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가공방법을 달리하여 열풍건조한 고춧가루가 고추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Red Pepper Powders Dried in Hot-Air by Various Processing Methods on Quality of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6, 2003년, pp.870 - 875  

박소희 (대림대학 호텔외식산업경영과) ,  구혜진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  임호수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  유진현 (경기대학교 외식조리관리학과) ,  황성연 (한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신언환 (울산과학대학 호텔조리과) ,  박영희 (대림대학 호텔외식산업경영과) ,  이종호 (대림대학 호텔외식산업경영과) ,  조재선 (경희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추장의 품질 개선을 위하여 열풍건조시 처리방법을 달리한 고춧가루를 첨가한 고추장을 제조하고 90일간 숙성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고추장의 pH는 숙성중 vit. C 첨가구가 가장 낮았고, 총산도 또한 vit. C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환원당 함량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고 이후 90일까지 모든 고추장에서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아미노태질소함량은 숙성 75일까지 계속 증가하여 마쇄건조 첨가구의 함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가장 높았고 이후 감소하였다. 고추장의 색도에서 L값과 a값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모두 증가한 반면 b값은 감소하였으며, 마쇄건조 첨가구 고추장의 L, a, b값이 다른 시료보다 모두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고추장의 외관,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마쇄건조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서 고추장 제조시 고춧가루는 고추를 마쇄하여 열풍 건조시킨 것을 첨가하면 고추장의 품질을 보다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based on hot-air dried the red pepper powders with different treatments, were investigated during 90 days fermentation to obtain information for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Kochujang. The pH was decreased gradually during fermentation, and pH of the co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식 고추장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열풍 건조 시 가공 방법을 달리한 고춧가루로 고추장을 제조하고 숙성 중 이 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TS, Lee SK, Kim SS, Yosihda T. 1970. Microbiological studies of red pepper paste fermentation (Part I). The distribution of the yeasts during the red pepper paste fermentation periods. Korean J Microbiol 8: 151-162. 

  2. Lee JM, Jang JH, Oh NS, Han MS. 1996. Bacterial distribution of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60-266. 

  3. Shin DH, Kim DH, Choi U, Lim MS, An EY. 1997.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s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various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1-906. 

  4. Jung JH, Cho BH, Lee CY. 1963. Studies on the compositions of hot bean paste. Korean J Agri Chem Biotech 4: 43-46. 

  5. Cho HO, Kim JG, Lee HJ, Kang JH, Lee TS. 1981. Brewing method and composition of traditional Kochujang (red pepper paste) in Junrabook-do area. Korean J Agri Chem Biotech 24: 21-27. 

  6. Kim YS. 1993. Studie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roma component during fermentation of traditional Kochujang. PhD Thesis. Sejong University, Korea. 

  7. Shin DH, Kim DH, Choi W, Lim DG, Lim MS. 1996.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 28: 157-162. 

  8. Park SW, Park YJ. 1979. Studies on quality and component of Kochujang with different materials. ChungNam University Agricultural Technology Research Report 6: 205-215. 

  9. Lee MH, Son MH. 1982. Studie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chujang with different starch source during fermentation. Collection of Papers, Seoul Woman's University, Korea 11: 331-400. 

  10. Mun TW, Kim ZW. 1988. Some chemical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cceptability Kochujang from various starch sources. Korean J Agri Chem Biotech 31: 387-393. 

  11. Kwon DJ, Jung JW, Kim JH, Park JH, Yoo JY, Koo YJ, Jang KS. 1996. Food sciences: Studies on establishment of optima aging time of Korean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Agri Chem Biotech 39: 127-133. 

  12. Cho HO, Park SO, Kim JG. 1981. Effect of traditional and improved Kochujang soybean on improvement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 13: 319-328. 

  13. Lee TS, Park SO, Gung SS. 1984. Free amino acid and free sugar contents of liquid koji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 16: 7-11. 

  14. Lee GS, Kim DH. 1989. Effect of Bacillus subtilis on quality of Kochujang with low salt. Collection of Papers, Won-Kwang University, Korea 23: 431-500. 

  15. Lee TS. 1979. Studies on the brewing of Kochujang (red pepper paste) by the addition of yeasts. Korean J Agri Chem Biotech 22: 65-90. 

  16. Lee GS, Kim DH. 1985. Preparation of low salt Kochujang by addition of alcohol. Korean J Food Sci Tech 17: 146-155. 

  17. Lee SG. 1984. Effect of content of red pepper seed on Kochujang components. Korean J Industr Microbiol 12: 293-303. 

  18. Shin HH, Lee SR. 1991.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red pepper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ing areas. Korean J Food Sci Tech 23: 296-300. 

  19. Lee HD, Kim MH, Lee CH. 1992. Relationships between the taste components and sensory preference of Korean red peppers. Korean J Food Sci Tech 24: 266-271. 

  20. Lee TS, Park YJ. 1976. Studies on the effects of red pepper powder on the enzyme production and growth of Asp. Oryzae-[Part I]- The effects of concentration of red pepper powder added. Korean J Agri Chem Biotech 19: 227-231. 

  21. Lee KS, Moon CO, Baek SH, Kim DH. 1986. Effect of garlic on the quality of barley Kochujang brewed with whole red pepper. Korean J Industrial Microbiol 14: 225-232. 

  22. Chung MS, Lee TS, Noh BS. 1995. The changes in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in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ash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 3: 225-232. 

  23. Somogyi M. 1952. Notes on sugar determination. J Biol Chem 195: 19-23. 

  24. Kim KO, Kim SS, Seung NK, Lee YC. 1997. The sensory test and method. 1st ed. Shin Kwang Publishing Company, Seoul. p 124-135. 

  25. Kim JK, Cha JO, Kim YJ. 1995. SAS application method. 1st ed. Heijiwon, Seoul. p 156-175. 

  26. An HW. 1997. Studies on analysis of components related to quality of Korean red pepper. MS Thesis. Kyong-Hee University, Korea. 

  27. Lee GH, Lee MS, Park SO. 1976. Studies on the microflora and enzymes influencing on Korea native Kochujang (red pepper soybean paste) aging. Korean J Agri Chem Biotech 19: 82-92. 

  28. Kim MS, Shin DH, Kim IW, Oh JA, 1998. Quality changes of traditional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eju and red pepper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 30: 924-933. 

  29. Shin DH, Kim DH, Choi U, Lim MS, An EY. 1997. Effect of red pepper variet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Nutr 26: 1044-1049. 

  30. Shin DH, Kim DH, Choi U, Lim EK, Lim MS. 1996.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Korean J Food Sci Tech 23: 157-1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