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월별 미세먼지 농도와 주변 토지피복의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eoul's Monthly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and Surrounding Land Cover Categorie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8 no.6, 2019년, pp.568 - 579  

최태영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강다인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  차재규 (국립생태원 생태평가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는 서울시 도시대기 측정망의 월별 미세먼지 농도와 측정소 주변 버퍼별, 토지피복 유형별 비율의 관계를 분석하여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토지피복의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분류 토지피복 유형과 미세먼지 농도의 월별 상관분석 결과 버퍼 3km에서, PM2.5보다 PM10에서 상관성이 잘 나타났고, 산림과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 초지와 시가지는 PM10과, 나지와 시가지는 PM2.5와 일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버퍼 3km 내 중분류 및 세분류 우세 피복유형의 월별 상관분석 결과 PM10은 활엽수림과 뚜렷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도로와 일부 양의 상관이 우세한 편이었다. PM2.5는 활엽수림과 일부 음의 상관, 상업지역과 일부 양의 상관이 많은 편이었다. 그 밖에 초지 및 나지 세부 유형의 상관성은 매우 낮거나 없었다. 양의 상관 및 음의 상관관계의 각 대표 피복유형으로 단계선택법에 의한 월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PM10은 활엽수림 비율 증가에 의한 농도 감소 영향이 뚜렷하였고, 도로는 변수선택에서 제거되었다. PM2.5는 일부 월별로 상업지역 비율 증가에 따른 농도 증가 영향 또는 활엽수림 비율 증가에 따른 농도 감소 영향을 받았지만, 그 영향력은 PM10에 비해 낮았다. 연구결과 측정소 주변 토지피복은 미세먼지 농도 증감에 영향을 주었고, 그 영향은 PM10에서 더 분명하였다. 산림 유형은 미세먼지 농도에 가장 크고, 분명한 영향을 주는 저감 요인이었다. 시가화지역 관련 유형들의 농도 증가 영향은 일부 확인되었다. 도심 산림의 미세먼지 저감 기능은 분명한 효과를 가진 것으로 보이며, 향후 녹지의 세부 특성과 복잡한 도시환경 요인의 작용을 규명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land cover categories on particulate matter (PM) concentration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monthly PM concentrations in Seoul's air quality monitoring network and the percentages of land cover categories by buffers around air quality monitor...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끼치는 공간적 요인인 토지피복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시 대기오염 측정망의 월별 미세먼지 농도와 측정소 주변 버퍼(측정소 주변 원형 범위)별, 토지피복 유형별 비율의 관계성을 월별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다양한 주변 토지피복 유형들의 선형적인 상호관련성과 인과적 관계성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끼치는 공간적 요인인 토지피복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시 대기오염 측정망의 월별 미세먼지 농도와 측정소 주변 버퍼(측정소 주변 원형 범위)별, 토지피복 유형별 비율의 관계성을 월별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다양한 주변 토지피복 유형들의 선형적인 상호관련성과 인과적 관계성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의 저감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이러한 미세먼지의 저감을 위해서는 미세먼지 농도 증감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의 작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상조건 중 강수량과 풍속은 미세먼지 농도와 음의 상관 나타냈는데(Chae 2009; Park 2017), 이는 강수에 의해 먼지는 씻겨 내려가고, 풍속이 높을 때 대기 순환에 의한 먼지 확산이 잘 되기 때문이다.
수목이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방법은? 2015) 등 다양하고 복잡한 요인들과 상관성을 갖으며 변화된다. 이 중 미세먼지 저감과 관련된 녹지의 기능에 대해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었는 데, 수목은 기공이나 잎, 식물체 표면을 통해 미세먼지를 흡수, 흡착하여 미세먼지를 저감하며(Nowak et al. 1998; Nowak et al.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 토지피복과 미세먼지 농도의 관계성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서울시에 위치한 도시대기, 도로변대기 측정망 중 지점수가 많고 분포가 고른 도시대기 측정망을 대상으로 23개 측정소를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자료는 서울시 도시대기 측정망에서 2016년 1년간 측정된 PM10, PM2.5 농도의 측정소별 월평균 자료와 환경부 2013년 토지피복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bhijith KV, Kumar P, Gallagher J, McNabola A, Baldauf R, Pilla F, Pulvirenti B. 2017. Air pollution abatement performances of green infrastructure in open road and built-up street canyon environments-A review. Atmos. Environ. 162: 71-86. 

