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상용채소 7종의 항산화능 및 항돌연변이능 검색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apacities in 7 Common Vegetables Taken by Korea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8, 2003년, pp.1344 - 1350  

오세인 (서일대학 식품영양과) ,  이미숙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인이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구입하여 주로 상용하는 7종의 채소에 대해 MDA에 대한 단백질의 보호효과, linoleic acid를 이용한 지질과산화억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고, Ames test를 통한 항돌연변이능의 탐색 및 상호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7종의 채소류물 추출물의 MDA에 대한 단백질의 보호효과에서는 깻잎과 돌나물(62.5%)이 가장 효과적으로 MDA의 교차결합을 차단하였고 부추, 참취, 돌미나리도 각각 57.4%, 53.5%, 45.6%의 저해율을 보였다. 또한 MDA의 교차결합의 형성 차단정도를 비교한 상대 저해율은 채소류의 물추출물 처리농도가 증가할수록 저해율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7종의 채소류 에탄올추출물의 지질과 산화억제 활성을 측정한 결과, 가장 우수한 저해활성을 보인 채소는 상대적으로 돌나물(67.1%), 돌미나리(61.5%)가 유지류의 자동산화 반응에 대한 항산화효과가 가장 높았다. 7종의 채소류 에탄올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쑥갓(78.8%), 돌미나리 (73.6%)가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각 채소류 에탄올 추출물들의 $IC_{50}$/값은 쑥갓이 31.1 $\mu\textrm{g}$/assay, 돌미나리가 93.8 $\mu\textrm{g}$/assay이었다. Ames test를 통한 채소류 에탄올 추출물의 항돌연변이능 실험에서는, 간접 작용 항돌연변이 능을 S. typimurium TA98로 측정한 결과 2-anthramine에 대한 항돌연변이능은 돌미나리(99.8%), 깻잎(85.6%), 부추(79.6%), 쑥갓(79.4%), 시금치(74.5%)등이 높았다. S. typimurium TA100에서 2-anthramine의 돌연변이능에 대한 저해효과는 돌미나리(100.0%), 쑥갓(79.1%), 시금치 (71.3%) 등이 높았다. 직접작용 항돌연변이능을 S. typimurium TA98로 실험한 결과 2-nitrofluorene의 돌연변이능의 저해율이 높은 채소는 깻잎(82.8%), 참취 (82.3%), 쑥갓(56.6%)이었다. 또한 S. typimurium TA100 에서 sodium azide의 돌연변이능에 저해효과가 가장 큰 채소는 돌미나리 (91.8%)이었다. 따라서 MDA & BSA conjugation 반응, 지질과산화억제활성,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각 측정법에 따라 항산화효과에 차이가 있었으나 이들 7종의 채소류를 상용함으로써 광범위하게는 만성 성인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되며, 본 연구의 결과가 항산화성 및 항돌연변이성 기능성 식품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 as the inhibition of malondialdehyde (MDA) and bovine serum albumin (BSA) conjugation reaction,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and the scavenging effect on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 and antimutagenic capaciti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한국인이 일상생활에서 손쉽게 구입하여 나물 등으로 상용하는 채소류 7종, 깻잎, 돌나물, 돌미나리, 부추, 시금치, 쑥갓, 참취를 대상으로, 각 채소마다 항산화 효과와 항돌연변이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측정해보고, 이 채소들 간의 항산화 효과와 항돌연변이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채소류 물 추출물의 MDA(malondialdehyde)에 대한 단백질의 보호 효과와 채소류 에탄올 추출물의 지질 과산화(lipid peroxidation) 저해효과, DPPH( 1, 1 -diphenyl-2-picryl hydrazyl) 라디칼 소거 효과를 측정하여 단백질의 산화 및 유지류의 자동산화 반응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고, Ames test를 통하여 채소류 에탄올 추출물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 능을 탐색하고 상호 비교함으로써, 항산화 및 항돌연변이성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뿐만 아니라 광범위 하게는 만성 성인 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식사요법 개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국민건강에 도움을 주고 자 하였다.
  • 하였다. 채소류 물 추출물의 MDA(malondialdehyde)에 대한 단백질의 보호 효과와 채소류 에탄올 추출물의 지질 과산화(lipid peroxidation) 저해효과, DPPH( 1, 1 -diphenyl-2-picryl hydrazyl) 라디칼 소거 효과를 측정하여 단백질의 산화 및 유지류의 자동산화 반응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고, Ames test를 통하여 채소류 에탄올 추출물의 돌연변이 유발 억제 능을 탐색하고 상호 비교함으로써, 항산화 및 항돌연변이성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뿐만 아니라 광범위 하게는 만성 성인 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식사요법 개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국민건강에 도움을 주고 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Lee HS. 1997.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 25: 540-548. 

