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February 2000 to December 2001, A total of 1,785 samples was taken from beef and pork carcasses in Seoul. Seven(0.69%) Listeria spp. were isolated from the 1,014 of beef carcasses, and five(0.65%) were isolated from the 771 of pork carcasse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L monocytogenes by API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nonoqyiogenes의 listeriolysin O gene(ZiZyA) primer를 이용한 PCR법으로 균의 신속한 검출 및 신뢰성 있는 동정을 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축산물의 위생관리 및 안전성을 보다 더 향상시키 고 소비자에 게 안전한 식육을 공급함으로서 시 민보건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찾고자 하였다. 또한 축산물의 위생관리 및 안전성을 보다 더 향상시키 고 소비자에 게 안전한 식육을 공급함으로서 시 민보건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이 PCR법을 축산믈의위생검사에 적용시키면, Z monocytogenese 오염도를 신속하게 monitoring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여 토축과정에서 L monocytogenes의 오염을 최소화하여 도축장의 위생관리를 강화함으로서, 안전한 축산물을 공급하고자 한다. 앞으로 PCR방법의 민감도나 검출한도에 대한 연구와 분리주에 대한 역학적인 분석이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손원근, 강호조. 1990. 도계장 유래 닭고기와 부산물 및 환경재료에서 Listeria spp의 분리 및 분리균의 특성 II. 분리한 Listeria monocytogenes의 혈청형과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 대한수의학회지 31(3):279-284 

  2. 조종숙, 김유정, 김성숙 등. 2000. 경북지역에서 수거된 식육의 Listeria sp 오염실태 조사. 한가위지 23(4):341-348 

  3. 허정호, 손성기, 이주흥 등. 1997. 도축처리 단계별 도체 및 환경재료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리. 한가위지 20(1):69-78 

  4. 박재림, Marth EH. 1989. 리스테리아증과 Listeria monocytogenes.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7(6):634-643 

  5. 손원근, 강호조. 1991. 도계장 유래 닭고기와 부산물 및 환경재료에서 Listeria spp의 분리 및 분리균의 특성 I. Listeria spp의 분리. 대한수의학회지 31(3):271-277 

  6. 이우원, 강호조. 1992. 보존료가 Listeria monocytogenes의 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6(3):185-195 

  7. 이제용, 강호조. 1994. 가열조건이 Listeria monocytogenes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8(1):1-13 

  8. 강호조, 석주명, 손원근. 1997. 수입 동물성 식품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신속 검색을 위한 중합효소연쇄반응 기법의 개발 및 적용.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21(2):149-157 

  9. Thomas EJG, King RK, Burchak J, et al. 1991. Sensitive and specific detection of Listea monocytogenes in milk and ground beef with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Appl Envir Microbiol 57(9):2576-2580 

  10. 강호조, 김종수, 석주명 등. 1998. 한우사육장내 분변 및 음수 중 Salmonella spp, Escherichia coli O157:H7 및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리.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22(3):195-199 

  11. 이철현, 손원근, 강호조. 2000. 가축사육장 및 작업장 폐수로부터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리 및 분리균의 약재 내성.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24(1):9-15 

  12. 강호조, 손원근, 이제용 등. 1992. 동물유래 생식품, 사료 및 동물 분변증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포와 분리균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16(3):179-184 

  13. Fujisawa T, Mori M.. 1994. Evaluation of media for determining hemolytic activity and that of API Listeria system for identifying strains of Listeria monocytogenes. J Clin Microbiol 32(4): 1127-1129 

  14. R.R. Beumer, M.C. te Giffel, M.T.C. Kok, F.M. Rombouts. 1996. Confirmation and identification of Listeria spp. Appl Envir Microbiol. 22:448-452 

  15. Nadon CA, Woodward DL, Young C, et al. 2001. Correlations between molecular subtyping and serotyping of Listeria monocytogenes. J Clin Microbiol 39(7):2704-2707 

  16. Niederhaser C, Candrian U, Hofelein C, et al. 1992. Use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foods. Appl Envir Microbiol 58(5):1564-1568 

  17. Bubert A, Hein I, Rauch M, et al. 1999. Detection and differentiation of Listeria spp. by a single reaction based on multiplex PCR. Appl Envir Microbiol 65(10):4688-4692 

  18. Jaton K, Sahli R, Bille J. 1992. Development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for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clinical cerebrospinal fluid samples. J Clin Microbiol 30(8):1931-1936 

  19. Fitter S, Heuzenroeder M, Thomas CJ. 1992. A combined PCR and selective enrichment method for rapid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J Appl Bacteriol 73:53-59 

  20. Bansal NS. 1996. Development of polymerase chain reaction assay for the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foods. J Appl Bacteriol 22:353-356 

  21. Hsin H-Y, Tsen H-Y. 2001. Combination of immunomagnetic separa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the simultaneous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spp. in food samples. J Food Prot 64(11):1744-1750 

  22. Bessesen MT, Luo Q, Rotbart HA, et al. 1990.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using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Appl Envir Microbiol 56(9):2930-2932 

  23. Wang RF, Cao WW, Johnson MG. 1992. 16S rRNA-based probes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to detect Listeria monocytogenes cells added to foods. Appl Envir Microbiol 58(9):2827-2831 

  24. Gilot P, Content J. 2002. Specific identification of Listeria welshimeri and Listeria monocytogenes by PCR assays targeting a gene encoding a fibronectinbinding protein. J Clin Microbiol 40(2):698-703 

  25. 석주명, 강호조, 손원근. 1998. 닭고기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검색을 위한 중합효소 연쇄반응법과 증균배양법의 비교시험.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22(3):215-2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