 

  13. Park YK, Jung ST, Kang SG, Park IB, Cheun KS, Ka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