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의 한 탐구 방법으로서 귀추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Study on Abduction as an Inquiry Method in Earth Science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5 no.5, 2005년, pp.610 - 623  

오필석 (이화여자대학교) ,  김찬종 (서울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과학적 탐구 방법의 하나로서 귀추법을 토대로 한 지구과학 탐구 활동을 고안하고 수행하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이론 연구이다. 관련 분야의 문헌들을 탐색하여 지구과학의 본성을 지구과학 탐구의 목적과 탐구 대상의 특징이라는 측면에서 살펴 보고, 귀추법의 형식과 의미, 규칙 추리와 가설제안 과정에서 사용되는 사고 전략들, 귀추법에 바탕을 둔 수업 모형을 차례로 고찰하였다. 귀추법은 어떤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한 사실이나 원리, 법칙 등과 같은 규칙을 추리해 내고 그 속에 함의된 설명적 진술이나 설명적 가설을 제안하는 과정으로서 지구 환경의 형성 원인과 과정을 연구하는 지구과학 탐구에 잘 부합하는 탐구 방법임을 논하였다. 귀추법은 또한, 확정적, 선택적, 평가적, 창조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규칙 추리와 가설 제안 과정에는 자료에 대한 재구성, 발견 법적 일반화, 유추, 개념적 결합, 사전 평가에 의한 제거, 존재에 관한 전략 등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귀추법을 토대로 한 교수-학습 모형으로서 귀추적 탐구 모형은 지구과학 교육 현장에 적용 하기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에 따라 귀추적 방법을 모델로 한 지구과학 수업과 이와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was a theoretical study of which the goal wa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arth science inquiry activities based on abduction as a scientific inquiry method. Through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the study examined the nature of earth science in terms of the goal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 지구과학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귀추적탐구 모형을 살펴보고, 지구과학 교사들과 지구과학교육 연구자들에게 주어진 앞으로의 과제를 차례로제시하도록 한다.
  • 하나는 역사학적(historical) 탐구이며 다른 하나는 인과적(causal) 탐구이다. 먼저 역사학적 탐구에서는 지구과학자들이 지구나 우주가 어떤 과정을 거쳐서 현재에 이르게 되었는지 밝혀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는다. 연구의결과는 과거 어느 시점에서 일어난 사건들의 순서를 서술하는 연대기를 알아내는 것으로, 이러한 역사 학적탐구에서는 왜 그러한 순서로 사건이 일어났는지와 같은 인과적인 측면은 일차적인 관심이 아니다.
  • 본 연구는 과학적 탐구 방법의 하나로서 귀추법을토대로 한 지구과학 탐구 활동을 고안하고 수행하는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이론 연구이다. 관련 분야의 문헌들을 탐색하여 지구과학의 본성을 지구과학 탐구의목적과 탐구 대상의 특징이라는 측면에서 살펴 보고, 귀추법의 형식과 으】미, 규칙 추리와 가설 제안 과정에서 사용되는 사고 전략들, 귀추법에 바탕을 둔 수업모형을 차례로 고찰하였다.
  • 줄 것으로 판단된다. 이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귀추법을 어떤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특정한 규칙을 추리해 내고 그 속에 포함된 설명적 진술이나 설명적 가설을 제안하는 과정이라는 포괄적인의미로 정의하고I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된 것들을 바탕으로 과학자들이 특정한 규칙을 추리하여가설을 제안하는 과정에 동원하는 사고 전략들을 지구과학의 맥락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아래에서 고찰되는 전략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 전략들이 귀추적 사고 과정에서 단독적으로 혹은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추론의 전 과정에서 복합적으로 활용될 것이 며 그 양상은 문제가 터한 맥 락이 나 탐구의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먼저 고려되어야할 것이다.
  • 이상과 같은 지구과학의 본성을 반영한 지구과학교수-학습이라는 교육적 요구와 귀추법에 대한 최근의관심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구과학의 본질적속성에 대해 고찰하고 지구과학의한 탐구 방법으로서 귀추법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는 지구과학 교육 현장에서 귀추법을 토대로 한 탐구활동을 고안하고 수행하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이론 연구로서 지구과학 교육뿐만 아니라 귀추법을 다루고 있는 과학 철학 및 과학사, 인공 지능과 인지 과학 분야의 관련 문헌들을 탐색하여 종합하는 문헌 연구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 암시해 주는 것이다. 이에, 다음에서는 귀추법을모델로 한 지구과학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 이론적인 기초를 제공하기 위하여 귀추법의 형식과 의미에 대해 논의하고, 귀추법과 관련된 사고 전략들을 살펴 본 후, 귀추적 탐구 모형에 대해 차례로 고찰해 보기로 하겠다.
  • 귀추법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는 지구과학 교육 현장에서 귀추법을 토대로 한 탐구활동을 고안하고 수행하는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이론 연구로서 지구과학 교육뿐만 아니라 귀추법을 다루고 있는 과학 철학 및 과학사, 인공 지능과 인지 과학 분야의 관련 문헌들을 탐색하여 종합하는 문헌 연구의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귀추법과 관련하여 주된 고찰의 대상이 되었던 문헌들은 다음과같다.

