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성동구 지역 미세먼지의 화학적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 of Fine Particles in the Sungdong Area, Seoul,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12 no.6, 2003년, pp.665 - 676  

조용성 (한양대학교) ,  이홍석 (한양대학교) ,  김윤신 (한양대학교) ,  이종태 (이화여자대학교) ,  박진수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지역의 PM$_{2.5}$의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0년 10월 1일부터 200l년 9월 26일까지 계절별(봄, 여름, 가을 겨울)로 PM$_{2.5}$ dichotomous air sampler를 이용하여 포집한 후, ICP-MS를 이용하여 검출한계 이상인 13가지의 중금속 성분(Al, As, Ba, Ca, Cd, Cr, Cu, Fe, Mn, Pb, Si, V, Zn)과 IC를 이용하여 5가지의 수용성 이온성분($Na^{+}$, NH$_4$$^{+}$, Cl ̄, NO$_3$$^{-}$ , SO$_4$$^2$ ̄)을 측정/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얻어진 PM$_{2.5}$의 농도와 화학적 성분의 농도를 계절별로 비교하였으며, 중금속 성분의 정성적인 발생원의 기여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1) 조사기간 중 PM$_{2.5}$의 계절별 농도는 겨울(33.91 $\mu\textrm{g}$/㎥) > 봄(28.79 $\mu\textrm{g}$/㎥) > 가을(18.62 $\mu\textrm{g}$/㎥) >여름(14.92 $\mu\textrm{g}$/㎥) 순으로 조사되어 주로 겨울철에 대기중 PM$_{2.5}$의 농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M$_{10}$에 대한 PM$_{2.5}$의 기여도는 33.7~83.5 %로 나타났으며, PM$_{2.5}$PM$_{10}$의 평균비는 0.54로 조사되었고, 회귀분석에서 PM$_{10}$=4.20PM$_{2.5}$+.9.91, $R^2$=0.73 (p < 0.05)의 회귀관계식을 나타나 PM$_{2.5}$로 PM$_{10}$을 73%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을 보였다. 2) PM$_{2.5}$의 중금속 성분은 Si > Fe > Al> Zn >Ca>Ba>V>Pb>As>Cu>Cr>Cd 순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중금속 성분의PM$_{2.5}$PM$_{10}$의 비는 인위적인 발생원에서 기인하는 Cd, Cr, Pb, V, Zn과 같은 중금속 성분의 비율이 높은 조사되었고, 자연적인 발생원에서 기인하는 Al, Ca, Fe, Mn, Si와 같은 중금속 성분의 비율이 낮게 조사되었다 특히 Al, Ca, Fe의 비율이 봄철에 높아 중국에서 발생한 황사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3) PM$_{2.5}$ 중 이온 성분의 농도는 NO$_3$ ̄ > SO$_4$$^2$ ̄ > Cl ̄ > NH$_4$$^{+}$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PM$_{2.5}$PM$_{10}$의 비를 조사한 결과, NO$_3$ ̄,SO$_4$$^2$ ̄, Cl ̄의 비율이 높아 PM$_{10}$에 포함되어 있는 PM$_{2.5}$가 산성오염물질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PM$_{2.5}$의 정성적인 발생원을 추정하기 위해 중금속 성분에 대한 주성분 분석의 결과 3개의 주성분으로 나누어 졌으며, 주요 발생원은 자연발생원인 토양성분과 석유연료 연소에서 배출되는 성분으로 추정되어 이 발생원이 중금속 성분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PM$_{2.5}$의 화학적 성분은 지역여건과 기상조건, 계절변동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PM$_{10}$에 비해 인체에 유해한 화학적 성분(중금속, 이온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PM$_{2.5}$에 대한 철저한 관리 및 규제 설정이 요구되며, 측정지점의 특성상 자동차 배기가스와 금속제련 및 가공에 의한 영향을 주로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지역여건과 기상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는 PM$_{2.5}$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자료축적이 요구되고 발생원에 대한 정량적인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M$\_$2.5/ in Seoul, Korea, 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s were collected using a PM$\_$10/ dichotomous sampler including PM$\_$10/ and PM$\_$2.5/ inlet during the period of October 2000 to September 2001.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중 성동구에 위치한 한양대학교에서 일년간의 측정자료를 통해 계절별 PM2.5 의 중량농도와 화학적 조성을 조사하고 다변량 통계기법의 하나인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PM2.5 발생원의 정성적인 기여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Pope, C.A., M.J. Thun, M.M. Namboodiri, D.W. Dockery, J.S. Evans, F.E. Speizer and C.W. Heath, 1995, Particulate air pollution a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a prospective study of U.S. adults, Am. J. Res. & Crit. Care Med., 151, 669-674. 

  2. Reichhardt, T., 1995, Weighing the health risks of airborne particulates, Environ. Sci. & Tech., 29, 360A-364A. 

  3. Gartrell, G. and S.K. Friedlander, 1975, Relating particulate pollution to source - the 7972 Califormia aerosol characterization study, Atmos. Environ., 9, 279-289. 

  4. Fraser, M.P., D. Grosjean, E. Grosjean, R.A. Rasmussen and G.R. Cass, 1996, Air quality model evaluation data for organics. 1. Bulk chemical composition and gas/particle distribution factors, Environ. Sci. & Tech., 30, 1731-1743. 

  5. Whitby, K.T., 1978,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ulfur aerosols, Atmos. Environ., 12, 135-159. 

  6. Seinfeld, J.H., 1986,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of air pollution, John Willey and Sons, New York. 

  7. Infante, P. and I.L. Acosta, 1991, Size distribution of trace metals in Ponce, Puerto Rico air pariculate matter, Atmos. Environ., 25, 121-131. 

