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으로 자녀와 사별한 어머니의 슬픔단계와 반응
Grief Stages and Responses of Bereaved Mother Who Lost Her Children with Cancer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3 no.6, 2003년, pp.847 - 855  

이원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연세대학교 가정간호-호스피스 연구소) ,  황애란 (세브란스 호스피스 가족상담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bereaved family care program by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a grief healing process in a child loss. Method: The subjects were five bereaved mothers who have lost their children with cancer. Data was collected with in-depth interviews using grief phase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암으로 자녀와 사별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사별의 슬픔치유과정의 특성과 반응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개 호스피스 기관의 유가족 추후 관리프로그램대상자 중 암으로 자녀와 사별한 어머니 5명을 대상으로 사별의 슬픔치유과정의 특성과 반응을 파악하는 종단설계연구로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개 호스피스기관에서 암으로 자녀와 사별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슬픔의 치유과정의 특성과 반응을 파악하는 종단설계 서술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팀은 유가족추후관리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일개 호스피스 기관을 대상으로 사별 프로그램 개발의 일부인 자녀 사별을 중심으로 대상자별, 슬픔단계별 슬픔 경험을 파악하였다.

가설 설정

  • · 본 연구의 대상자의 숫자가 적으므로 본 연구에서 규명된 결과를 일반화하는 것이 어렵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ugen, L. A. (1977). Human grief : A model for prediction and intervention. Am J Orthopsychiatry, 47(20), 196-206 

  2. Chon, M. Y. (1996). A study of the resiliency in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cancer deceased. Doctoral dissertation, The Hanyang University of Korea, Seoul 

  3. Chon M. Y. (2000). Grief, family hardiness and family resource for management after bereavement of family member. J Korean Acad Nurs, 30(6), 1569-1579 

  4. Cooley, M. E. (1992). Bereavement care: A role for nursing. Cancer Nurs, 15(2), 125-129 

  5. Cowan, M. E., & Murphy, S. A. (1988). Identification of post-disaster bereavement risk predictors. Nurs Res, 34(2), 71-75 

  6. Davies, B., Deveau, E., deVeber, B., Howell, D, Martinson, I., Papadatou, D, Pask, E., Stevens, M (1998). Experiences of mothers in five countries those child died of cancer. Cancer Nurs, 21(5). 301-311 

  7. Davis, B., Spinetta., J., Martinson, I., McClowery, S., & Kulenkamp, E. (1986). Manifestations of levels of functioning in grieving families. J Fam Issues, 7, 297-313 

  8. Grollman, E. A. (1977) Living when a Loved One Has Died, Boston : Beacon Press 

  9. James, J. (1997). The needs of parents of pediatric oncology patients during the palliative care phase. J Pediatr Oncol Nurs, 14(2), 83-95 

  10. Kolf, J. C. (1999). How Can I Help-How to Support Someone Who Is Grieving. Tucson : Fisher Books 

  11. Lee, J. S. (1992). The experience of the family whose child has died of cancer. Doctoral dissertation, The Ehwa Women's University of Korea, Seoul 

  12. Lee, J. S., & Kim, S. S. (1994). The experience of the family whose child has died of cancer. J Korean Acad Nurs, 24(3), 413-431 

  13. Littlefield, C. H., & Rushton, J. P. (1986). When a child dies : The sociobiology of bereavement, J Pers Soc Psychol, 51(4), 797-802 

  14. Martinson, I. M. (2002). Bereavement. Hospice International Seminar. Theory and Practice of Child Hospice.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Palliative Car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15. Miles, M. S. (1985). Emotional symptoms and physical health in bereaved parents. Nurs Res, 34(2), 76-81 

  16. Riches, G. & Dawson, P. (2000). An Intimate Loneliness-Supporting Bereaved Parents and Siblings. Buchingham : Open University Press 

  17. Ro, Y. J. (1999). 'Care for the bereaved in Korea'. The fourth hospice international seminar. Research Institute for Hospice/Palliative Care, College of Nursing, Catholic University 

  18. Sanders, C. M. (1992). Surviving Grief and Learning to Live Again.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19. Sanders, C. M. (1998). How to survive the loss of a child-Filling the emptiness and rebuilding your life. Prima Publishing 

  20. Son, S. Y. (2001). Self-image of adolescents with cancer. Master Thesis. The Yonsei University of Korea, Seoul 

  21. Staudacher, C. (1987). Beyond Grief-A Guide for Recovering for the Health of a Loved One. Oakland: New Harbinger Publications 

  22. Wolfelt, A. D. (1988). Death and Grief - A Guide for Clergy. Accelerated Development Inc 

  23. Wolfelt, A. D. (1992). Understanding Grief - Helping Yourself Heal. Indiana : Accelerated Development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