가설 설정

  • 1. 관찰된 화성(Mars)의 위치들에 따르면 화성의 공전 궤도는 원과 달갈형의 중간이다.
  • 1.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대륙이 서로 잘 일치한다. (fit together).
  • 1. 만일 Z가 X와 丿로 분리된다면, X와 y는 서로 잘 일치한다.
  • 1. 어떤 놀라운 현상(surprising phenomena) F가관찰된다.
  • 1. 어떤 놀라운(surprising), 깜짝 놀랄만한(astoni- shing) 현상들 Pi, P2, Pi, ... 가 관찰된다.
  • 2. 그런데, P., P2, Pi, ... 는 H 유형의(of H's type) 가설이 채택된다면, 놀라운 것이 되지 않을 것이다. 즉, 그것들은 反와 같은 어떤 가설로부터 당연한 일이 되고 H와 같은 어떤 가설에 의해 설명된다.
  • 2. 그런데, 제곱에 반비례하는 형태의 다른 법칙들과 더불어 중력의 법칙이 채택된다면, 이와 같은 궤도는 놀라운 것이 되지 않을 것이다. 즉, 케플러의 제 1 법칙은 당연한 것이 될 것이다.
  • 2. 남아메리카와 아프리카 대륙이 서로 떨어져 있다. (are apart).
  • 2. 만일 X와 丿가 붙어 있다가 수평적으로 이동한다면(drift), X와 y는 서로 떨어져 있게 된다.
  • 2. 만일 화성의 궤도가 타원이라면, 당연히 화성의위치들은 원과 달걀형의 중간에 위치할 것이다.
  • 2. 어떤 실험에서 탄소에 80 kbar의 압력과 1200 의 온도가 가해진다. (A)
  • 3. 따라서, H가 참이라고 생각할 [좋은] 이유가 있다.
  • 3. 따라서, 천왕성 주변에 또 하나의 행성이 돌고 있다는 가설을 제안할 좋은 이유가 있다.
  • 3. 이 실험에서는 다이아몬드가 만들어 질 것이다. (B)
  • 3. 화도가 형성될 당시 압력이 적어도 55 k bar에 이르는 심부에서 형성된 [다이아몬드를 비롯한] 물질들이 위로 옮겨 왔을 것이다. (A)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권용주, 심해숙, 정진수, 박국태 (2003) 수증기 응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가설 생성에서 귀추의 역할과 과정. 한국지구과학회지, 24(4), 250-257 

  2.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김영신 (2003). 과학적 가설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바탕 이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58-469 

  3. 권용주, 정진수, 박윤복, 강민정 (2003). 선언적 과학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과학철학적 연구: 귀납적, 귀추적, 연역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15-228 

  4. 박종원 (2000). 학생의 과학적 설명 가설의 생성 과정 분석: 과학적 가설의 정의와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67-679 

  5. 소흥렬 (1991) 귀추법의 논리. 과학과 철학, 2, 139-155 

  6. 이훈 (1989). 삼단 논법과 변증법. 철학논집, 5, 3-30 

  7. 정상모 (1993). 발견의 3가지 의미. 인지과학, 4(1), 25-49 

  8. 최승언 (1998). 지구과학교육.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교육학 대백과사전 (pp. 2412-2422). 서울: 하우동설 

  9.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of Press 

  10. Braigrie, B. S. (1990). The justification of Kepler's ellipre. Studies in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21, 633-664 

  11. Bybee, R. W. (2000). Teaching science as inquiry. In J. Minstrell & E. H. van Zee (Eds.), Inquiring into inquiry learning and teaching in science (pp. 20-46).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2. Chalmers, A. F. (1982).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An assessment of the nature of status of science and its method. (신일철, 신중섭 (역) (1985). 현대의 과학철학. 서울:서광사) University of Queensland Press 

