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on the physical, physiological, and emotional status of the aged. Method: This research adopt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46 elders aged over 60 who were selected f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on the physical, physiological, and emotional status of the aged. Method: This research adopt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46 elders aged over 60 who were selected from those registered at three local health centers in G City, and 27 of them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to the control group.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exercise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physical status, physiological status, and emotional status. The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for 60 minutes per time, 3 times a week and for 6 week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05. Resul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right lower extremity strength (F=46.119, p=.000), left lower extremity strength (F=53.265, p=.000) and waist flexibility (t=3.183, p=.003) as physical status, and in depression (t=-3.703, p=.001), perceived health status (t=4.821, p=.000), and self efficacy (t=3.866, p=.000) as emotional status.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physical status, physiological status, and emotional status of the aged.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pply the program as a nursing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and education in communities.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on the physical, physiological, and emotional status of the aged. Method: This research adopt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46 elders aged over 60 who were selected from those registered at three local health centers in G City, and 27 of them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to the control group.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exercise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physical status, physiological status, and emotional status. The exercise program was Performed for 60 minutes per time, 3 times a week and for 6 week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05. Resul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right lower extremity strength (F=46.119, p=.000), left lower extremity strength (F=53.265, p=.000) and waist flexibility (t=3.183, p=.003) as physical status, and in depression (t=-3.703, p=.001), perceived health status (t=4.821, p=.000), and self efficacy (t=3.866, p=.000) as emotional status.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ercise program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physical status, physiological status, and emotional status of the aged.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pply the program as a nursing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and education in communiti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농촌지역의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전략적 사업으로서 프로그램을 운용하고자 할 때 특별한 시설없이 경제적이면서 반응이 좋은 사업을 실시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 도시의 경로당이나 노인정 등을 제외하고 보건진료소를 선정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특별한 기구 없이 공간만 허용되면 남녀 모두 즐겁게 참여할 수 있고 신체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개인 혹은 집단으로 행할 수 있게 개발한 운동 프로그램을 보건 진료소를 이용하는 노인에게 적용하여 노인의 신체적. 생리적, 정서적 싱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노인의 운동프로그램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특별한 기구 없이 공간만 허용되면 남녀 모두 즐겁게 참여할 수 있고 신체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개인 혹은 집단으로 행할 수 있게 개발한 운동 프로그램을 보건 진료소를 이용하는 노인에게 적용하여 노인의 신체적. 생리적, 정서적 싱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노인의 운동프로그램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허리유연성의 증가를 확인하기 위해 좌전 굴 측정기(ST118, Expert, Korea)를 이용하여, sit- and-reach 방법으로 좌전굴 유연성을 측정하였다. 좌전 굴에서 유연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다리를 완전히 펴고 측정 대에 발바닥을 붙이고 지면에 앉은 후, 손끝을 붙이고 앞으로 내밀도록 하고 발바닥이 닿는 곳을 측정 대에서 손가락을 점차적으로 앞으로 내밀어 마지막 자세를 2 초간 유지한 지점의 거리(cm)를 측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운동 프로그램을 6주간 실시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간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하지근력. 유연성, 우울, 지각된 건강상태.
본 연구는 보건진료소를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노인의 신체적 상태, 생리적 상태, 정서적 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적용함으로써. 노인의 신체적 상태, 생리적 상태, 정서적 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운동프로그램은 2005년 10월 17일부터 11월 25일까지 6주간 실시되었다.
가설 설정
가설 1.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신체적 상태가 향상될 것이다.
가설 2.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생리적 상태가 향상될 것이다.
가설 3.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침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정서적 상태가 향상될 것이다.
제안 방법
정서적 상태(우울,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효능감)이다. 연구대상자는 연구장소에서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검사를 받은 후, 실험군은 주 3회, 6주간 규칙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대조군은 일상생활을 하도록 하며, 6주간의 중재가 끝난 후 사전과 동일한 내용의 사후 검사를 받았다.