  8. Dockery, T.G., R.K. Stevens, G.E. Gorden, I. Olmez, A.E. Sheffield and W.J. Conutney, 1998, A composite receptor method applied to Philadelphia aerosol, Environ. Sci. & Technol., 22, 46-52. 

  9. Seaton, A., W. MacNee, K. Donaldson and D. Godden, 1995,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acute health effects, Lancet, 345, 176-178. 

  10. Monn, C.H., A. Fuchs, D. Hogger, M. Junker, D. kogelschatz, N. Roth and H.U. Wanner, 1997, Particulate matter less than $10{\mu}m$ (PM10) and fine particles less than $2.5{\mu}m\;(PM_{2.5})$ : relationships between indoor, outdoor and personal concentrations, The Sci. Total Environ., 208, 15-21. 

  11. 이학성, 강병욱, 1996, 디누더 측정기를 이용한 여름철 청주시의 산성오염물질 특성과 분석,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2, 441-448. 

  12. 여현구, 조기철, 최민규, 김희강, 2000, 강화도 지역에서 겨울철 $PM_{2.5}$ 의 화학적 성분 특성,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6, 309-316. 

  13. 이종훈, 김용표, 문길주, 김희강, 정용승, 이종범, 1997, 우리 나라 청정지역에서 측정한 $PM_{2.5}$ 입자의 특성,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3, 439-450. 

  14. 최민규, 여현구, 임종억, 조기철, 김희강, 2000, 강화에서의 $PM_{2.5}$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6, 573-583. 

  15. 강충민, 이승일, 조기철, 안준영, 최민규, 김희강, 1999, Annular Denuder System을 이용한 수도권지역의 산성오염물질 및 $PM_{2.5}$ 성분농도 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5, 305-315. 

  16. Chow, J.C., 1995, Measurement methods to determine compliance with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for suspended particles, J. Air & Waste Manage. Assoc., 45, 320-382. 

  17. 전준민, 김성우, 김윤신, 2001, 여천공단내 실내.외 미세분진중의 화학원소 농도 및 발생원 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3, 305-317. 

  18. 최종성, 2000, 현대통계분석, 복두 출판사. 

  19. Roscoe, B.A., P.K. Hopke, S.L. Dattner and J.M. Jenks, 1982, The use of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to interpret particulate compositional data sets, JAPCA, 32, 637-642. 

  20. Hosiokangas, J., J. Ruuskanen, J. Pekkanen, 1999, Effects of soil dust episodes and mixed fuel sources on source apportionment of $PM_{10}$ particles in Kuopio, Finland. Atmos. Environ., 33, 3821-3829. 

  21. Funasaka, K., T. Miyazaki, K. Tsuruho, K. Tamura, T. Mizuno and K. Kuroda, 2000, Relationship between indoor and outdoor carbonaceous particulates in roadside households, Environ. Pollution, 110, 127-134. 

  22. Fang, G.C., C.N. Chang, Y.S. Wu, F.P.C. Fu, D.G. Yang and C.C. Chu, 1999, Characterization of chemical species in $PM_{2.5}$ and $PM_{10}$ aerosols in suburban and rural sites of central Taiwan, The Sci. Total Environ., 234, 203-212. 

  23. Kim, B.M., S. Teffera and M.D. Zeldin, 2000, Characterization of $PM_{2.5}$ and $PM_{10}$ in the south coast air basin of southern California: Part 1-Spatial variations, J. Air & Waste Manage. Assoc., 50, 2034-2044. 

  24. Chow, J.C., J.G. Watson, Z. Ju, D.H. Lowenthal, C.A. Frazier, P.A. Solomon, R.H. Thuillier and K. Magliano, 1996, Descriptive analysis of $PM_{2.5}$ and $PM_{10}$ at regionally repressentative locations during SJVAQS/AUSPEX, Atmos. Environ., 30, 2079-2112. 

  25. Dockery, D.W. and C.A. Pope III, 1994, Acute respiratory effects of particulate air pollution, Ann Rev. Pub. Health, 15, 107-132. 

  26. 이태정, 김동술, 1997, 수원지역 입자상 오염물질의 오염원 기여도의 추정,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3, 285-296. 

  27. 이민희, 1986, 황사현상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대기보전학회지, 2, 34-44. 

  28. 이동수, 최만식, 1990, 우리나라 대기 분진중의 화학조성에 관하여, 제11회 대기보전학회 학술 연구발표회 요지집, 20-21pp. 

  29. 신은상, 김희강, 1992, 서울시에서의 대기부유먼지에 대한 황사의 영향, 한국대기보전학회지, 8, 52-57. 

  30. Hopke, P., 1985, Receptor modeling in environmental chemistry, John Wiley & Sons. 

  31. Chow, J.C., G.W. John, M.F. Eric, L. Zhiqiang and R.L. Douglas, 1994,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PM_{2.5}$ and $PM_{10}$ Aerosol in southern Califormia air quality study, Atmos. Environ., 28, 2061-2080. 

  32. Possanzini, M., P. Masia and V.D. Palo, 1992, Speciation of ammonium-containing species in atmospheric aerosols, Atmos. Environ., 26, 1995-2000. 

  33. 천만영, 김희강, 1995, 생성메카니즘에 따른 부유분진중 입자상 nitrates 농도,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1, 37-44. 

  34. Clark, A.G., G.A. Azadi-Boogar and G.E. Andrews, 1994, Particle siz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urban aerosols, The Sci. Total Environ., 235, 15-24. 

  35. Seinfeld, J.H. and S.N. Pandis, 1998,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 From air pollution to climate change, John Willey and Sons,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