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청남도 해안에 발달한 해빈과 해안사구
Beach and Sanddune Development along the Coastline of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4 no.6, 2003년, pp.568 - 577  

강대균 (충북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서해안에서 해안사구의 발달이 탁월한 충청남도 태안군의 학암포, 천리포, 만리포, 몽대포, 몽산포, 삼봉, 서천군의 송림리를 선정하여 해빈과 해안사구를 구성하는 물질의 특성과 공급원, 고사구와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충청남도 해안은 태안반도와 안면도를 비롯하여 육지가 바다로 돌출한 지역을 중심으로 해안선의 출입이 심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헤드랜드에 의해 분리된 만입으로는 파랑의 작용이 비교적 활발하게 미치므로 해빈이 발달한다. 해빈의 모래는 서풍 계열의 바람에 불려 해안사구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 지역에서는 연중 남서풍 계열의 바람이 지속적으로 불어온다. 본 연구 지역에 분포하는 해빈과 해안사구는 거의 대부분 석영장석으로 이루어졌으며 운모, 중광물도 포함한다. 학암포 해수욕장의 경우 석영 72.6%, 장석 20.3%, 운모 3.3%이고 이 밖에 각섬석, 녹렴석, 전기석, 지르콘, 기타 철산화물이 소량 포함되었다. 충청남도 해안은 모래가 부족한 편이며 화강암 기원의 것을 제외하면 입도가 아주 작고 원마도가 불량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모래의 이동 거리가 길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모래부족은 해빈의 침식과 해안선의 후퇴로 나타난다. 본 연구 지역의 해안사구는 플라이스토세의 고사구충을 기반으로 발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geomorphic processes of beach and sanddune development in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The sands consist mainly of quartz and feldspar with lesser amounts of mica and other heavy minerals. With the exception of those from the granite, the sands have a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에 대한 이제까지의 연구는 접근 방법이 제한적이고 그 주제가 단편적이었으며 해빈에 비해 해안사구가 현저하게 발달한 원인도 충분히 밝히지 못했다. 이에 충청남도의 해빈과 해안사구를 종합적으로 조사하여 구성 물질의 특성과 공급원, 고사구와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해안사구의 적색 모래층을, 고사구' 로 규정하였다. 고사구는 토양색과 고화도, 미립물질의 함량 등에서 현세 (Holocene)에 쌓인, 현생사구, 와판이하게 구별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권혁재, 1977, 주문진-강룽간의 해안지형과 해빈퇴적물질. 교육논총, 7, 45-58 

  2. 권혁재, 1981, 태안반도와 안면도의 해안지형. 사대논집, 6, 261-287 

  3. 권혁재, 1990,지형학. 법문사,서울, 502 p 

  4. 권혁재, 1993,서해안의 해안침식.사대논집, 18, 137-155 

  5. 기상청 , 1991, 한국기후표(1961-1990). 418 p 

  6. 김광식 외, 1973, 한국의 기후. 일지사,서울, 446 p 

  7. 김봉균, 1974, 제주도에 발달하는 사구층의 고생물학적 연구. 대한지질학회지 , 10(2), 95-108 

  8. 박 경, 1987, 천리포 사구내의 적황색퇴적층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문학석사학위논문, 54 p 

  9. 박동원,유근배, 1979, 우리나라 서해안의 사구지형. 지리학논총, 6, 1-10 

  10. 박승필, 1981, 한반도 후빙기 해면변동에 관한 연구 -황해안을 중심으로-. 지리학논총, 8, 11-22 

  11. 박용안, 최경식, 1993, 한국 서해 천리포 사질 조간대 해빈층과 해안사구층의 연구. 한국 제4기학회지, 7(1), 93-102 

  12. 성학중, 이종범, 박정규, 윤용훈, 1987, 서해중부 연안의 해무발생에 관한 연구. 기상연구 논문집, 4(1), 1-7 

  13. 오경섭, 오선희, 1994, 금강과 만경강 역과 모래의 비교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2), 103-124 

  14. 윤웅구, 박병권, 한상준, 1977, 한반도 후빙기 해면변화의 지형학적 증거. 대한지질학회지, 13(1), 15-22 

  15. 이병주, 김동학, 최현일, 기원서, 박기화, 1996, 1:250,000 대전 지질 도폭 설명서. 59 p 

  16. 한태흥, 1993, 제주도 연안 해빈과 사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이학박사학위논문, 136 p 

  17. Kuenen, Ph. H., 1960, Expehmental abrasion of sand grains. Report on International Geological Congress, 21 Session, Pait 10, Submarine Geology 

  18. Pethick, J. S., 1984, An Introduction to Coastal Geomor-phology. Edward Amold, London, UK, 260 p 

  19. Pettijohn, F. J., Potter, P. E. and Siever, R., 1987, Sand and Sandstone (2nd ed.), Spnnger-Verlag, New York, USA, 553 p 

  20. Skinner, B. J. and Porter, S. C, 1992, The Dynamic Eaith. John Wiley & Sons, New York, USA, 567 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