보건진료소 선정 과정은 집락추출(cluster sampling)을 활용하였다. 먼저 전북 G시에 있는 21개 보건진료소 중에서 보건 진료소를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확보 여부로 층화하고, 공간이 확보된 보건진료소 3곳에 대하여 무작위 추출법으로 실험군 2곳, 대조군 1곳으로 구분하였다. 해당 보건 진료소를 이용하는 노인 중 다음과 같은 선정기준을 만족하는 자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운동 프로그램은 간호학교수 2인이 낮은 강도의 유산소운동 동작을 개발하고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연구를 거쳐, 노인대상자의 특성에 맞게 음악과 동작 등을 병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확정하고 비디오로 제작하였다. 준비운동은 15분으로 다리운동.
다리 두드리기, 발목 운동, 발바닥 두드리기, 발목 돌리기, 팔운동으로 구성되었다. 본운동은 30분간 진행되었으며 어깨운동, 무릎 운동. 허리운동, 옆구리운동, 척추운동을 실시하고 노인들에게 친숙한 노래인 "나의 살던 고향-에 맞추어 선 자세로 스트레칭과 능동적 관절운동.
유산소운동으로 구성되었다. 정리운동은 15분으로 이완동작(팔 흔들기, 팔과 다리의 준비운동 시와 같은 고타법 실시)과 호흡운동으로 마무리하도록 하였다.
하지근력은 도수근력 측정계(Rehabilitation Sakai. 2000 상품명 G-230) 로 측정하였으며 고관절 굴곡 시 근력을 2회 측정하여 높은 수치를 택하였다. 악력은 악력계(Hand Biofeedback System EG-200)를 이용하며, 직립자세로 두발을 자연스럽게 벌린 다음 팔을 자연스럽게 내리고 악력계가 신체나 옷에 닿지 않도록 하여 kg단위로 측정하였으며 2회 측정하여 높은 악력 수치를 선택하였다.
2000 상품명 G-230) 로 측정하였으며 고관절 굴곡 시 근력을 2회 측정하여 높은 수치를 택하였다. 악력은 악력계(Hand Biofeedback System EG-200)를 이용하며, 직립자세로 두발을 자연스럽게 벌린 다음 팔을 자연스럽게 내리고 악력계가 신체나 옷에 닿지 않도록 하여 kg단위로 측정하였으며 2회 측정하여 높은 악력 수치를 선택하였다.
대상자를 바닥에 앉게 하고 최소한 10분간의 안정 후, 상박을 심장과 같은 높이로 하여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였다.
Glucotrend(원터치 베이직. 국제의료기)로 말초 혈관 내 혈당을 대상자의 식사시간을 확인한 다음 식후 2-3시간 사이에 왼손 손가락 끝을 란셋으로 찔러 측정하였다. (3)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mg/也)은 검사당일 공복상태에서 정맥을 채혈하여 Reflotron Plus (Roche Diagnostics GmbH D-68298 Mannheim, Germany) 기기를 사용하여 즉정하였다.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일반적 특성, 불안, 우울, 지각된 건강 상태, 자아효능감 측정은 간호학생이 연구대상자 1명씩 각각 설문지를 읽어주고 그 응답을 기록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자료 수집 조사팀은 연구자를 포함하여 보건진료원 3 인, 연구보조원 3인, 간호학생 4인 총 11명을 팀으로 구성하여, 조사자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검사 및 면접 방법을 사전에 훈련하였다.
2005년 10월 17일부터 11월 25일까지 6주 동안 실험군에 대한 운동프로그램은 2곳의 보건진료소에서 매주 월요일과 수요일, 금요일 오후 2시부터 3시 사이에 진행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1주일에 3회, 1회 1시간씩 6주 동안 연구원과 보건진료원, 연구보조원의 지도 하에 제작된 비디오를 보면서 실시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1주일에 3회, 1회 1시간씩 6주 동안 연구원과 보건진료원, 연구보조원의 지도 하에 제작된 비디오를 보면서 실시하였다. 장소는 보건 진료소에서 집단으로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대싱자들 중 대표를 선발하여 전반적인 진행을 하도록 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1주일에 3회, 1회 1시간씩 6주 동안 연구원과 보건진료원, 연구보조원의 지도 하에 제작된 비디오를 보면서 실시하였다. 장소는 보건 진료소에서 집단으로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들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대싱자들 중 대표를 선발하여 전반적인 진행을 하도록 하였다.
