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건강증진사업 수행과정의 질 평가지표 개발 -고혈압관리사업에서의 타당도 검증-
The Development of a Quality Assessment Tool for the Proces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Public Health Centers 원문보기

보건행정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v.13 no.3 = no.34, 2003년, pp.35 - 51  

서영준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정애숙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박태선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이규식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urports to develop a quality assessment tool for the process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public health centers(PHC). The draft of the assessment tool developed by the literature was distributed to 242 staffs who were in charge of the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PHCs for evaluating t...

주제어

참고문헌 (13)

  1. 변종화, 문상식, 이주열, 남정자, 한영자, 문옥륜 등. 국민건강증진기금사업의 운영 및 평가체계 개발. 서울 : 보건복지부;1999. 

  2. 보건복지부. 2001 국민건강증진사업 편람. 서울;복건복지부:2001. 

  3.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거점보건소기술지원평가단 사업보고서. 서울 : 보건복지부;2001. 

  4. 실버만. 환자의 관점에서 본 질 향상, 의료의 질 경영 따라잡기, Graham N. O. (ed.). 김춘배 외 4인(옮김). 서울:계축문화사;2001. 

  5. Baum F. Measuring effectiveness in community-based Health promotion: Quality, evidence and effectiveness in health promotion Edited by John Kenneth Davies and Gorden Macdonald, London and New York;1998. pp.68-89. 

  6. Davis JK, Gordon M. Quality, evidence and effectiveness in health promo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98. pp68-109. 

  7. Donabedian A. Exploration in quality assessment and monitoring vol 1: The definition of quality and approaches to its assessment. Ann Arbor, Michigan: ealth Administration Press;1980. pp. 24-26, pp.101-109. 

  8. Haglund BJA, Petterson B., Finder D, Tillgren P. The SundsvalI Handbook, 'We Can Do It' From the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ealth promotion, Sundsvall, Sweden, Sundbyberg: Karolinska Institutet, Department of Public Science, Division of Social Medicine; 1993. pp.9-15. 

  9. Mcdonald G. Presentation of existing standards for evaluation and quality assessment of health promotion intervention in the 15 EU member states. Final Report; Woerden, Netherlands: International Union for Health Promotion Education and Netherlands Institute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1996. 

  10. Petterson B. Ett dussin kvalitestskomponenter i halsofrfunjande arbete. Working paper. Stockholm: Karolinska Institute, Department of Public Health Sciences, Division of Social Medicine-Master Course in Health Promotion(in swedish); 1992. 

  11. Speller V, Evans D, Heak MJ, Developing quality assurance standards for healthpromotion practice in UK.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997;12(3):215-224. 

  12. Ovretveit J, Quality in health promotion.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996;1:5-62. 

  13. Vuori H. Patient satisfaction - an attribute or indicator of the quality of care? editorial. Quality Review Bulletin 1987;13(3):106-1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