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리사회적 요인과 근골격계질환 증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nd Symptom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大韓人間工學會誌, v.22 no.4, 2003년, pp.15 - 25  

이윤근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직업성근골격계질환센터) ,  박희석 (홍익대학교 정보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studies indicate potential links between various psychosocial factor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In this research, the effects of job stressors on the WMSDs symptoms were investigated using questionnaire in the largest automotive company in Korea. It was found that 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근골격계질환과 관련된 대부분의 국내 연구들이 물리적인 위험 요인 측면에서 연구된 것과는 달리 직무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사회적 요인이 근골격계질환 증상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심리사회적 요인은 대표적인 표준적 방식인 카라젝 (Karasek & Theorell, 1990)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은 표준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 본 연구는 자기 기입형 설문지에 기초하고 있다. 자기 기입형 설문지는 그 결과가 과장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추후 보다 객관적인 의학적 검진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겠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자동차 조립공정에서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된 심리사회적 요인이 근골격계질환 증상 호소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문지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은 언제부터 공식적으로 집계되기 시작했는가? 새로운 산업 구조와 변화된 작업 환경으로 인하여 최근 급증하고 있는 직업병 중의 하나가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이다. 우리나라의 직업성 근골격계질환은 1993년부터 공식적으로 집계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숫자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서 전체 직업병 환자 중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노동부, 2001).
근골격계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위험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근골격계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위험요인으로는 반복적인 작업, 부자연스러운 자세, 과도한 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접촉, 진동, 추위 등의 물리적 요인임이 알려져 있다 (Putz Anderson, 1988).
직무 스트레스와 관련된 심리사회적 요인이 근골격계질환 증상 호소율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본 연구의 세부목적은 무엇인가? ① 작업자의 개인적 특성 및 작업 특성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분석한다. ② 심리사회적 요인과 근골격계질환 증상 호소율과의 관계를 파악한다. ③ 근골격계질환 증상 호소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작업 특성과 심리사회적 요인을 추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김재영, 최재욱, 김해준, "자동차 조립 작업자들 에서 상지 근골격계의 인간공학적 작업평가(RULA) 결과와 자각증상과의 연관성", 한국예방의학회지, 32(1): 48-59, 1999. 

  2. 노동부, “산업재해분석”, 정부승인통계 제11806호, 노동부, 2001. 

  3. 이윤근, 김현욱, 임상혁, 박희석, “누적외상성질환 위험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발”.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1(1),56-69, 2001. 

  4.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Control of work-related cumulative trauma disorders“, Part 1, Upper extremities(working draft)", National Safety Council, pp.4.1-A.17. 1996. 

  5. Bongers, P.M., de Winter, C.R., Kompier, M.A., and Hilderbrandt, B.H.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 A review of literature”.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and Health, 19: 297-312, 1993. 

  6. Bureau of Labor Statistics, US Department of Labor, Nonfatal occupational illnesses by category of illness, private industry, 2001. 

  7. Carayon, P., Smith, M.J., and Haims, M.C., “Work organization,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Human Factors, 41(4):644-663, 1999. 

  8. European Agency for Safety and Helath at Work, “Europe under Strain: Work-related neck and upper limb musculoskeletal disorders”. 1999. 

  9. Fredriksson, K., Alfredsson, L., Ahlberg, G., Josephson, M., Kilbom1, A., Wigaeus Hjelm, E., Wiktorin, C. and Vingrd, E, “Work environment and neck and shoulder pain: the influence of exposure time. Results from a population based case-control study”,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9(3): 182-188,2002. 

  10. Girdano, D. A., & Everly, G. S.,. “Controlling stress and tension”, Aholistic approach. Prentice-Hall, 1979. 

  11. Job Stress Network, http://www.workhealth.org/ 

  12. Karasek, R. “Job demends, job decision latitude”. Administrative ScienceQuarterly, 24: 285-306, 1979. 

  13. Karasek , R. & Theorell, T., “Healthy Work: Stress, Productivity and theReconstruction of Working Life”, Basic Books, New York, 1999.. 

  14.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usculoskeletal disorders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logical evidence for work-related 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 Cincinnati, 1997. 

  15.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dminstration, "Draft Ergonomic Standard", OSHA, 1995. 

  16. Putz-Anderson, V. (Ed.),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 manual for musculoskeletal disease of the upper lims. London: Taylor and Francis,1988. 

  17. Sauter, S.L. and Swanson, N.G., “A ecological model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office work”. In Beyond biomechanics: psychosocial aspect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office work, London: Taylor and Francis,1996. 

  18. Shigemi, J., Mino, Y., Tsuda, T., Babazono, A., & Aoyama, H.,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at work”. Ind Health,35(1): 29-35,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