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작약(Paeonia japonim)의 열수추출물로부터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열수추출물은 총매의 극성도에 따라 4종의 분획물(CHCl$_3$, EtOAc, n-BuOH, water)로 구분하였다. 항산화활성 시험 중 hydroxyl 라디칼 소거 시험에서는 열수추출물 및 각 용매 분획물은 모두 아주 낮은 활성을 보였다. 지질 과산화 시험에서는 열수추출물과 EtOAc 및 물 층 분획물이 50%(50 $\mu\textrm{g}$/$m\ell$ 농도에서 ) 이상의 억제활성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 시험에서는 열수추출물과 EtOAc 및 n-BuOH 분획물이 8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EtOAc 분획물은 50과 100 $\mu\textrm{g}$/$m\ell$의 농도에서 BHA와 거의 동등한 전자 공여능(EDA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EtOAc 분획물에서 2종의 단일 물질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일 물질인 PJE021-1과 PJE024-l은 10 $\mu\textrm{g}$/$m\ell$의 농도에서 BHA보다 높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PJE021-1은 $H_2O$$_2$에 의한 DNA의 산화적 손상에 대해 최고농도50 $\mu\textrm{g}$/$m\ell$에서 $H_2O$$_2$처리구에 비해 93%의 경감 효과를 나타냈고, PJE024-1은 0.5 $\mu\textrm{g}$/$m\ell$의 낮은 농도에서 71%의 경감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이 2종의 단일 물질이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유효 성분임을 확인하였다. 이 단일 물질은 분광학적기기 분석과 물리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gallic acid(PJE021-1)와 (+)-catechin(PJE024-1)으로 동정되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백작약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경감제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and to identify the active components of hot-water extract of Paeoniajaponica (PJ), which was a main ingredient of a herb mixture preparation recently established as a potent candidate of radioprotector in our laboratory. The wate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에는 방사선에 대한 재생 조직 및 면역 조혈계의 방호와 회복 촉진을 위해 생약복합조성물(PHM-1)을 개발하였다. 연구에서는 구성 원료의 하나인 백작약CPaeom'a丿aponica)의 열수 추출물 및 그의 용매별 분획에 대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분액층으로부터 항산화 활성 주성분을 분리하고자 하였으며 이 생약조성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방어 효과 입증과 그 주성분의 구조를 결정하고 라디칼 소거효과와 DNA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 나타내었다(Table 5). 따라서, 이 2종의 단일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 간주하였으며, 세포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의 손상에 대한 경감 효과를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Fridovich I. 1974. Superoxide radical and the bacterial action of phagocytes. J Med 290: 624-625 

  2. McCord JM. 1974. Free radical and inflammation. Protection of synovial fluid by superoxide dismutase. Science 185: 529-531 

  3. Fridovich I. 1978. The biology of oxygen radicals. Science 201: 875-880 

  4. Lynch RE, Fridovich I. 1978. Effect of superoxide on erythrocyte membrane. J Biol Chem 253: 1838-1845 

  5. Freeman BA, Grapo JD. 1982. Biology of disease: free radicals and tissue injury. Lab Invest 47: 412-426 

  6. Fridovich I. 1986. Biochem Biophys 247: 1-11 

  7. Ames BN. 1983. Dietary carcinogens and anticarcinogens, oxygen radicals and degenerative disease. Science 221: 1256-1264 

  8. Halliwell B, Gutteridge JMC. 1984. Oxygen toxicity, oxygen radicals, transition metals and disease. J Biochem 219: 1-14 

  9. Kitahara K, Matsumoto Y, Ueda H, Ueoka R. 1992. A remarkable antioxidation effect of natural phenol derivativeson the autoxidation of irradiated methyl linolate. Chem Pharm Bull 40: 2208-2209 

  10. Hanato T. 1995. Constituents of natural medicines with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species-tannins andrelated polyphenols. Natural Medicines 49: 357-363 

  11. Masaki H, Sakaki S, Atsumi T, Sakurai H. 1995.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 extracts. Bull Pharm Bull 18: 162-166 

  12. Cha BH, Lee SB, Rhim TJ, Lee KH. 2000. Constituents ofantioxidative activity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from Galla Rhois (Rhus javanica Linne). Kor J Pharmacogn 31: 185-189 

  13. Na MK, An RB, Lee SM, Hong ND, Yoo JK, Lee CB, Kim JP, Bae KH. 2001. Screening of crude drugs for antioxidative activity. Kor J Pharmacogn 32: 108-115 

  14. Oh H, Park HR, Jeong IY, Kim SH, Jo SK. 2002. Protective effects of Paeonia japonica against radiation-induced damage. J Korean Associ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27: 181-188 

  15. Gutteridge JM. 1984. Reactivity of hydroxyl and hydroxyl like radicals discriminated by release of thiobarbituric acidreactive material from deoxy sugars, nucleosides and benzoate. Biochem J 224: 761-767 

  16. Nakatani N, Kikuzaki H. 1987. A new antioxidative gluco-side isolated oregano (Origanum vulgare L.). Agric Biol Chem 51: 2727-2734 

  17.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8. Singh NP, Stephens RE, Schneider EL. 1995. Induction of DNA single-strand breaks in human lymphocytes by lowdoses of $\gamma$ -ray. J Radiat Biol 66: 563-569 

  19. Ahn JS, Kwon YS, Kim CM. 1999.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of Polygonum bistorta. Kor J Pharmacogn 30: 345-349 

  20. Kwon EJ, Kim YC, Kwon MS, Kim CS, Kang WW, Lee JB, Chung SK. 2001. Antioxidative activity of solvent fractionand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 from chestnut husk.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726-731 

  21. Kim YI, Lee SH, Cho TS. 1996. Isolation of anticanceragents from the leaves of Platycarya strobilacea S. et Z. Kor J Pharmacogn 27: 238-245 

  22. Yinrong Y, Yeap F. 1999. The polyphenol constituents of grape pomace. Food Chemistry 65: 1-8 

  23. Kwon MN, Choi JS, Byun DS. 1993. Effect of flavonoid(+)-catechin as stabilizer in rat fed fresh and peroxidizedfish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2: 381-39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