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중독 사고 발생과 식품 안전 관련 검색어 빈도와의 상관성 분석 연구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Key Word Search Frequencies Related to Food Safety Issue and Foodborne Illness Outbreaks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2, 2017년, pp.96 - 100  

이희영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희경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학과) ,  김경미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혜원 (숙명여자대학교 외식경영학과) ,  윤요한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사람들은 관심 있는 정보를 포털사이트에서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 그에 따라 빅데이터가 비정형적으로 형성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한 연구 분야가 발전하고 있다. 최근 식품분야에서도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최대 규모의 포털 사이트인 네이버의 검색 통계를 활용하여, 사람들의 연관 검색어 빈도에 따른 식품안전 사고 원인 식품과 식중독 원인 병원체들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식중독과 관련된 식품과 식중독 원인 병원체의 포털사이트 키워드 검색 건수와 해당 원인 식품 및 병원체의 뉴스검색 건수를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키워드 검색 건수와 실제 식중독 발생 시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으로 식중독 발생 직후 관련 키워드 검색 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별하게 굴과 같은 계절성 식품의 경우 키워드 검색 건수 증가 이후에 식중독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검색 건수가 증가하는 식중독 세균이나 식품들을 식중독 사전 예방적 차원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면 식중독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ough the increasing use of internet and smart device, consumers can search the information what they want to find. The information has been accumulated and become into a big data. Analyzing the big data regarding key words associated with foods and foodborne pathogens could be a method for pred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포털 사이트의 키워드 검색 증가 시점과 식중독 사고 발생 시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식중독 사건 사고 발생 시 관련 키워드검색 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굴과 같은 계절성 식품의 경우 키워드 검색 증가 이후 식중독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키워드 검색 빈도수와 식중독 사고와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검색어 빈도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또한, 식품관련 기업들은 정보탐색과 소비자 반응의 상관성 분석을 활용하여 매출신장을 위한 보다 능동적인 전략을 갖추게 되었다5). 식품안전의 측면에서도 포털 사이트에 비정형적인 빅데이터로 존재하는 식품관련 자료들이 사실관계의 확인은 어려울 수는 있으나 검색어 빈도는 소비자들의 관심은 반영하고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이 자료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식중독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식중독 원인 관련 키워드 검색 건수와 식중독 발생 시기 간의 상관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특히 식중독과 관련된 식품과 식중독 원인 병원체의 포털사이트 키워드 검색 건수와 해당 원인 식품 및 병원체의 뉴스검색 건수를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키워드 검색 건수와 실제 식중독 발생 시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으로 식중독 발생 직후 관련 키워드 검색 건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별하게 굴과 같은 계절성 식품의 경우 키워드 검색 건수 증가 이후에 식중독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검색 건수가 증가하는 식중독 세균이나 식품들을 식중독 사전 예방적 차원의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면 식중독 사고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중독의 발생 원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우려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식중독 확산 차단 및 식중독 사고 발생 시 오염식품, 오염원인, 그리고 오염경로를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보건소는 식중독 사고발생 현장에 조사반을 출동시켜 환자에 대한 설문조사, 인체검체와 보존식 수거검사, 조리 환경조사, 식재료 공급업체 추적조사 등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식중독 발생오염원과 경로를 파악하고 재발확산 방지를 위한 개선조치를 하고 있다2,3). 식중독의 발생은 개인 질병, 비위생적인 습관 등 개인위생의 문제와 식품을 적정한 온도와 시간으로 조리하지 못한 경우, 조리 후 부적절한 온도에서 보관한 경우, 오염된 기구와 불결한 조리 기구의 사용 등에 의한 시설과 설비의 문제, 교차오염과 비위생적이거나 안전하지 못한 식품원료 사용 등 식품과 근로자 환경위생 관리 불량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발생 된다4). 하지만, 이러한 원인 외에도 원료 또는 식품자체에 오염된 식중독 원인물질에 의해 식중독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에 대처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발굴하여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Lee, J.Y., Kim, K.D.: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nd Concern for Food Safety among Urban Housewives. Korean J. Food Preserv., 16(6), 999-1007 (2009). 

  2. Cho, S.K.: Evaluation of Foodservice HACCP System and Microbial Management for High Risk Menu. Thesis of Ph.D in Kyungwon University (2009). 

  3. Ministry of Food and Dryg Safety (MFDS): Food Safety Nation. Available from: http://www.foodsafetykorea.go.kr. Accessed May 23, 2016. 

  4. Woo, I.A., Hwang, Y.K., Lee, Y.S.: The Status and the Actual Sanitation Management Conditions of Food Services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Korean J. Food & Nutr., 21(3), 355-365 (2008). 

  5. Oh, W.K., Lim, H.C.: Analysis of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Ease of Use, Service Value and Online Mouth-to-Mouth Intention According to the Catering Companies Use SNS Features. Korean J. Food Nutr., 28(3), 358-368 (2015). 

  6. Choi, M.S.: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of Smart Phone Acceptance, Based on the Personal Innovativeness, Social Influence and User Interface. J. Korea Design Forum., 33(11), 189-200 (2011). 

  7. Harris, J.K., Mansour, R., Choucair, B., Olson, J., Nissen, C., Bhatt, J: Health Department Use of Social Media to Identify Foodborne Illness-Chicago, Illinois, 2013-2014. Morb. Mor. Week. Report., 63(32), 681-685 (2014). 

  8. McCarthy, M.: Online Restaurant Reviews Identify Outbreaks of Undetected Foodborne Illness. BMJ., 37, 348: g3650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