사후조사는 6주간의 율동적 운동프로그램 종료 후 2005년 11월 28일부터 30일까지 3일 동안 실험군 과대조군 모두에게 사전조사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강도, 시간. 기간을 세분화하고, 대상을 정상 혈압 군과 비정상 혈압군으로 분류하고 연령별. 폐경 전후 등을 고려한 반복연구와 함께 생리적 지수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대상자의 정서적 상태는 우울.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 효능감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우울은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Lee (2000)와 Kim 등(2004)의 연구결과들과 일치하였다.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의 유사실험연구로 설계되었다, 독립변수는 운동프로그램이며, 종속변수는 신체적 상태(근력, 유연성), 생리적 상태(혈압,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대상자의 생리적 상태는 혈압,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으로 평가하였는데,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는 운동강도가 낮고 운동 기간이 6주로 너무 짧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노인의 신체적 상태, 생리적 상태, 정서적 상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운동프로그램은 2005년 10월 17일부터 11월 25일까지 6주간 실시되었다. 전북 G시에 있는 3곳의 보건 진료소에서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2곳 보건 진료소의 실험군 27명과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1곳 보건 진료소의 대조군 19명으로 총 46명이 연구 대상자였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표적모집단은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이며, 근접모집단은 전북 이시에 거주하며 보건 진료소를 이용하는 노인으로 하였다. 보건진료소 선정 과정은 집락추출(cluster sampling)을 활용하였다.
먼저 전북 G시에 있는 21개 보건진료소 중에서 보건 진료소를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확보 여부로 층화하고, 공간이 확보된 보건진료소 3곳에 대하여 무작위 추출법으로 실험군 2곳, 대조군 1곳으로 구분하였다. 해당 보건 진료소를 이용하는 노인 중 다음과 같은 선정기준을 만족하는 자를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05), 통계적 검정력 (70%)을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표본 수는 최소 17명이었다. 처음 시작시 탈락률을 고려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은 각각 30명으로 선정되었으며, 실험군에서 운동 프로그램에 5회 이상 빠진 사람이 3명으로 탈락율은 10%였고, 대조군에서 사전조사에 참여하고 사후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이 11명으로 탈락율은 37%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실험군이 27명, 대조군이 19명으로 총 46명이었다.
처음 시작시 탈락률을 고려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은 각각 30명으로 선정되었으며, 실험군에서 운동 프로그램에 5회 이상 빠진 사람이 3명으로 탈락율은 10%였고, 대조군에서 사전조사에 참여하고 사후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이 11명으로 탈락율은 37%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실험군이 27명, 대조군이 19명으로 총 46명이었다.
본 연구는 2005년 10월 10일부터 2005년 11월 30 일 까지 사전조사, 실험처치. 사후조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2005년 10월 10일부터 13 일까지 4일 동안 연구팀이 미리 준비한 자료조사도 구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신체적 상태, 생리적 상태, 정서적 상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일반적 특성, 불안, 우울, 지각된 건강 상태, 자아효능감 측정은 간호학생이 연구대상자 1명씩 각각 설문지를 읽어주고 그 응답을 기록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일반적 특성, 불안, 우울, 지각된 건강 상태, 자아효능감 측정은 간호학생이 연구대상자 1명씩 각각 설문지를 읽어주고 그 응답을 기록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자료 수집 조사팀은 연구자를 포함하여 보건진료원 3 인, 연구보조원 3인, 간호학생 4인 총 11명을 팀으로 구성하여, 조사자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검사 및 면접 방법을 사전에 훈련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2005년 10월 17일부터 11월 25일까지 6주간 실시되었다. 전북 G시에 있는 3곳의 보건 진료소에서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2곳 보건 진료소의 실험군 27명과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1곳 보건 진료소의 대조군 19명으로 총 46명이 연구 대상자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lO.
데이터처리
길이의 수치가 클수록 허리의 유연성이 좋음을 의미한다.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유연성은 2번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O)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적 절차에 대한 유의수준은 95%로 하여 양측검정하였다.
3)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전후를 파악하기 위해 t-test 와 사전값을 공변량으로 하는 공분산분석 (ANCOVA) 을 실시하였다.
전북 G시에 있는 3곳의 보건 진료소에서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2곳 보건 진료소의 실험군 27명과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1곳 보건 진료소의 대조군 19명으로 총 46명이 연구 대상자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lO.O)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Cronbach's a, j-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COVA를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O)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Cronbach's a, j-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ANCOVA를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를 이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를 이용하였다.