  13. Chiappetta, E. L., & Koballa, T. R. Jr. (2002).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 Hall 

  14. Clement, J., & Oviedo, M. C. N. (2003). Abduction and analogy in scientific model construction.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Annual International Conference, Philadelphia, PA, March 23-26, 2003 

  15. Curd, M. V. (1980). The logic of discovery: An analysis of three approach. In B. A. Brody & R. E. Grandy (1989) (Eds.), Reading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6. DeBoer, G. E. (1991). A history of ideas in science education: Implications for practice.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17. Engelhardt, W. von, & Zimmermann, J. (1982). Theory of earth science (translated by L. Fischer).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Giere, R. N. (1988). Explaining science: A cognitive approach.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Goudge, T. A. (1950). The thought of C. S. Peirce. New York, NY: Dover Publications 

  20. Guthrie, R. D. (1984). Mosaics, allelochemics, and nutrients: An ecological theory of late Pleistocene megafaunal extinctions. In P. S. Martin & R. G. Klein (Eds.),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pp. 259-298). Tucson, AZ: University of Arizona Press 

  21. Gutting, G. (1980). The logic of invention. In T. Nickles (Ed.), Scientific discovery, logic, and rationality (pp. 221-234). Dordrecht, Holland: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2. Hanson, N. R. (1958). Patterns of discovery. London,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Hanson, N. R. (1961). Is there a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In B. A. Brody & R. E. Grandy (1989) (Eds.), Readings in the philosophy of scie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4. Hanson, N. R. (1971). Observation and explanation: A guide to philosophy of science. London, UK: George Allen & Unwin(2nd Ed.), (pp. 417-430) 

  25. Kim, C.-J. (2002). Inference frequently used in earth science.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2), 188-193 

  26. Kim, C.-J. (2003). Preparing teachers for systems science methodology. In V. J. Mayer (Ed.), Implementing global science literacy (pp. 255-266). Columbus, OH: The Ohio State University 

  27. Kordig, C. R. (1978). Discovery and justification. Philosophy of Science, 45, 110-117 

  28. Koyre, A. (1973). The astronomical revolution (translated by R. E. W. Maddison).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29. Laudan, R. (1987). From mineralogy to geology: The foundations of a science (pp. 1650-1830). Chicago, IL: University(2nd ed., pp. 417-430). of Chicago Press 

  30.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31. Leverington, D. (1995). A history of astronomy: From 1890 to the present. Oxford, UK: Springer 

  32. Llewellyn, D. (2002). Inquire within: Implementing inquiry-based science standards.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33. Magnani, L. (2001). Abduction, reason, and science: Process of discovery and explanation. New York, NY: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34. Martin, P. S. (1984). Prehistoric overkill: The global model. In P. S. Martin & R. G. Klein (Eds.), Quaternary extinctions: A prehistoric revolution (pp. 354-403). Tucson, AZ: University of Arizona Press 

  35.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6.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7. Nickles, T. S. (Ed.) (1980). Scientific discovery, logic, and rationality. Dordrecht, The Netherlands: D. Reidel Publishing Company 

  38. Oh, P. S. (2004). The nature of scientific methods and its implication for inquiry activities in science classrooms. East-West Education, 21, 89-101. Ewha Womans University 

  39. Oreskes, N. (Ed.) (2003). Plate tectonics: An insider's history of the modem theory of the earth. Boulder, CO: Westview 

  40. Popper, K. R. (1959).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박우석 (역) (1994). 과학적 발견의 논리. 서울: 고려원). Hutchinson 

  41. Psillos, S. (2000). Abduction: Between conceptual richness and computational complexity. In P. A. Flach, & A. C. Kakas (Eds.), Abduction and induction (pp. 59-74).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42. Selles-Martinez, J. (2004.). International Earth Science Olympiad: What to test and how to do so. Seoul Conference for International Earth Science Olympiad(IESO) Conference Proceedings, 136-142 

  43. Snyder, L. J. (1997). Discoverer's induction. Philosophy of Science, 64, 580-604 

  44. Thagard, P. (1988). Computational philosophy of science. Cambridge, MA: The MIT Press 

  45. Thagard, P. (1992). Conceptual revolution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6. Westman, R. S. (1973). Kepler's theory of hypothesis. Vistas in Astronomy, 16, 713-7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