  2. Bae HJ. 2014. Effects of short-term exposure to $PM_{10}$ and $PM_{2.5}$ on mortality in Seoul. J. Environ. Health. 40(5): 346-354. [Korean Literature] 

  3. Brantley HL, Hagler GS, Deshmukh PJ, Baldauf RW. 2014. Field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roadside vegetation on near-road black carbon and particulate matter. Sci. of the Total Environ. 468: 120-129. 

  4. Cai M, Xin Z, Yu X. 2017.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PM leaf deposition: A meta-analysis. Environ. Pollut. 231: 207-218. 

  5. Cavanagh JE, Zawar-Reza P, Gaines Wilson J. 2009. Spatial attenuation of ambient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 within an urbanized native forest patch. urban for. urban green. 8(1): 21-30. 

  6. Chae HJ. 2009. Effect on the $PM_{10}$ Concentration by Wind Velocity and Wind Direction. J. Environ. Sanit. Eng. 24(3): 37-54. [Korean Literature] 

  7. Chen J, Yu X, Sun F, Lun X, Fu Y, Jia G, Zhang Z, Liu X, Mo L, Bi H. 2015. The concentrations and reduction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 $PM_{10}$ , $PM_{2.5}$ , PM1) at shelterbelt site in Beijing. Atmosphere. 6: 650-676. 

  8. Choi TY, Moon HG, Kang DI, Cha JG. 2018. Analysis of the Seasonal Concentration Differences of Particulate Matter According to Land Cover of Seoul: Focusing on Forest and Urbanized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7(6): 635-646. [Korean Literature] 

  9. Dockery DW, Pope CA, Xu X, Spengler JD, Ware JH, Fay ME, Ferris BG, Speizer FE. 1993. An association between air pollution and mortality in six US cities. N. Engl. J. Med. 329(24): 1753-1759. 1753-1759. 

  10. Fan S, Li X, Han J, Cao Y, Dong L. 2017. Field assessment of the impacts of landscape structure on different-sized airborne particles in residential areas of Beijing. China. Atmos. Environ. 166: 192-203. 

  11. Hatakeyama S, Takami A, Sakamaki F, Mukai H, Sugimoto N, Shimizu A, Bandow H. 2004. Aerial measurement of air pollutants and aerosols during 20-22 March 2001 over the East China Sea. J. Geophys. Res. Atmospheres. 109: D13. 

  12. Heo JB, Hopke PK, Yi SM. 2009. Source apportionment of $PM_{2.5}$ in Seoul, Korea. Atmos. Chem. Phys. 9(14): 4957-4971. 

  13. Hitchins J, Morawska L, Wolff R, Gilbert D. 2000. Concentrations of submicrometre particles from vehicle emissions near a major road. Atmos. environ.. 34(1): 51-59. 

  14. Hoek G, Beelen R, De Hoogh K, Vienneau D, Gulliver J, Fischer P, Briggs D. 2008. A review of land-use regression models to assess spatial variation of outdoor air pollution. Atmos. environ. 42(33): 7561-7578. 

  15. Hong SH and Lee SH. 2017. Characteristic of PM10 Distribution Related to Precise Local Wind Patterns in Busan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6(12): 1375-1387. [Korean Literature] 

  16. Jin S, Guo J, Wheeler S, Kan L, Che S. 2014. Evaluation of impacts of trees on $PM_{2.5}$ dispersion in urban streets. Atmos. Environ., 99: 277-287. 

