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성분조성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먹고 있는 일반 마른 멸치와 지역특산품인 죽방멸치의 이화학적 식품성분 조성을 분석하여 이들의 품질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시판 마른 멸치의 수분 함량은 일반 마른 멸치가,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죽방멸치가 다소 많았으며,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은 일반 마른멸치가 다소 많았다. 한편, 지질의 산패는 TBA값으로 보아 죽방멸치가 약간 더 진행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마른 멸치 및 죽방멸치의 구성아미노산함량은 각각 41.g∼46.5 g/100 g 및 42.0∼49.2 g/100 g으로서 glutamic acid, aspartic acid, histidine, leucine, alanine 및 arginine 등이 주요 구성 아미노산이었으며, 양 시료 모두 중대멸이 소멸에 비해 구성아미노산들의 함량이 많았다. 일반 마른멸치와 죽방멸치의 지방질 조성에서 중성 및 극성지방질의 조성은 양자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대체로 극성지방질의 조성비가 상당히 높았다. 각 지방질의 주요 구성 지방산은 14:0, 16:0, 16:1n-7, 18:1n-9, 20:5n-3 및 22:6n-3 등이었으며, n-3계열의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조성비는 일반 마른멸치가 높았다. 일반 마른멸치와 죽방멸치의 유리아미노산의 총량은 각각 953.7∼1,044.8 mg/100g 및 968.8∼ 1,306.4 mg/100 g이었으며, taurine, histidine, alanine, 1-methyl histidine, Lysine, glutamic acid및 glycine의 함량이 많았다. IMP 및 TMAO, creatinine등의 염기류는 죽방멸치 쪽의 함량이 약간 많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주요 정미 발현성분의 하나인 무기성분 함량은 소멸쪽이 중대멸에 비해 대체로 많았으며, 일반 마른멸치와 죽방멸치 간에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중대멸은 조직감을 제외한 맛, 외관 및 냄새에서 죽방멸치 쪽이 우수하였으나, 소멸의 경우에서는 양자간에 관능적인 차이가 거의 인지되지 않았다. 시판 마른멸치류의 품질은 이화학적 구성 성분의 함량 차이보다는 마른멸치의 외관, 맛, 냄새 등 관능적 면에서 결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ood compone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wo kinds of boiled-dried anchovies (Engraulis japonica) in the Korean market such as the Jukbang-Myoel (JM) and Kwonhyunmang-Myeol (KM) were investigated. KM was higher in moisture content, and lower in crude protein and lipid contents than JM. V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통 수산식품의 성분 조성 및 품질특성 에관한 연구로서, 지역특산품인 죽방멸치와 시판 일반 마른멸치의 지방질 및 정미 성분과 같은 식품·품질성분을분석 ·비교하였으며, 아울러 국내 시판 마른 멸치류의 성분및 품질 특성, 그리고 객관적인 품질지표의 설정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우리나라 전통 수산식품의 성분 조성 및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먹고 있는 일반 마른멸치 와 지역 특산품인 죽방멸 치 의 이 화학적 식품성분조성을 분석하여 이들의 품질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시판 마른 멸치의 수분 함량은 일반 마른 멸치가, 조단백질 및 조지방 함량은 죽방멸치가 다소 많았으며, 휘발성 염기질소함량은 일반 마른 멸치가 다소 많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The fisheries association of Korea. 2001. Statistical yearbook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p 1248-1253. 

  2. Kim IS, Lee TG, Yeum DM, Cho ML, Park HW, Cho TJ, Heu MS, Kim JS. 2000.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old air dried anchov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73-980. 

  3. Lee EH, Kim SK, Jeon JK, Cha YJ, Chung SH. 1981. The taste compounds in boiled-dried anchovy. J Korean Fish Soc 14: 194-200. 

  4. Lee EH, Ha JH, Cha YJ, Oh KS, Kwon CS. 1984. Preparation of powdered dried sea mussel and anchovy for instant soup. J Korean Fish Soc 17: 299-305. 

  5. Lee EH, Oh KS, Lee TH, Chung YH, Kim SK, Park HY. 1986. Fatty acid content of five kinds of boiled-dried anchovies on the market. J Korean Fish Soc 19: 183-186. 

  6. Oh KS, Lee HJ. 1994. Processing of powdered smokeddried anchovy soup and its taste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93-397. 