이론/모형
이용하는 노인으로 하였다. 보건진료소 선정 과정은 집락추출(cluster sampling)을 활용하였다. 먼저 전북 G시에 있는 21개 보건진료소 중에서 보건 진료소를 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확보 여부로 층화하고, 공간이 확보된 보건진료소 3곳에 대하여 무작위 추출법으로 실험군 2곳, 대조군 1곳으로 구분하였다.
노인의 우울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983년 Yesavage 등에 의해 개발된 30문항의 자가보고형 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를 Sheikh 와 Yesavage(1985)가 가장 우울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문항 15개만을 선택하여 만든 노인만을 위한 도구를 Song(1991)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15문항으로 이루어져 있고 총점은 15점 만점이며, 응답은 '예나 '아니오의 양분척도로 되어 있다.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운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으로서 Marcus 등(1992)이 개발하고 Lee 와 Chang(2001)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졌고, 4점 Likert형 척도로 '전혀 자신이 없다'(1)에서 '아주 자신이 있다'(4)로 구성되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지속적 운동수행에 대한 자아 효능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노인이 지각하는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Speake, Cowart와 Pellet( 1989)4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도구는 3문항으로 5점 척도로서 '매우 나쁨'(1점)에서 '매우 좋음'(5점)으로 평가하여 평가점수가 높을수록 지각된 건강상태가 양호함을 의미한다.
성능/효과
본 연구대상자 수는 Cohen(1988)의 공식에 의거하여 효과크기 (.40), 유의수준 (.05), 통계적 검정력 (70%)을 기준으로 계산한 결과 표본 수는 최소 17명이었다. 처음 시작시 탈락률을 고려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은 각각 30명으로 선정되었으며, 실험군에서 운동 프로그램에 5회 이상 빠진 사람이 3명으로 탈락율은 10%였고, 대조군에서 사전조사에 참여하고 사후조사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이 11명으로 탈락율은 37%였다.
(2) 가설 1-2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유연성이 향상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에서 16.20cm에서 20.97cm로 증가하였고, 대조군에서도 15.14cm에서 16.83cm로 증가는 되었지만 두 군 간에는 차이가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여(t=3.183, p = .003) 가설 1-2는 지지되었다.
(1) 가설 3-1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우울이 감소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우울정도는 실험군이 5.37점에서 2.22점으로 감소하고 대조군은 6.26점에서 6.37점으로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t=-3.703. p = .OOl) 가설 3-1 는 지지되었다.
(2) 가설 3-2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지각된 건강 상태가 향상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지각된 건강 상태 점수는 실험군은 2.77점에서 3.41 점으로 증가하고, 대조군은 사전 사후점수가 2.30점으로 비슷하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t=4.821, p = .000) 가설 3-2는 지지되었다.
(3) 가설 3-3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자아효능감이 향상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자아효능감 점수는 실험군이 2.91 점에서 3.09점으로 증가하고 대조군은 2.50점에서 2.39점으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t = 3.866. p = .000) 가설 3-3는 지지되 었다.
유연성, 우울,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 효능감에서 실험군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대조군 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6주간의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유연성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만성요통 여성노인에게 요부강화 프로그램을 실시한 Hyoung(2006), 10주간 스트레칭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Kim, Jeong과 Jung(2004).
