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증기 응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가설 생성에서 귀추의 역할과 과정
Role and Process of Abdu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tion of Hypotheses concerning Vapor Condensation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4 no.4, 2003년, pp.250 - 257  

심해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과) ,  정진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과) ,  박국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과) ,  권용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과)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수증기 응결 과제에서 초등학생들이 가설을 생성할 때 귀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가설과 가설 생성 과정의 하위 요소인 경험상황과 원인적설명자가 독립되어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검증을 위해 수증기 응결에 관한 가설 생성 검사지, 사전 지식 검사지, 유사경험상황 검사지 등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 수증기 응결에 관한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있는 89명의 학생 중 72명의 학생들이 이 지식을사용하여 가설을 생성하지 못하였는데, 이것은 가설 생성에 귀추가 매우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가설을 지지한다. 그리고 수증기 응결 현상에 관한 유시경험상황을 가지고 있는 56명의 학생들 중 54명의 학생들이 가설 검사에서가설을 생성하지 못하였는데, 이것은 경험상황과 원인적설명자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다는 두 번째 연구가설을 지지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로부터 이 연구에서는 과학 교육의 실제에서 지식을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가설 생성 능력향상을 위한 교수 ${\cdot}$ 학습도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es that student's abductive reasoning abil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hypothesis-generating about vapor condensation, and student's hypothesis-generating requires their causal explicans as well as experience. To test the hypotheses, the instrument...

주제어

참고문헌 (22)

  1. 권용주, 양일호, 정원우, 2000, 예비과학교사들의 가설 창안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29-42 

  2. 박연규, 2000, '관'의 설명 가능성: 퍼스(C. S. Peirce)의 가추법(abduction)에 의한 접근. 공자학, 7(1), 163-188 

  3. 소흥렬, 1988, 인과적 설명과 비인과적 설명의 논리. 철학 연구, 23(1), 73-87 

  4. 이봉재, 1992, 과학적 실재론과 설명의 문제. 철학연구, 31(1), 184-203 

  5. 전인영, 국동식, 1998, 구름생성 개념에 대한 중 . 고등학생 의 오개념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9(3), 269-275 

  6. 정영기, 1997, 인지과학에서 설명의 문제. 동서 철학 연구, 14(1), 147-168 

  7. 조부경, 고영미, 김효남, 백성혜, 박재인, 박진옥, 임명혁. 2002, 증발과 증발 조건에 관한 활동에서 유 . 초 .중학교 학생들의 개념 유형 및 학년별 경향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2), 286-298 

  8. 최병순, 김효남, 강순희, 신인철, 1993, 증발과 응결에 대한 국민 학생들의 개념 조사. 13(1), 92-99 

  9. Bamhart, C.L., 1953, The American college dictionary. New York: Harper & Brothers. 1432 p 

  10. Hafner, B. and Stewart, J., 1989, A comment on Predicting genetics achievement in nonmajors college biolog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 551-553 

  11. Hanson, N.R., 1958, Patterns of Discovery. (송진웅, 조숙경 역 , 199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9 p 

  12. Klahr, D. and Dunbar, K., 1988, Dual space search during scientific reasoning, Cognitive Science, 12, 1-48 

  13. Kwon, Y., Jeong, J., and Park, Y., 2002, Children's generating hypotheses on a pendulum task: Roles of abductive reasoning skills and prior knowledge. In M. R. Matthews (ed.), International Pendulum Project Conference Papers, Unpublished. Sydney, NSW: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Australia, 1, 131-144 

  14. Kuhn, D., Amsel, E., and O'Loughin, M., 1988,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skills. San Diego, CA: Academic Press, 249 p 

  15. Kyle, W.C. and Shymansky, J.A., 1989, Enhancing learning through conceptual change teaching. NARST News, 31(3), 7-8 

  16. Lawson, A.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593p 

  17. Lawson. A.E., 2000, How do humans acquire knowledge? and What does that imply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Science & Education, 9, 577-598 

  18. Lawson. A.E., 2002, What does Galileo's discovery of Jupiter's moons tell us about the process of scientific discovery? Science & Education, 11, 1-24 

  19. Niaz, M., 1995, Enhancing thinking skills: Domain specific/Domain general strategies-A dilemma for science education, Instructional Science, 22, 413-422 

  20. Popper, K., 1968, The logic of science discovery. Harper & Row, Publisher. 480 p 

  21. Schauble, L., 1996,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reasoning in knowledge-rich contexts. Developmental Psychology, 32(1), 102-119 

  22. Wenham, M., 1993, The nature and the role of hypothesis in school science investig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5(3), 231-2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