  7. Akihide T. 1996. Change in free amino acid composition caused by lipid oxidation in pulverized niboshi boiled and dried anchovy during storage. Bull Japan Soc Sci Fish 62: 240-245. 

  8. Kim JS, Heu MS, Kim HS. 2001.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boiled-dried anchovies processed in Korea and Japan. J Korean Fish Soc 34: 685-690. 

  9. Kim DS, Koizumi C, Jeong BY, Jo KS. 1994. Studies on the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anchovy sauce prepared by heating fermentation. J Korean Fish Soc 27: 469-475. 

  10. KFN. 2000. Handbook of experimental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Hyoil Publish Co., Seoul. p 96-127. 

  11. KFN. 2000. Handbook of experimental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Hyoil Publish Co., Seoul. p 625-627. 

  12. Tarladgis BG, Watts MM, Younathan MJ. 1960. A distillation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malonaldehyde in rancid food. J Am Oils Chem Soc 37: 44-48. 

  13. Bligh EG,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 911-917. 

  14. Juaneda P, Rocquelin G. 1985. Rapid and convenient preparation of phospholipid and non-phospholipids from ray heart using silica cartridges. Lipids 20: 40-43. 

  15. AOCS. 1990. Official method Ce 1B-89, Fatty acid composition by GLC in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OCS. 4th edition. Champaign, Illinois. Vol 1, p 471. 

  16. Oh KS, Lee EH, Kim MC, Lee KH. 1987.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kipjack meat extract. J Korean Fish Soc 20: 441-446. 

  17. Ryder JM. 1985. Determination of ATP and its breakdown products in fish muscle by HPLC. J Agric Food Chem 33: 678-680. 

  18. Hashimoto Y, Okaichi T. 1957. On the determination of TMA and TMAO. Bull Japan Soc Sci Fish 23: 269-272. 

  19. 佐藤德郞, 福山副太郞. 1958. 生化學領?域における電光比色 法. 南江堂, 東京. p 102-108. 

  20. Konosu S, Kasai E. 1961. Muscle extracts of aquatic animals-Ⅲ. On the method for determination of betaine and its content of the muscle of some marine animals. Bull Japan Soc Sci Fish 27: 194-198. 

  21. Ohara T. 1982. Food analysis handbook. Kenpakusha, Tokyo. p 264-267. 

  22. Yoo JH, Kwon DJ, Park JH, Koo YJ. 1984. Use of nisin as an aid reduction of thermal process of bottled Sikhae. J Microbial and Biotech 4: 141-145. 

  23. ? 敬. 1976. 分析化學I. 新實驗化學講座-9. 丸善, 東京. p 240. 

  24. Park YH, Jang DS, Kim SB. 1995. Seafood processing and utilization. Hyeongseol Publish Co., Seoul. p 403. 

  25. Kim DH. 1985. Food chemistry. Tamgudang, Seoul. p 468-471. 

  26. Park HY, Cho YJ, Oh KS, Koo JK, Lee NG. 2000. Applied seafood processing. Suhyup Publish Co., Seoul. p 76-79. 

  27. Park YH, Jang DS, Kim SB. 1995. Seafood processing and utilization. Hyeongseol Publish Co., Seoul. p 116-119. 

  28. 秦 和彦, 勝田孝夫. 1985. EPAの生理活性效果. 食品工業 9: 53-60. 

  29. Hayashi T, Yamaguchi K, Konosu S. 1981. Sensory analysis of taste-active components in the extract of boiled snow crab meat. J Food Sci 46: 479-483. 

  30. Kim WJ. 1987. Fisheries chemistry. Sejinsa, Seoul. p 91-93. 

  31. Park YH, Jang DS, Kim SB. 1995. Seafood processing and utilization. Hyeongseol Publish Co., Seoul. p 154. 

  32. Russel MS, Baldwin BE. 1975. Creatine thresholds and implications for flavor meat. J Food Sci 40: 429-431. 

  33. Park HY, Cho YJ, Oh KS, Koo JK, Lee NG. 2000. Applied seafood processing. Suhyup Publish Co., Seoul. p 100-105. 

  34. Hayashi T, Yamaguchi K, Konosu S. 1978. Studies on flavor components in boiled crabs-II. Bull Japan Soc Sci Fish 44: 1357-13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