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밥 제조공정에서의 미생물 오염도 평가 및 감마선 조사를 이용한 김밥의 보존안정성 향상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Process of Rice Rolled in Dried Laver and Improvement of Shelf-life by Gamma Irradi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7, 2003년, pp.991 - 996  

김동호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식품ㆍ생명공학연구팀) ,  송현파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식품ㆍ생명공학연구팀) ,  김재경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식품ㆍ생명공학연구팀) ,  김정옥 (세종대학교 생활과학관) ,  이현자 (한경대학교 가정학과) ,  변명우 (한국원자력연구소 방사선식품ㆍ생명공학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밥 원료 및 김밥 보존 중의 일반 호기성세균과 대장균군의 분포를 측정하고 감마선 조사에 의한 김밥의 위생성 및 보존성 개선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김밥 원료 중 미생물 오염이 가장 큰 것은 김이었으며 비가열 채소인 오이의 오염가능성도 높았으나 실제로 김밥에 오염된 미생물의 대부분은 제조과정에서 환경으로부터 유입되었다. 김밥의 보존 중 일반세균의 생장은 밥과 계란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장균군의 생장은 동물성 원료인 계란과 햄에서 현저하였다. 김밥의 감마선 조사에서 일반세균은 2kGy 이상의 선량에서 2∼4 log cycle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대장균군은 2 kGy 이상의 선량에서 대부분 사멸되었다. 감마선 조사선량에 따른 김밥의 관능평가 결과 3 kGy 조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관능적인 선호도가 현저히 낮았으며 2 kGy 조사구는 감마선 조사 직후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선호도가 낮았으나 15$^{\circ}C$에서 24시간 보존 후에도 안정적인 관능특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김밥의 위생성 및 보존성 개선을 위하여 2 kGy의 감마선 조사가 적정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termination of regional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process of rice rolled in dried laver (Kimbab) and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improvement of hygienic quality and shelf stability were investigated. Total aerobic bacterial distribution of raw materials of Kimbab were; 10$^{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김밥 원료 및 김밥 보존 중의 일반 호기성세균과 대장균군의 분포를 측정하고 감마선 조사에 의한 김밥의 위생성 및 보존성 개선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김밥 원료 중 미생물 오염이 가장 큰 것은 김이었으며 비가열 채소인 오이의 오염가능성도 높았으나 실제로 김밥에 오염된 미생물의 대부분은 제조과정 에서 환졍으로부터 유입되었다 김밥의 보존 중 일반세균의 생장은 밥과 계란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장균군의 생장은 동물성 원료인 계란과 햄에서 현저하였다.
  • 특히, 감마선 조사기술은 완전 포장 후 살균이 가능하고 잔류독성 이 전혀 없으며 식품고유의 풍미와 생화학적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미생물에 대하여 강력한 살균효과를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므로 위생미생물의 오염 가능성이 큰 즉석조리식품(ready to eat food)이나 최소가공식품(minimal processed food)의 보존성 및 위생성의 향상에도 좋은 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CL5/L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인 즉석식품인 김밥의 보존성과 위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의 방법으로, 김밥의 미생물 분포와 전이를 살펴보고 아울러 감마선을 조사한 다음 저장기간 중의 미생물 변화와 관능특성을 평가하여 김밥에 대한 적정 감마선 조사선량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Values within a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 cantly different a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wak TK, Kim SH, Park SJ, Cho YS, Choi EH. 1996. The improvement of the sanitary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actices for packaged meals (Kimbab) marketed in convenience stores using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J Fd Hyg Safety 11: 177-187. 

  2. Lee HS, Ryu SY. 1998. The seasonal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Kimbab (seaweed roll) production flow in food service facilities for Univ. studends. Korean J Soc Food Sci 14: 367-374. 

  3. Kang YS, Yoon SK, Jwa SH, Lee DH, Woo GJ, Park YS, Kim CM. 2002. Prevale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n Kimbab. J Fd Hyg Safety 17: 31-35. 

  4. Zhou Z, Robards K, Helliwell S, Blanchard C. 2003. Effect of rice storage on pasting properties of rice flour. Food Research International 36: 625-634. 

  5. Finlay WJJ, Logan NA, Sutherland AD. 2002. Bacillus cereus emetic toxin production in cooked rice. Food Microbiology 19: 431-439. 

  6. Jang KI, Park JH, Kim KY. 1999. Studies on Salmonella enteritidis contamination in chicken egg using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771-777. 

  7. Kim JW, Kim HC, Hur JW. 1998. Quality changes of egg product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80-1483. 

  8. Lee YW, Kim JG. 1997. A study on the shelf-life of hams and sausages in refrigerated storage. J Fd Hyg Safety 12: 26-38. 

  9. Kim BK, Hong KP, Park JY. 1998. Improvement in storage stability of Danmooji (salted radish)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and heat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32-138. 

  10. Ray B. 2001. Fundamental food microbiology. 2nd ed. CRC Press, New York. p 35-53. 

  11. Nguyen C, Carlin F. 1994. The microbiology of minimally processed fresh fruits and vegetables. 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34: 371-401. 

  12. Ahn HJ, Yook HS, Kim DH, Kim S, Byun MW. 2001. Identification of radiation resistant bacterium isolated from dried laver (Porphyra tener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93-195. 

  13. FAO/IAEA/WHO Study Group. 1999. High-dose irradiation: Wholesomeness of food irradiated with doses above 10 kGy. In WHO technical report series 890.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p 49-77. 

  14. Byun MW. 1997. Application and aspect of irradiation technology in food industry. Food Science and Industry 30: 89-100. 

  15. Grant IR, Patterson MF. 1992. Sensitivity of foodborne pathogens to irradiation in the components of a chilled ready meal. Food Microbiology 9: 95-103 

  16. Foley DM, Reher E, Caporaso F, Trimboli S, Musherraf Z, Prakash A. 2001. Elimin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changes in phys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a prepared meal following gamma irradiation. Food Microbiology 18: 193-204. 

  17. Difco Laboratories. 1984. Difco manual. 10th ed. Detroit, Michigan, USA. 

  18. Robertson LJ, Johannessen GS, Gjerde BK, Loncarevic S. 2002. Microbiological analysis of seed sprouts in Norway.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75: 119-126. 

  19. Fang TJ, Wei QK, Liao CW, Hung MJ, Wang TH. 2003. Microbiological quality of 18oC ready-to-eat food products sold in Taiwan.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Microbiology 80: 241-250 

  20. Ma K, Maxcy RB. 1981. Factors influencing radiation resistance of vegetative bacteria and spores associated with radappertization of meat. J Food Sci 46: 612-616. 

  21. Kim DH, Jo C, Yook HS, Park BJ, Byun MW. 2002. Enhancement of preservation characteristics of Meju, an intermediate material for Korean legume-based fermented soy sauce, Kanjang, by irradiation.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64: 317-322. 

  22. Niemira BA, Sommers CH, Boyd G. 2001. Irradiation inactivation of four Salmonella serotypes in orange juices with various turbidities. Journal of Food Protection 64: 614-617. 

  23. Thayer DW. 1995. Use of irradiation to kill enteric pathogens on meat and poultry. J Food Safety 15: 81-1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