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채류 농축액의 항산화 및 상승효과
Antioxidant and Synergistic Activities of Fruit and Vegetable Concentrat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2, 2015년, pp.240 - 245  

정수지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심희령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지수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남희섭 (동원F&B 동원식품과학연구원) ,  이현규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표적인 항산화 식품들의 혼합에 따른 항산화 활성의 변화와 가장 우수한 상승작용을 나타내는 복합군 및 그 혼합 비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먼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과일류 8종(라즈베리, 블랙베리, 블루베리, 아사이베리, 크랜베리, 산머루, 적포도, 아로니아)와 채소류 2종(시금치, 양배추)의 총 페놀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전체 시료 중 아사이베리가 총 페놀함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DPPH 라디컬 소거능과 FRAP 환원능 모두에서 가장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항산화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총 10종의 시료를 활성 비율 1:1로 혼합한 45군의 복합군의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컬과 FRAP 환원능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 측면에서는 양배추+아사이베리가 가장 높은 상승작용을 나타냈으며 50:50의 활성비율에서 8.7%의 유의적으로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냈다. FRAP 환원능에서는 블루베리+크랜베리가 가장 높은 상승작용을 나타냈으며 30:70의 활성비율에서 12%의 유의적으로 높은 상승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DPPH 라디컬 소거능과 FRAP 환원능 모두에서 상승작용을 나타낸 양배추+적포도 복합군은 활성비율 70:30(%:%)에서 산출값과 비교했을 때 DPPH 라디컬 소거능과 FRAP환원능 모두 산출값보다 약 17%와 11%가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항산화 식품간의 혼합에 의해 항산화 상승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었으며 혼합비율에 따라 상승효과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항산화 식품들간의 상승작용을 이용한 활성 개선 및 상승작용의 기전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synergistic effects of fruit and vegetable concentrates. Ten foods from two categories, including fruits (raspberry, blackberry, blueberry, acai berry, aronia, cranberry, wild berry, and red grape) and vegetables (spinach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이 높은 과채류간의 혼합과 각 혼합비율이 항산화 상승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항산화 활성이 높은 과일과 채소류 각 8 종과 2종의 단일 항산화 활성을 분석했으며, 이들을 혼합했을 때의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DPPH (2, 2-diphenyl-1 -picryl-hydrazyl- hydrate) 라디컬 소거능과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power) 환원능 측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eifried HE, Anderson DE, Fisher EI, Milner JA. A review of the interaction among dietary antioxidant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J. Nutr. Biochem. 18: 567-579 (2007) 

  2. Castro L, Freeman BA. Reactive oxygen specie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Nutrition 17: 161-165 (2001) 

  3. Finkel T, Holbrook NJ. Oxidants, oxidative stress and the biology of ageing. Nature 408: 239-247 (2000) 

  4. Kang J, Li Z, Wu T, Jensen GS, Schauss AG, Wu X. Anti-oxidant capacities of flavonoid compounds isolated from acai pulp (Euterpe oleracea Mart.). Food Chem. 122: 610-617 (2010) 

  5. Kim KH, Yun YS, Chun SY, Yook HS.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rape pomace fermented by various micro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049-1056 (2012) 

  6. Ismail A, Marjan ZM, Foong CW. Total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in selected vegetables. Food Chem. 87: 581-586 (2004) 

  7. AlSaikhan MS, Howard LR, Miller Jr. JC.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different genotypes of potato (Solanum tuberosum, L.). J. Food Sci. 60: 341-343 (1995) 

  8. Bozin B, Mimica-Dukic N, Samojlik I, Goran A, Igic R. Phenolics as antioxidants in garlic (Allium sativum L., Alliaceae). Food Chem. 111: 925-929 (2008) 

  9. Cao G, Sofic E, Prior RL. Antioxidant capacity of tea and common vegetables. J. Agr. Food Chem. 44: 3426-3431 (1996) 

  10. Chu YH, Chang CL, Hsu HF. Flavonoid content of several vegetabl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J. Sci. Food Agr. 80: 561-566 (2000) 

  11. Heim KE, Tagliaferro AR, Bobilya DJ. Flavonoid antioxidants: Chemistry, metabolism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J. Nutr. Biochem. 13: 572-584 (2002) 

  12. Wang S, Meckling KA, Marcone MF, Kakuda Y, Tsao R. Synergistic, additive, and antagonistic effects of food mixtures on total antioxidant capacities. J. Agr. Food Chem. 59: 960-968 (2011) 

  13. Hidalgo M, Sanchez-Moreno C, de Pascual-Teresa S. Flavonoidflavonoid interaction and its effect on their antioxidant activity. Food Chem. 121: 691-696 (2010) 

  14. Katsube T, Tabata H, Ohta Y, Yamasaki Y, Anuurad E, Shiwaku K, Yamane Y.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in edible plant products: Comparison of low-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assay,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Folin-Ciocalteu assay. J. Agr. Food Chem. 52: 2391-2396 (2004) 

  15. Benzie IFF, Strain J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96) 

  16. Kim DB, Shin GH, Cho JH, Baik SO, Lee OH. Antioxidant activities of beverage concentrates and pure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997-1002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