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환자 사별 배우자의 복합적 슬픔 영향요인
Influential Factors of Complicated Grief of Bereaved Spouses from Cancer Patien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8 no.1, 2018년, pp.59 - 69  

김소명 (대구과학대학교 간호대학) ,  권소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variables and construct paths that affect complicated grief.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ere 164 bereaved spouses of cancer patients at least 12 months before the death.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16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암환자 사별 배우자의 복합적 슬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경로를 탐색적으로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최종 경로모형을 바탕으로 암환자 사별 배우자의 복합적 슬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과 변수들 간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및 총 효과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암환자 사별 배우자의 복합적 슬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경로를 탐색적으로 확인하는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암환자 사별 배우자의 복합적 슬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경로를 탐색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는 암환자 사별 배우자의 복합적 슬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경로를 탐색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추후 암환자 사별 배우자의 복합적 슬픔을 예방하기 위해 효율적인 중재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암환자 사별 배우자의 복합적 슬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경로를 탐색적으로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최종 경로모형을 바탕으로 암환자 사별 배우자의 복합적 슬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과 변수들 간의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및 총 효과들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에 사별 전 임종의 질과 사별준비는 말기치료의 질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임종의 질 영향요인으로 사회적지지와 사별준비를 제시한 선행연구[12,22]에 근거하여 사회적 지지가 임종의 질과 사별준비, 사별대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한편 말기치료의 질이 사별 후 효율적 대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23], 회복중심 대처를 잘 할수록 사별 후 새로운 역할과 슬픔에 잘 적응한다는 선행연구[14]에 근거하여 복합적 슬픔으로 가는 경로를 설정하였다.
  • 말기치료 표준에는 환자와 가족의 임종과 사별준비와 임종의 질 향상을 돕는 것이 포함되어 있을 뿐 아니라[21], 암환자 임종의 질이 전반적인 말기치료의 질과 관계가 있다[16]. 이에 사별 전 임종의 질과 사별준비는 말기치료의 질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임종의 질 영향요인으로 사회적지지와 사별준비를 제시한 선행연구[12,22]에 근거하여 사회적 지지가 임종의 질과 사별준비, 사별대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별 후 대처가 좋지 않으면 어떻게 되는가? 사회적지지가 낮을수록 사별준비가 부족하고[12], 복합적 슬픔의 유병률과 관련이 있으며[13], 사별 후 대처수준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었다[14]. 또한 사별 후 대처가 부정적이면 복합적 슬픔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그 외에 암환자의 말기치료의 질, 즉 말기상황에서 환자에게 제공된 의료서비스의 질은 임종의 질[16]과 사별준비[17] 뿐 아니라 사별 후 적응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8].
암환자의 가족은 무엇을 경험하는가? 암환자의 가족은 환자의 투병과정을 함께 경험하기 때문에 가족 스스로도 정신건강의 악화와 심리적 고통을 겪고, 사별 후에는 복합적 슬픔을 경험하기도 한다. 슬픔은 사별에 따른 정상적인 반응이고 대부분의 경우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해소된다.
임종의 질과 복합적 슬픔은 예상과 어떤 차이를 보였는가? 또한 본 연구에서 말기치료의 질은 임종의 질에 직·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임종의 질은 복합적 슬픔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Miyajima 등[7]의 연구에서 6개월에서 10년 사이에 사별을 경험한 641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말기치료의 질이 낮은 경우, 즉 환자의 상태와 병의 진행에 대한 의료진의 설명이 부족하거나, 의료비용이 비합리적으로 높거나, 고인이 삶을 완성했다는 느낌을 가지지 못했었다면 복합적 슬픔의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한 것과 달랐다. 또한 호스피스완화의료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수용되고 있는 양질의 말기치료와 임종의 질이 사별가족의 슬픔과 고통을 덜어주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가정[31]을 뒤엎는 결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tatistics Korea. Cancer death statistics outcome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c2016 [cited 2018 Jan 12].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70. 

  2. Nanni MG, Biancosino B, Grassi L. Pre-loss symptoms related to risk of complicated grief in caregiver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4;160:87-91. https://doi.org/10.1016/j.jad.2013.12.023 

  3. Kwon JS, Kim JJ, Nam GG, Park WM, Shin MS, You BH, et al.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 Seoul: Hakjisa; 2015. p. 870-873. 

  4. Newson RS, Boelen PA, Hek K, Hofman A, Tiemeier H. The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complicated grief in older adul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1;132(1-2):231-238. https://doi.org/10.1016/j.jad.2011.02.021 

  5. Guldin MB, Jensen AB, Zachariae R, Vedsted P. Healthcare utilization of bereaved relatives of patients who died from cancer. A national population-based study. Psychooncology. 2013;22(5):1152-1158. https://doi.org/10.1002/pon.3120 

  6. Buckley T, Sunari D, Marshall A, Bartrop R, McKinley S, Tofler G. Physiological correlates of bereavement and the impact of bereavement interventions.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2012;14(2):129-139. 

