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 고등학생 대상 영양교육 목표 설정을 위한 영양 관련 문제점 분석
Setting Instructional Goals fo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hrough an Analysis of Problems Identified in Junior/senior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8 no.4, 2003년, pp.495 - 503  

양일선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이해영 (연세대학교 식품영양과학연구소) ,  김혜영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강여화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Web-Based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analyzed nutritional problems of junior/se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set appropriate instructional goals fo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October 21,2002 to October 2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의 영양 관련 문제점을 규명함으로써 Dick 등(2001)이 제안한 교수설계 방법론을 적용하는 중·고등학생을 위한 웹 기반 영양교육프 로그램의 개발에 있어서 제 1 단계인 영양교육 목표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 목표 1: 식생활의 중요성과 문제점에 대하여 중·고등학생의 이해나 인식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다.
  • 목표 2: 중·고등학생의 신체적 기능을 보다 향상된 수준으로 유도하여 건강을 항상유지할 수 있도록 개인의 식생활과 관련된 지식, 습관 및 태도 등을 변화시킨다.
  • 본 연구는 전통적인 수업방식에서 요구되는 교사와 학생의 역할과 활동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급식 현장에서 영양 교육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교육의 새로운 형태로 제시되고 있는 웹 기반 교육 형태와 Dick 등(2001)의 교수이론을 접목시켜 '웹에 기반을 둔 중·고등학생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제 1 단계인 중, 고등학생의 영양 관련 문제점 분석을 통해 영양교육 목표를 설정 하였다.
  • 이와 같은 중·고등학생의 영양관련 문제점 조사 결과를 참조로 하여 중·고등학생을 위해 행해져야 하는 영양 교육상의 중요 항목을 선별하였으며 이에 따라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기존에 실시하고 있는 영양교육과 차별화되고 학생들의 특성을 감안하며 정보화시대에 학생들에게 친근한 컴퓨터를 이용한 WBI를 기초로 하는 영양교육프로그램의 개발방법이 학교급식과 연계되어 모색되어진다면 영양교육 본연의 목적인 영양 및 건강관련 지식 전달 및 태도 행동 변화로 미래 국가의 주도 세력이 될 청소년의 건강증진 및 경쟁력 강화라는 국가적 시책에 일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rnold CG, Sobal J (2000): Food practices and nutrition knowledge after graduation from the expanded food and nut rition education program (EFNEP). J Nutr Educ32(3): 130-138 

  2. Auld GW, Romaniello C, Heimendinger J, Hambidge C, Heimendinger M (1999): Outcomes from a school-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alternating special resource teachers and classroom teachers. J Sch Health 69(10): 403-408 

  3. Baranowski T, Baranowski J, Cullen KW, Moor C, Rittenberry L, Hebert D, Jones L (2002): 5 a Day achievement badge for African American boy scouts: pilot outcome results. Prey Med 34 (3) : 353-363 

  4. Carlton DJ, Kicklighter JR, Jonnalagadda SS, Shoffner MB (2000): Design, development, and formative evaluation of "Put nutrition into practice", a multimedi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adult JAm Diet Assoc 100 (5): 555-563 

  5. Dick W, Carey L, Carey JO (200I) :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5th ed. Longman Publishing Co., New York 

  6. Gable S, Lutz S (2001): Nutrition socialization experiences of children in the head start program. J Am Diet Assoc IO1(5): 572-577 

  7. Han HY, Kim EK, Park KW (1997):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nowledge, food attitude, food habits, food preference and plate waste of lementary school children served by the national school lunch program. Korean J Nutrition 30(10): 1219-1228 

  8. Jang YA, Han SS, Lee HS, Kim SH, Kim HY, Kim WK, Oh SY, Cho SS (2000): A study for dietary attitude and food behavicr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Korea. Kor home Economics Assoc 38 (8) : 85-97 

  9. Kim IS (1993): A study about lunch nutrition statu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a part of Kyonggi area. Kyung Won Univ. Master's thesis 

  10. Kim KH (2002): The effects of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for body weight control of obese children. Korean J Dietary Culture 17(2): 185-196 

  11. Kim KJ (999): Web based nutrition information service system. Korean J Nutrition 32: 988-991 

  12. Kim KJ, Kim KM, Kang HJ, Ryu ES (2000): The development and effect-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nutr. tion support in kindergarten. Korean J Nutrition 33 (I) : 68-79 

  13. Kim KW, Shin EM (2002):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 ttitudes, dietary behavior and dietary intake by weight control attempt among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 Nutr 7 (1) : 23-31 

  14. Kim MR, Sohn HS, Kim SB, Cha YS (2002): A study of the nutritional intake from lunch-box of middle school girls in the Chor.buk area. Korean J Comm Nutr 7 (6) : 824-832 

  15. Lee BS (1996): A study on dietary habit and food preference, lt nch status by gender of juvenile in rural. Kyung nam Univ. Master's thesis 

  16. Lee JS, Ha BJ (2003): A study of the dietary attitude,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ent intak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ices in Gyeong-narn. Korean J Comm Nutr 8(2): 171-180 

  17. Lee JW, Lee BK (1998): Examination about the television's role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content analysis of nutrition-related programs. Korean J Comm Nutr 3 (4) : 642-654 

  18. Lee JW, Lee MS, Kim JH, Sohn SM, Lee BS (1999): Nutritional assernent. Kyomun Publishing Co., Seoul 

  19. Lee JW, Seo JS, Kim KE, Ly SY (2002): A needs assessment to develop website contents on nutritional information and counseling for teenagers. Korean J Comm Nutr 7 (5) : 664-674 

  20. Lee KH, Huh ES (2002): Development of computer-aided nutritionaleducation program for the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ition 35 (7): 791-799 

  21. Lee MS, Woo MK (1999) : Changes in food habit,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nutrition course. Korean J Nutrition 32 (6) : 739-745 

  22. Lee YM, Han MS (1996):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in Sungnam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II (3) : 305-316 

  23. Lee YM, Lee MJ (2002): Nutrition education. Shinkwang Publishing Co., Seoul 

  24. Lim KS, Kim YJ, Han MH (1999): Evaluation of chil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health center. Proceeding of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Conference Autumn) , pp.37 

  25. Oenema A, Brug J, Lechner L (2001): Web-based tailored nutrition education: results of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ealth Educ Res 16(6): 647-660 

  26. Stonerook AL, Wolf KN, Bartlett BJ, George T (1999): Education and certification influence the nutrition and management knowledge of long-term-care oodservice managers. J Am Diet Assoc 99 (5) : 553-557 

  2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The 7th revision of recorn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8. Woo MK, legal SA, Kim SA (199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aged men at worksite. Korean J Comm Nutr 3 (2) : 261-2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