  17. Jonsson P, Bennet C, Eliasson I, Lindgren ES. 2004.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and its relations to the urban climate in Dar es Salaam. Tanzania. Atmos. Environ. 38: 4175-4181. 

  18. K-eco. 2018. Air korea. Available from: https://www.airkorea.or.kr/ 

  19. Kim YP. 2017. Research and Policy Directions against Ambient Fine Particles. J. Korean Soc. Atmos. Environ. 33(3): 191-204. [Korean Literature] 

  20. Nguyen T, Yu XX, Zhang ZM, Liu MM, Liu XH. 2015.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urban forest and $PM_{2.5}$ capture at three growth stages of leaves. J. Environ. Sci. 27: 33-41. 

  21. NI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6. Annual report of air quality in Korea 20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362. [Korean Literature] 

  22. Nowak DJ, McHale PJ, Ibarra M, Crane D, Stevens J, Luley C. 1998. Modeling the effects of urban vegetation on air pollution. Air pollution modeling and its application XII. Springer. Boston. MA. 399-407. 

  23. Nowak DJ, Crane DE and Stevens JC. 2006. Air pollution removal by urbantrees and shrubs in the United States.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4: 115-123. 

  24. Park JK, Choi YJ and Jung WS. 2015. An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M10 concentration and its relation to the death from Asthma in Seoul, Korea. J. Environ. Sci. Int., 24(7): 961-968. [Korean Literature] 

  25. Park CS. 2017. Variations of $PM_{10}$ concentration in Seoul during 2015 and relationships to weather condition. J. Photo Geogr. 27(2): 47-64. [Korean Literature] 

  26. Park SY, Kim YJ, Kim CH. 2012. Characteristics of Long-Range Transport of Air Pollutants due to Different Transport Patterns over Northeast Asia. J. KOSAE. 28(2): 142-158. [Korean Literature] 

  27. Reponen T, Grinshpun SA, Trakumas S, Martuzevicius D, Wang ZM, LeMasters G, Biswas P. 2003. Concentration gradient patterns of aerosol particles near interstate highways in the Greater Cincinnati airshed. J. of environ. monit. 5(4): 557-562. 

  28. Saebo A, Popek R, Nawrot B, Hanslin HM, Gawronska H, Gawronski SW. 2012. Plant species differences in particulate matter accumulation on leaf surfaces, Sci. Total Environ. 427: 347-354. 

  29. Schwartz J, Dockery DW, Neas LM. 1996. Is daily mortality associated specifically with fine particles J. Air Waste Manage. Assoc. 46(10): 927-939. 

  30. Wallace LA, Wang FB, Howard-Reed C, Persily A. 2008. Contribution of Gas and Electric Stoves to Residential Ultrafine Particle Concentrations between 2 nm and 64 nm: Size Distributions and Emission and Coagulation Rates, Environ. Sci. & Tech. 42(23): 8641-8647. 

  31. Weng Q, Yang S. 2006. Urban Air Pollution Patterns, Land Use, and Thermal Landscape: An Examination of the Linkage Using GIS. Environ. Monit. Assess. 117: 463-489. 

  32. Wu CD, Chen YC, Pan WC, Zeng YT, Chen MJ, Guo YL, Lung SCC. 2017. Land-use regression with long-term satellite-based greenness index and culture-specific sources to model $PM_{2.5}$ spatial-temporal variability. Environ. Pollut. 224: 148-157. 

  33. Xing YF, Xu YH, Shi MH, Lian YX. 2016. The impact of $PM_{2.5}$ on the human respiratory system. J. Thoracic Dis. 8(1): E69-E74. 

  34. Yin S, Shen Z, Zhou P, Zou X, Che S, Wang W. 2011. Quantifying air pollution attenuation within urban parks: an experimental approach in Shanghai, China. Environ. Pollut. 159: 2155-2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