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중독 경험 및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조사
Survey on the Foodborne Illness Experience and Awareness of Food Safety Practice Among Korean Consumer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18 no.3, 2003년, pp.139 - 145  

박경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HACCP팀) ,  천석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HACCP팀) ,  박기환 (중앙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홍종해 (강원대학교 수의학과) ,  김정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기술진흥산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조사는 한국 소비자들의 식중독 경험여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및 식품안전과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있어서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1년 11월 일반성인 총 1,040명을 대상으로 전국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12.4%는 연 1회 이상 식중독을 경험하고 있으며, 0.3%는 식중독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중독이 발생한 원인장소로는 일반음식점에서의 음식 섭취가 37.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정에서의 부주의가 21.2% 등으로 나타났으며, 원인식품으로는 고기 등의 육류 및 가공품이 41.7%, 생선 등 어패류 및 가공품이 18.7% 등으로 나타났다.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에서는 콜레라(75.5%), 비브리오(73%), 이질(65.5%), 장티푸스(51.8%), 살모넬라증(47.5%)의 순으로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리스테리아증(9.9%), 브루셀라중(8.3%)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모르거나 음식물로 인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3가지 모델로 구분 즉, Model 1은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지식, Model 2는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 Model 3은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하였고, 각 모델들은 조사자의 일반사항에서 나타난 변수와 식중독 경험여부 별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인식(Model 1)은 여러 변수 중 교육수준(OR 0.536), 결혼상태(OR 0.529)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과거 식중독 경험이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OR 1.714).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Model 2)에서는 교육수준이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OR 0.702),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Model 3)에서는 교육수준(OR 0.816)과 성별(OR 0.650)이 중요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식중독 경험이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정도는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인식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식품안전에 있어 경험과 지식은 실제 식중독 예방을 위한 행동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practice of Korean consumer on food safety. A telephone survey was conducted from 1,040 adults randomly selected from each province and large city of Korea. Therefore, 12.4% of the subjects experienced foodborne illness at least once a 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소비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효과적인 식중독 발생에 대한 예방 전략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본 연구는 한국 소비자들에 대한 식중독 경험 여부와 식품위생 및 안전 관련 기본 지식과 인식을 조사하여 효과적인 식중독 예방 전략을 구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식품위생에 대한 잘못된 상식은 식품구매 및 선택에 적용되어졌으며, 일부 건전한 식품의 생산 및 공급까지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9)이러한 현상은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일반 소비자들의 잘못된 인식에서 유발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Yasmine, M.: Global estimation of foodborne disease. World Health Statistics Quarterly, 50, 1/2, 5-11 (1997) 

  2. Jean, C.B.: Bacterial foodborne disease: medical costs and productivity losses. Economic Research Service. U.S., (1996) 

  3. 박경진, 노우섭: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실제 살모넬라 식중독환자수 추정 및 사회경제적 손실비용 추계.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3, (1), 299-304 (1998) 

  4. Altekruse, S.P., Cohen, M.L., and Swerdlow, C: Emerging foodborne disease. Emerg. Infect. Dis., 3, 285-293 (1997) 

  5. Schilpzand, R.A: Shifts in food safety perception by consumer and consumer organizations p662-663; Heijden K., Younes M., Fishbein L., Miller S.: International food safety handbook,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99) 

  6. Redmond, E.C. and Griffith, C.J.: Review consumer food handling in the home: a review of food safety studies. J. Food Prot., 66, 130-161 (2003) 

  7. Schilpzand, R.A: Shifts in food safety perception by consumer and consumer organizations p666-667; Heijden K., Younes M., Fishbein L., Miller S.: International food safety handbook, Marcel Dekker, Inc., New York, (1999) 

  8. Mossel, D.A.A and Drake, D.M.: Processing food for safety and reassuring the consumer. Food Technol., 44(12), 63-67 (1990) 

  9. Angelillo, I.E, Viggiani, N.M.A, Rizzo, L., and Bianco, A.: Food handlers and foodborne disease: knowledge, attitudes and reported behavior in Italy. J. Food Prot., 63, 381-385 (2000) 

  10. 식품의약품안전청(중앙식중독예방대책본부): 식중독 발생현황 및 대책. (2001) 

  11. Fein, S.B., Lin C.T.J., and Levy, AS.: Foodborne illness: perceptions, experience, and preventive behaviors in the United States. J. Food Prot., 58, 1405-1411 (1995) 

  12. Archer D.L. and Young, F.E.: Contemporary issues: Disease with a food vector. Clin. Microbial. Rev., 1, 377-391 (1988) 

  13. Timothy F.J. and Diane Eigsti Geber: Perceived etiology of foodborne illness among public health personel. Emerg. Infect. Dis., 7, 904-905 (2001) 

  14. Angelillo, I.F., Foresta, M.R, Scozzafava, C, and Pavia, M.: Consumer and foodborne disease: knowledge, attitudes and reported behavior in one region of Italy. Int. J. Food Microbial., 64, 161-166 (2001) 

  15. FSIS, USDA: PR/HACCP RULE EVALUATION REPORT 'Changes in consumer knowledge, behavior, and confidence since the 1996 PRlHACCP Final Rule', Final Report, http://www.fsis.usda.gov/oa/research/behavior_haccp.htrn (2001) 

  16. Li-Cohen AE. and Bruhn C.M.: Safety od consumer handling of fresh produce from the time od purchase to the plate: a comprehensive consumer survey. J. Food Prot., 65, 1287129.6 (2002) 

  17. Meer R.R. and Misner S.L.: Food safety knowledge and behavior of expanded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participants in Arizona. J. Food Prot., 63, 1725-1731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