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류의 항산화 활성항산화 물질 함량에 대한 조사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총 99건의 다류에 대하여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의 자유라디칼소거에 대한 능력을 가지고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차 시료 100 g당 아스코르빈산 당량의 mg(L-아스코르빈산 동등한 항산화 능력, AEAC)과 1회 제공량 당 mg(자유라디칼 소거활성, $FSC_{50}$)으로 나타냈고 시료추출액에서의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법으로,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Davis변법으로 측정하였고 Vitamin C는 HPLC법으로 분석하였다. AEAC 값은 마테차, 녹차, 홍차, 헛개차, 국화차, 우엉차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폴리페놀 물질은 차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중요한 항산화 물질로 홍차, 녹차 그리고 마테차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플라보노이드는 마테차, 홍차 그리고 마차에서, Vitamin C는 유자차와 녹차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유형별로는 침출차가 고형차나 액상차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연구결과, 다류에는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플라보노이드와 항산화 활성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즉, 다류의 항산화 활성은 폴리페놀에 의한 영향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of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teas. A total of 99 teas were tested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based on their ability to scavenge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free radical. Antioxidant activity was exp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류의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물질 함량에 대한 조사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총 99건의 다류에 대하여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의 자유라디칼소거에 대한 능력을 가지고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 DPPH (1,1-diphenyl-2- picrylhydrazyl)는 자체가 매우 안정한 자유라디칼로써 항산화 물질로부터 전자 혹은 수소를 제공받으면 비라디칼로 전환되면서 흡광도가 보라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항산화 물질의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였다.
  • 기존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녹차나 홍차 등 차에 대한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는 많으나 다류의 유형별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가 즐겨 마시는 다류의 항산화 활성,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그리고 비타민 C 함량을 분석하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통해 항산화 성분이 다류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음용방법에 따른 다류의 유형별 항산화 활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폴리페놀류는 구조의 특성에 따라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폴리페놀은 녹색 식물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생성된 당의 일부가 변화한 2차 대사산물로 벤젠고리(C6H6)의 수소 중 하나가 수산기(OH−)로 치환된 물질을 페놀이라 하고 2개 이상 갖고 있는 물질을 폴리페놀 또는 다가페놀이라고 한다. 이러한 폴리페놀은 크게 플라보노이드와 비플라보노이드의 두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또는 구조의 특성에 따라 페놀산, 플라보노이드, 스틸벤, 리그난 등 4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 폴리페놀류가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생체 내에서 항산화제로 작용함으로써 건강유지와 질병예방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12).
차에 함유된 항산화 물질인 카테킨류의 생리활성 효능은 무엇인가? 이 성분들이 차의 독특한 맛과 풍미를 형성하며 특히 항산화 물질인 카테킨류에 의한 콜레스테롤 상승 억제, 혈당 상승 저해, 동맥경화방지, 항산화, 항균, 항궤양 및 돌연변이 억제 작용 등의 생리활성 효능이 과학적으로 규명되었다3-9).
활성산소는 어떠한 형태로 존재하는가? 특히, 차의 항산화 물질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 활성산소는 인간을 포함한 생물이 호흡이라는 과정을 통하여 에너지를 얻고 신진대사를 하는 과정에서 흡입된 산소의 약 2%가 활성산소로 변환되어 만들어 진다. 활성산소는 superoxide radical (O2−), hydroxy radical (HO·) 등과 같은 free radical의 형태로 존재하며, 이러한 활성산소는 불안정한 성격을 띠고 있어 주위의 물질과 반응성이 강해 세포 내 단백질이나 지질분자는 물론이고 유전정보를 함유한 DNA에 까지도 산화적 손상을 입히며 결과적으로 세포에 치명적인 피해 입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im, J.T.: Science and Culture of Tea, Borim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57-248 (1996). 

  2. Nakabayashi, T., Ina, K., Sakata, K.: Chemistry and Function of Green, Black and Oolong tea, Kogagu Press, Tokyo, Japan, pp. 20-51 (1994). 

  3. Matsuzaki, T.L, Hara, Y.: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leaf catechins, J. Agric. Chem. Soc., 59, 129-134 (1985). 

  4. Yoshioka, H., Sugiura, K., Kawahara, R., Hujita, T., Makino, M., Kamiya, M., Tsuyumu, S.: Formation of radicals and chemiluminescence during the auto- oxidation of the catechins, Agri Biol. Chem., 55, 2717-2723 (1991). 

  5. Song, J.M., Park, K.D., Lee, K.H., Byun, Y.H., Park, J.H., Kim, S.H., Kim, J.H., Seong, B.L.: Biological evaluation of anti-influenza viral activity of semisynthetic catechin derivatives, Antivir. Res., 76, 178-185 (2007). 

  6. Khan, S.M., Kour, G.: Subacute oral toxicity of chlorpyriphos and protective effect of green tea extract, Pestic. Biochem. Phys. 89, 118-123 (2007). 

  7. Mohan, K.V.P., Gunasekaran, P., Varalakshmi, E., Hara, Y., Nagini, S.: In vitro evaluation of the anticancer effect of lactoferrin and tea polyphenol combination on oral carcinoma cells, Cell Biol. Int., 31, 599-608 (2007). 