  7. Miyajima K, Fujisawa D, Yoshimura K, Ito M, Nakajima S, Shirahase J, et al. Association between quality of end-of-life care and possible complicated grief among bereaved family member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14;17(9):1025-1031. https://doi.org/10.1089/jpm.2013.0552 

  8. Kim Y, Carver CS, Spiegel D, Mitchell HR, Cannady RS. Role of family caregivers' self-perceived preparedness for the death of the cancer patient in long-term adjustment to bereavement. Psychooncology. 2017;26(4):484-492. https://doi.org/10.1002/pon.4042 

  9. Stammel N, Heeke C, Bockers E, Chhim S, Taing S, Wagner B, et al. Prolonged grief disorder three decades post loss in survivors of the Khmer Rouge regime in Cambodia.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3;144(1-2): 87-93. https://doi.org/10.1016/j.jad.2012.05.063 

  10. Li QP, Mak YW, Loke AY. Spouses' experience of caregiving for canc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13;60(2):178-187. https://doi.org/10.1111/inr.12000 

  11. Shinjo T, Morita T, Hirai K, Miyashita M, Sato K, Tsuneto S, et al. Care for imminently dying cancer patients: Family members' experiences and recommendation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0;28(1):142-148. https://doi.org/10.1200/JCO.2009.23.2793 

  12. Tsai WI, Prigerson HG, Li CY, Chou WC, Kuo SC, Tang ST. Longitudinal changes and predictors of prolonged grief for bereaved family caregivers over the first 2 years after the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death. Palliative Medicine. 2016;30(5):495-503. https://doi.org/10.1177/0269216315603261 

  13. Allen JY, Haley WE, Small BJ, Schonwetter RS, McMillan SC. Bereavement among hospice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one year following loss: Predictors of grief, complicated grief, and symptoms of depression.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13;16(7):745-751. https://doi.org/10.1089/jpm.2012.0450 

  14. Chang SJ. Psychological well-being of widowed in later life: Based on the dual 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5;35(3):589-608. 

  15. Stroebe M, Schut H, Stroebe W. Health outcomes of bereavement. Lancet 2007;370(9603):1960-1973. https://doi.org/10.1016/S0140-6736(07)61816-9 

  16. Shin DW, Choi JE, Miyashita M, Choi JY, Kang J, Baik YJ, et al. Measuring comprehensive outcomes in palliative car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ood death inventory.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ment. 2011;42(4):632-642.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10.12.012 

  17. Schulz R, Boerner K, Klinger J, Rosen J. Preparedness for death and adjustment to bereavement among caregivers of recently placed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15;18(2):127-133. https://doi.org/10.1089/jpm.2014.0309 

  18. Gallagher R, Krawczyk M. Family members' perceptions of endof-life care across diverse locations of care. BMC Palliative Care. 2013;12(1):25. https://doi.org/10.1186/1472-684X-12-25 

  19. Miyashita M, Morita T, Sato K, Hirai K, Shima Y, Uchitomi Y. Good death inventory: A measure for evaluating good death from the bereaved family member's perspective.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08;35(5):486-498.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07.07.009 

  20. McCarthy MC, Clarke NE, Ting CL, Conroy R, Anderson VA, Heath JA.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parental grief and depression after the death of a child from cancer.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10;13(11):1321-1326. https://doi.org/10.1089/jpm.2010.0037 

  21. Hebert RS, Prigerson HG, Schulz R, Arnold RM. Preparing caregivers for the death of a loved one: A theoretical framework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06;9(5):1164-1171. https://doi.org/10.1089/jpm.2006.9.1164 

  22. Choi JY, Chang YJ, Song HY, Jho HJ, Lee MK. Factors that affect quality of dying and death in terminal cancer patients on inpatient palliative care units: Perspectives of bereaved family caregivers.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ment. 2013;45(4):735-745.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12.04.010 

  23. Sohn ES. A study on religious participation, coping resources and depression among the bereaved elderly.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008;41:183-204. 

  24. Anderson JC, Gerbing DW.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988;103(3):411-423. 

  25. Li J, Prigerson HG. Assessment and associated features of prolonged grief disorder among Chinese bereaved individuals. Comprehensive Psychiatry. 2016;66:9-16. https://doi.org/10.1016/j.comppsych.2015.12.001 

  26. Prigerson HG, Maciejewski PK, Reynolds CF 3rd, Bierhals AJ, Newsom JT, Fasiczka A, et al. Inventory of complicated grief: A scale to measure maladaptive symptoms of loss. Psychiatry Research. 1995;59(1-2):65-79. https://doi.org/10.1016/0165-1781(95)02757-2 

  27. Caserta MS, Lund DA.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inventory of daily widowed life (IDWL): Guided by the dual process model of coping with bereavement. Death Studies. 2007;31(6):505-535. https://doi.org/10.1080/07481180701356761 

  28. Morita T, Hirai K, Sakaguchi Y, Maeyama E, Tsuneto S, Shima Y; Quality Assurance Committee, Japanese Associa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Units. Measuring the quality of structure and process in end-of-life care from the bereaved family perspective.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ment. 2004;27(6):492-501.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03.10.014 

  29.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https://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30. Hauksdottir A, Steineck G, Furst CJ, Valdimarsdottir U. Long-term harm of low preparedness for a wife's death from cancer: a population-based study of widowers 4-5 years after the los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10;172(4):389-396. https://doi.org/10.1093/aje/kwq147 

  31. Ferrell BR, Coyle N. Textbook of palliative nursing. 2nd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p. 532-538. 

  32. Kang HC. Discussions on the suitable interpretation of model fit indices and the strategies to fit model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3;15(2):653-668. 

  33. Malkinson R. Cognitive-behavioral grief therapy: The ABC model of rational-emotion behavior therapy. Psychological Topics. 2010;19(2):289-305. 

  34. McHorney CA, Ware JE Jr, Raczek AE.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I. Psychometric and clinical tests of validity in measur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structs. Medical Care. 1993;31(3):247-263. https://doi.org/10.1097/00005650-199303000-00006 

  35. Jho HJ, Choi JY, Kwak KS, Chang YJ, Ahn EM, Park EJ, et al.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bereaved family members of cancer patients in Korea: A nation-wide cross-sectional study. Medicine (Baltimore). 2016;95(22):e3716. https://doi.org/10.1097/MD.0000000000003716 

  36. Song HD. Concept of death on funeral rite in contemporary Korea. Studies in Religion. 2006;43:139-1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