  2.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1996. National statistical office, Republic of Korea. 

  3. WHO. 1996. 1990 World health statistics, Annual. 

  4. Farag RS, Badei AZMA, Baroty GSAE. 1989. Influence of thyme and clove essential oils in cotten seed oil oxidation. JAOCS 66: 800-804. 

  5.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oxytoluene. JAOCS 52: 59-63. 

  6. Farag RS, Badei AZMA, Hewedi FM, Baroty GSAE. 1989.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spice essential oils on linolenic acid oxidant in aqueous media. JAOCS 66: 792-799. 

  7. Lrson RA. 1988. The antioxidants of higher plants. Phytochemistry 27: 969-978. 

  8. Colditz GA, Branch LG, Lipnick RJ, Willett WC, Rosner B, Posner BM, Hennekens CH. 1985. Increased green and yellow vegetable intake and lowered cancer deaths in an elderly population. Am J Clin Nutr 41: 32-36. 

  9. Moon SH, Park KY. 1995. Antimutagenic effects of boiled water extract and tannin from persimmon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 24: 880-886. 

  10. Park KY, Lee KI, Rhee SH. 1992. Inhibitory effect of green vegetable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a assay system and on the growth of AZ-521 human gastric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Nutr 21: 149-153. 

  11. Kim JO, Kim YS, Lee JH, Kim MN, Rhee SH, Moon SH, Park KY. 1992. Antimutagenic effect of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from mugwort (Artemisia asictica nakai) leaves. J Korean Soc Food Nutr 21: 308-313. 

  12. Park YH. 2000. Effect of polyamine on modification of biomodics by aldehydes. PhD in Medicine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13. Bradford M. 1970.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0-254. 

  14. Gomez-Sanchez A, Hermonsin I, Mayo I. 1990. Cleavage andoligomerization of malondialdehyde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Tetrahedron Letters 28: 4077-4080. 

  15. Saija A, Scalese M, Lanza M, Marzullo D, Bonina F, Castelli F. 1995. Flavonoids as antioxidant agents: Importance of their interaction with biomembranes.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19: 481-486. 

  16. Haase G, Dunkley WL. 1969. Ascorbic acid and copper in linoleate oxidation. I. Measurement of oxidation by ultraviolet spectrophotometry and the thiobarbituric acid test. J Lipid Research 10: 555-560. 

  17. Chen HM, Muramoto K, Yamauchi F, Fujimoto K, Nokihara K. 1998. Antioxidative properties of histidine-containing peptides designed from peptide fragments found in the digests of a soybean protein. J Agric Food Chem 46: 49-53. 

  18. Maron DM, Ames BN. 1983. Revised methods for the Salmonella mutagenicity test. Mutat Res 113: 173-215. 

  19. Matsushima T, Sugimura T, Nagao M, Yahagi T, Shirai A, Sawamura M. 1980. Factors modulating mutagenicity in microbial test. In Short-term test, systems for detecting carcinogens. Norphth KH, Garner RC, eds. Springer, Berling. p 273. 

  20. Lee KI, Rhee SH, Kim JO, Chung HY, Park KY. 1993.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Perilla leaf extracts. J Korean Soc Food Nutr 22: 175-180. 

  21. Tada M, Matsumoto R, Yamaguchi H, Chiba K. 1996. Novel antioxidants isolated from Perilla frutescnes Britton var. crisp (Thunb.). Biosci Biotech Biochem 60: 1093-1095. 

  22. Kim JH, Kim MK. 1999. Effect of dried leaf powders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nd Aster scaber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Korean J Nutr 32: 540-551. 

  23. Lee SI, Park YS, Cho SY. 1993. Protective effect of Oenanthe javanica extract on the carbon tetrachloride-induced hepatotoxicity in mice. J Korean Soc Food Nutr 22: 392-397. 

  24. Cho SY, Han YB, Shin KH. 2001.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33-137. 

  25. Park KY, Lee KI, Rhee SH. 1992. Inhibitory effect of greenyellow vegetables on the mutagenicity in Salmonellla assay system and on the growth of AZ-521 human gastric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Nutr 21: 149-153. 

  26. Park JC, Ha JO, Park KY. 1996. Antimutagenic effect of flavonoids isolated from Oenanthe javanic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588-592. 

  27. Lee KI, Rhee SK, Park KY, Kim JO. 1992. Antimutagenic compound identified from perilla leaf. J Korean Soc Food Nutr 21: 302-3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