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상태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 on Health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3 no.2, 2003년, pp.220 - 227  

박정모 (경인여대 간호학과) ,  한신희 (경인여대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n exercise program on th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exercise program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2 elderly over a 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노인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 상태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 본 연구는 유사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이며 실실험 처치는운동프로그램이 다 설계모형 온<Table 1> 과 같다
  • 수십 된 자료의 분석 온 일반적 특성의 동질성 검증과 건강 상태 및 우울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於 ANOVA 및 t-test 로 분석하였으며 각 군에서 운동 프로그램실시와 전화 상담 전 , 후의 차이 검증을 위해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실시한 프로그램의 차이 검증을 위해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그 지역의 노인들의 신체적, 정서적 건강 상태를 조사하고 그들에게 알맞온 프로그램 을 개발하여 그 운동의 효과를 측정할 필요성을 느낀 것 온 물론 대조군에서도 비용 절감 측면에서 건강상담과 운동 실시에 대한 정기적인 전화 관리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운동실시에 대한 동기부여를 시도하여 실험군과 차이를 검증하여 보는 것이 의의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전화상담의 효과에 대하여서는 운동에 적용한 것 온 없었으나 당뇨환자에게 적용하여 자가간호점수가 증가하였다(Kim & Jung, 2002)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성 상담을 하는 경우 등 자신의 노출을 꺼리는 경우에는 전화상담을 흔히 시행하고 있다. 이 외에도 Nomi an et aL(1993)온 대상자들에게 엽서를 보내는 것이 건강검진 참여율 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행동의 계기를 제공하는 것이 건강증진행위 변화에 영향옾 미치는 것을 화인하였다따라서 직접 운동실행을 시킴으로서 운동의 효과를 측정하는 것과 전화를 통한 간접적인 완리상담의 효과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ww.kihasa.re.kr/statistics information (2002) 

  2. Braith, R. W., Pollock, M. L., Lowenthal, D. T., Graves, J. E., & Limacher, M. C. (1994). Moderate and high-intensity exercise lowers blood pressure in normotensive subjects 60 to 79 years of age. Am. J. of Cardiol, 73, 1124-1128 

  3. Cho, E. H., Jeon, J. H., Lee, S. W. (2000). The Factors of the depression on the eldery with the chronic disease through the path analysis, Elderly Dis., 4(3), 148-163 

  4. Choi, S. H. (1996). The effect of regular exercise program on the Kyung No dang's eld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Han Yang University of Korea, Seoul 

  5. Dallas, M. I. (1997). Exercise walking for obesity management in older women. Issues on Aging, 20(2), 8-12 

  6. Gillett, P. A., Johnson, M., Juretich, M., Richardson, N., Slagle, L., & Farikoff, K. (1993). The Nurse as exercise leader. Geriatric Nurs, 14(3), 133-137 

  7. Healthy People 2000 (1991). U.S. Department of Humen Service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Publications No. 91-50212, 1-8; 22-27, 587-591 

  8. Hong, M. H. (1983), The Elder and Health, J. of the Kor. Assembly, vol. 201, 65-70 

  9. Kim, C. G., Chung, C. H. (2002). Effect of telephone consut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NIDDM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14(2), 306-314 

  10. Kim, H. K. (2002). The Use of Health Behavior Theory for Effective Health Counselling, J.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1), 149-169 

  11. Kim, H. J. (1994). The effect of muscle strength exercise on muscle power, endurance power, ADL & quality of life on institution eld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Seoul 

  12. Ko, S. B., Jang, S. B., Kang, M. K., Cha, B. S., & Park, J. K. (1997).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health level evaluation on worker. J. Prev. Med, 30(2), 251-266 

  13. Lee, E. C. (1999). The effect of the social .psychological treatment program on the cognitive, neurological function and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the day clin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Y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14. Lee, J. H. (1999). The Effect of the group music program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institu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Yon 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15. Lee, S. N. (1991). The effect of exercise designed for the aging on health promotion in the rural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Yon 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16. McNeil, J. K., LeBlanc, E. M., & Joyner, M. (1991). The effect of excercise on depressive symptoms in the moderately elderly. Psychology & Aging, 6(3), 487-488 

  17. Morey, M. C., Pieper, C. F., Sullivan, R. J., Crowley, G. M., Cowper, P. A., & Robbins, M. S. (1996). Five-Year Performance Trends for Older Exercisers : A Hierarchical Model of Endurance, Strength, and Flexibility. JAGS, 44(10), 1226-1231 

  18. Park J. M., & Han S. H. (2002).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K.W.K, 2(9), 65-70 

  19. Park, H. S. (1993). The Effect of the group cognitive therapy on the depression, the self-esteem,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Kyung Buk University of Korea, Seoul 

  20. Park, S. W. (1997). The influence of image therapy on the depression of the admitted old 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Y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21. Penninx, B. W., Leveille, S., Ferruci, L., van Eijk, J. T. & Guralnik, J. M. (1999). Exploring the effect of depression on physical disability : Longitudinal evidence from the established populations for epidemiologic studies of the elderly, Am. J. Pub. Health, 89(9), 1346-1352 

  22. Pourat, N., Lubben, J., Yu, H., Wallace, S. (2000). Perception of Health and Use of Ambulatory Care :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White Elderly, J. Aging and Health, 12(1), 112-134 

  23. Seo, B. D. (1996). Effect of group movement training on the physiological variab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Kyung Buk University of Korea, Seoul 

  24. Shin, Y. H. & Choi, Y. H.(1996).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program 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flexibility in elderly women. J Korean Acad Nur., 26(2). 372-386 

  25. Song, M. S.(1991). Construction of Prediction model in elder's life and functional statu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Seoul 

  26. Steinhaus, L. A., Dustman, R, E., Ruhling, R. O., Emmerson, R. Y., Johnson, S. C., Shearer, D. E., Latin, R. W., Shigeoka, J. W., & Bonekat, W. H. (1990). Aerobic capacity of olderadults: a training study. J. of Sports Med. & Physical Fitness, 30(2), 163-172 

  27. Stevenson, J. and Topp, R. (1990). Effects of moderate and low intensity long-term excercise by older adults. Research in Nurs & Health, 13, 109-218 

  28. Wang, H. H. (1999). Predictors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 among three ethnic groups of elderly rural women in Taiwan, Pub. Health Nurs, 321-328 

  29. Ware, J. E. (1987). Standards for validating health measures : definition and content. J. Chronic Dis., 40, 473-480 

  30. Yesavage, J. A. (1896), The Use of self rating depression scale in the elderly, in L. W. Poon(ed.), Handbook of Clinical Memory Assessment of older Adult, Washington D. C.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13-217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