  8. Higdon, J.V., Frei, B.: Tea catechins and polyphenols: Health effects, metabolism, and antioxidant functions, Cri. Rev. Food Sci., 43, 89-143 (2003). 

  9. Lee, L.S., Park, J.D., Cha, H.S., Lee Y.M., Park J.W. and Kim S.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wdered Green Tea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2(1), 33-38 (2010). 

  10. Chang, S.S., Ostric-Matijasevice, B., Hsieholiver, A.I. and Hyung., C.L.: Natural antioxidants from rosemary and sage, J. Food Sci. 42, 1102-1110 (1997). 

  11. Bors, W. and Saran, M.: Radical scavenging by flavonoid antioxidants, FreeRad. Res. Comm., 2, 289-294 (1987). 

  12.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Tables of food functional composition first edition, Munyoungdang, Suwon, Korea, pp. 1-349. (2009). 

  13. Hertog, M.G.L., Hollman, P.C.H. and Katan, M.B.: Content of potentially anticarinogenic flavonoids of 28 vegetables and 9 fruits commonly consumed in the Netherlands, J. Agirc Food.Chem., 40, 2379-2383 (1992). 

  14. Kandaswami, C., Middleton, E. Jr.: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flavonoids, in Free radicals in diagnostic medicine, Springer, 15, 351-376. (1994). 

  15. Rice-Evans, C.A., Miller, H.J., Bolwell, O.G., Bramley, P.M. and Pridham, J.B.: The relative antioxidant activities of plantderived polyphenolic flavonoid, Free radical Res., 22, 375-383 (1995). 

  16. Park, M.Y., Lee, G.S., Park, S.J.: Power food-super food, Blue happiness, Goyang-si, Korea, pp. 260-264 (2010). 

  17. Choi, J.S., Oh, J.I., Hwang, I.T., Kim, S.E., Chun, J.C., Lee, B.H., Kim, J.S., Kim, T.J., Cho, K.Y.: Application and High Throughput Screening of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y using 96-Well Plate, Korean J. Pestic. Sci., 7, 92-99 (2003). 

  18. Nicklisch, S.C., Waite, J.H.: Optimized DPPH Assay in a Detergent-Based Buffer System for Measuring Antioxidant Activity of Proteins, MethodsX, 1, 233-238 (2014). 

  19. Li, X., Chen, D., Wang, G., Lu, Y.: Probing the Interaction of Human Serum Albumin with DPPH in the Absence and Presence of the Eight Antioxidants, Spectrochim Acta A Mol Biomol Spectrosc, 137, 1144-1152 (2015). 

  20. Lee, C.Y., Kim, K.M., Son, H.S.: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to Produce Rosemary Extracts with Higher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501-507 (2013). 

  21. Karahan, F., Kulak, M., Urlu, E., Gozuacik, H.G., Boyumez, T., Sekeroglu, N., Doganturk, I.H.: Total Phenolic Content, Ferric Reducing and DPPH Scavenging Activity of Arum Dioscoridis, Nat Prod Res., 29(7), 1678-1761 (2014). 

  22. Varoni, E.M, Vitalini, S., Contino, D., Lodi, G., Simonetti, P., Gardana, C., Sardella, A., Carrassi, A., Iriti, M.: Effects of Red Wine Intake on Human Salivary Antiradical Capac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Food Chem. Toxicol., 58, 289-294 (2013). 

  23. Chang, C.C., Yang, M.H., Wen, H.M. and Chen, J.C.: Estimation of total flavonoid content in propolis by two complementary colorimetric methods, J. Food Drug Anal., 10, 178-182 (2002). 

  24.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Korean Food Standards Code (2014). 

  25. Cardozo, E.L. Jr., Ferrarese-Filho, O., Cardozo Filho, L., Ferrarese, M. de L.L., Donaduzzi, C.M., Sturion, J.A.: Methylxanthines and phenolic compounds in mate (Ilex paraguariensis St. Hil.) progenies grown in Brazil, J. Food Compos. Anal., 20(7), 553-558 (2007). 

  26. Belitz, H.D. and Grosch, W., Food Chemistry, 2nd ed., Springer-Verlag, Berlin, pp. 886-893 (1999). 

  27. Yum, S.: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tea ceremony, Kookhak community Corp (2011). 

  28. Yang, S.J., Youn, K.S., No, H.K., Lee, S.H., Hong, J.H.: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Mate (Ilex paraguarensis) Ethanolic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8(3), 319-327 (2011). 

  2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Functional Ingredient of Health / Functional Foods (2011). 

  30. Yu, T.J.: Food donguibogam, Academyboo, Paju-sipp, Korea, pp. 458 (1999). 

  31. Shin, M. K.: Green tea science, Korean J. Dietary Culture, 9. 433-445 (1994). 

  32. Macrae, R, Robinson, R.K., Sadler, M.J.: Tea. In Encyclopedia of food science, food technology and nutrition,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pp. 4521-4542 (1993). 

  33. Choi, Y.M., Kim, M.H., Shin, J.J., Park, J.M., Lee, J.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5), 723-727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