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시판되는 일부 다류 제품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5, 2003년, pp.723 - 727  

최용민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생물건강산업개발연구센터) ,  김명희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신정진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생물건강산업개발연구센터) ,  박주미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생물건강산업개발연구센터)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생물건강산업개발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음용할 수 있는 차 추출물에 대해 항산화력과 항산화 성분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차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ABTS 와 DPPH radical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항산화력 성분은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비타민 C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홍차, 허브티 I, 녹차 I, 허브티 II, 녹차 II, 한차 I에서 101.51~62.60 mg범위로 다른 차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허브티 II, 한차 I, 홍차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 총 비타민 C의 경우 한차 I이 15.78 mg을 나타낸 제품을 제외 하고 다른 것들은 모두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력이 높게 나타난 차는 주로 녹차류와 홍차였으며 이들의 항산화력에 기여하는 물질이 주로 비타민 C나 플라보노이드가 아닌 폴리페놀성 화합물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ir antioxidant compounds of a group of teas obtained in local markets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18 teas were test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based on their ability to scavenge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cation radical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음용할 수 있는 차 추출물에 대해 항산화력과 항산화 성 분의 함량을 측정 함으로써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차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ABTS .
  • 또한, 녹차에 함유된 catechin류가 멜라닌 색소 형성과 관계하는 tyrosinase를 억제하며 (21), nitric oxide(NO), superoxideCOz-) 등과 같은 radical!- 제거하는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22). 본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는 다류 제품 중 18종에 대하여 폴리 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비 타민 C의 함량을 분석하였고, 이들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Fang YZ, Yang S, Wu G. 2002. Free radical, antioxidant,and nutrition. Nutrition 18: 872-879 

  2. Morrissey PA, O'Brien NM. 1998. Dietary antioxidant inhealth and disease. Int Dairy Journal 8: 463-472 

  3. Willet WC. 1994. Diet and health: what should we eat Science 254: 532-537 

  4. Temple NJ. 2000. Antioxidants and disease: more questionthan answers. Nutr Res 20: 449-459 

  5. Slavin JL, Jacobs D, Marquart L. 1997. Whole-grain consumption and chronic disease: protective mechanism. Nutr Cancer 27: 14-21 

  6. Ames BN, Shigenaga MK, Hagwn TM. 1993. Oxidants,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 of aging. ProcNatl Acad Sci 90: 7915-7922 

  7. Block G. 1993. Vitamin C, cancer and aging. Age 16: 55-58 

  8. Feskanich D, Ziegler RG, Michaud DS, Giovannucci EL, Speizer FE, Willett WC, Colditz GA. 2000. Prospective study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risk of lung canceramong men and women.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92: 1812-1823 

  9. Gordon MH. 1996. Dietary antioxidants in disease prevention. Naturat Product Reports. p 265-273 

  10. Michels KB, Giovannucci E, Joshipura KJ, Rosner BA,Stampfer MJ, Fuchs CS, Colditz GA, Speizer FE, WillettWC. 2000. Prospective study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incidence of colon and rectal cancers.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92: 1740-1752 

  11.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Soc Food Sci Technol 33: 626-632 

  12. Ames BN. 1983. Dietary carcinogens and anticarcinogens: oxygen radicals and degenerative diseaes. Science 221: 1256-1263 

  13. Aruoma OI. 1998. Free radicals,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Journal of the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75: 199-212 

  14. Jacob RA, Burri BJ. 1996. Oxidative damage and defens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63: S985-S990 

  15. Steinberg D. 1991. Antioxidants and atherosclerosis: a current assessment, Circulation 84: 1420-1425 

  16. Maxwell SRJ, Lip GYH. 199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cardiovascular disease.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harmacology 44: 307-317 

  17. Pratico D, Delanty N. 2000. Oxidative injury in diseases ofthe central nervous system: focus on Alzheimer's disease.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109: 577-585 

  18. Wang H, Cao G, Prior RL. 1996.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frtits. J Agric Food Chem 44: 701-705 

  19. Stoner GD, Mykhtar H. 1995. Polyphenols as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J Cell Bio Chem 22: 169-180 

  20. Yamane T, Naktani H, Kikuoka N, Matsumoto H, Iwata Y, Jitao K, Oya K, Tacahashi T. 1996. Inhibitory effects andtoxicity of green tea polyphenols for gastrointestinal carcinogenesis. Cancer 77: 1662-1667 

  21. No JK, Soung DY, Kim YJ, Shin KH, Jun YS, Rhee SH,Yokozawa T, Chung HY. 1999. Inhibition of tyrosinase bygreen tea components. Life Sciences 65: 241-246 

  22. Nakagawa T, Yokogawa T. 2002. Direct scavenging ofnitric oxide and superoxide by green tea. Food Chemical Toxicology 40: 1745-1750 

  23.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24. Moreno MI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ournal of Enthnopharmacology 71: 109-114 

  25. AOAC. 200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16 

  26. Robert R, Nicoletta P, Anna P, Ananth P, Min Y, CatherineRE.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and Medicine 26: 1231-1237 

  27. Leong LP, Shui G. 2002. An investigation of antioxidantcapacity of fruits in Singapore markets. Food Chemistry 76: 69-75 

  28. Kim M, Kim MC, Park JS, Kim JW, Lee JO. 2001. Theantioxidant effects of the water soluble extracts of plantsused as tea materials. Korean J Soc Food Sci Technol 33:12-18 

  29. Wang MF, Shao Y, Li JG, Zhu NQ, Rangarajan M, LavoieEJ, Ho CT. 1998. Antioxidative phenolic compounds fromsage (Salvia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6: 4869-4873 

  30. Cano A, Hernandez-Ruiz J, Garcia-Canovas F, Acosta M,Arnao MB. 1998. An end-point method for estimation ofthe total antioxidant activity in plant material. Phytochemical Analysis 9: 196-2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