, 2004), 수축기혈압은 감소하고 이완기혈압은 차이가 없다고 보고한 연구(Han & Won, 2000) 등 다양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운동 실시 후 혈당과 중성지질에 관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던 본 연구결과는 스트레칭 운동 프로그램을 10주간 적용한 후 혈당은 변화가 없었고 중성 지방은 감소하였다는 결과(Kim et al., 2004)와, 노인에게 16 주간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적용 후 혈당은 감소하고 중성지방은 변화가 없었다는 연구결과(Park & Oh, 2005) 와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생리적 지수에 대한 운동의 효과를 좀 더 분명하게 규명하기 위해서 운동에 대해서는 종류.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 효능감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우울은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Lee (2000)와 Kim 등(2004)의 연구결과들과 일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운동프로그램에서 집단운동을 통해서 유대감이 형성되고 공유된 경험활동이 우울감소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자아효능감은 운동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운동에 대한 자아 효능감이 실험 후 유의하게 높아진 결과는 몇 편의 연구에서 검정되었는데, Shin과 Kim(2005)의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운동 프로그램을 시행 후 실험군의 자아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Kim과 Park(2000)의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게 유산소 리듬 운동프로그램을 9주간 시행한 결과, 실험군의 운동에 대한 자아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운동에 대한 자아 효능감이 실험 후 유의하게 높아진 결과는 몇 편의 연구에서 검정되었는데, Shin과 Kim(2005)의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운동 프로그램을 시행 후 실험군의 자아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Kim과 Park(2000)의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게 유산소 리듬 운동프로그램을 9주간 시행한 결과, 실험군의 운동에 대한 자아효능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운동실 시 후 자아효능감이 증가한 것은 6주 동안의 반복적인 운동의 실시와, 비디오를 보면서 모든 동작을 쉽게 따라 할 수 있었던 점, 매 운동 시 보건진료원과 연구자와의 만남을 통해 운동에 대한 느낌과 생각을 공유함으로써 성취 경험을 하고 프로그램 종료 시 수료증과 개근상을 수여 하는 시간을 가졌던 것 등이 대상자의 자아 효능감을 증진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노인 운동 프로그램 (비디오 테이프)를 개발하여 실시한 운동이 대상자의 신체적, 생리적, 정서적 상태를 향상시켰다. 따라서 노화와 더불어 점차 줄어드는 근력, 유연성이 증가되고 우울 감소, 지각된 건강상태 향상.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하지 근력, 유연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악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생리적 상태인 혈압,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 지방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우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고, 지각된 건강상태와 자아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운동프로그램은 노인의 신체적, 정서적 상태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켜 노화에 따른 근력, 유연성의 감소를 최소화하고 동시에 우울을 감소시키고 지각된 건강상태와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킴이 확인되었다.
"1) 가설 1 :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신체적 상태가 향상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가설 1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1) 가설 1-1 :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근력이 향상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우측 하지근력(F=46.119, p = .000), 좌측 하지근력(F = 53.265, p=. 000)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우측 악력과 좌측 악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 1-1 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3) 가설 3 :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정서적 상태가 향상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가설 3은 지지되었다,"
"2) 가설 2 :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생리적 상태가 향상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가설 2는 기각되었다, 생리적 상태는 수축기혈압(t=.831, p=.411), 이완기혈압(t=L340, p = .187), 혈당(t=-1.618, p = .113), 총 콜레스테롤(t= -1.198, p = .237), 중성지방(t = .836, p = .4O8)에 차이가 모두 나타나지 않아 가설 2는 기각되었다."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test로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정도, 종교, 운동여부, 질병 유무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실험 전 두 군은 동일집단으로 볼 수 있었다<Table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종속변수에 대해 t-test로 실시한 동질성 검증에서 악력, 유연성, 혈압, 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우울,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실험군과 대조군은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지근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두 집단 간의 동질성에 근소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후속연구
또한 이러한 근력의 증가는 걷기 운동 프로그램 (Bak, 2005), 댄스스포츠(Choi, 2004), 율동적 동작 운동(Lee, 2000) 실시 후 근력이 증가하였다는 연구 결과들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 대상의 운동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노화현상으로 인해 약화된 노인의 근력을 더 강화시킬 수 있도록 유산소 운동과 함께 낮은 강도의 근력강화운동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아효능감이 증가하여 건강증진을 도모하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하지만 생리적 상태에 대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아 추후의 연구에서는 운동 기간과 강도를 조절하여 규명해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운동프로그램을 보건소나 보건진료소 등과 연계하여 지역사회에서의 실무와 교육부분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하지만 생리적 상태에 대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아 추후의 연구에서는 운동 기간과 강도를 조절하여 규명해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본 운동프로그램을 보건소나 보건진료소 등과 연계하여 지역사회에서의 실무와 교육부분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으리라 본다. 그러나 운동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의 간호사들은 노인의 자발적인 참여와 주체적인 의지를 고려한 동기강화에도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1. 운동프로그램의 기간에 따른 효과의 지속성을 검정할 수 있는 장기간의 추후연구가 필요하다.
2. 본 운동프로그램을 지역사회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노인의 참여를 지속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전략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