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해안사구 분포 현황과 기능특성에 관한 고찰
Review of the Functional Propertie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Coastal Sand Dune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2 no.2 = no.48, 2010년, pp.180 - 194  

윤한삼 (부경대학교) ,  박소영 (부경대학교) ,  유창일 (부경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astal sand dunes are dynamic and fragile buffer zones of sand and vegetation where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can be found: large quantities of sand, persistent wind capable of moving sand, and suitable locations for sand to accumul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coastal sand dunes inc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안사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해안사구 형성/성장 메카니즘의 이해 해안사구의 구조 형식, 그 안에 어떤 지형요소들이 위치하는지와 이들이 가지는 해안공학적 측면에서의 기능 및 중요성은 무엇인지를 기존 연구자료 및 문헌을 바탕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낙동강 하구역 사주상의 지형발달과정에서 일부분 생성되는 소규모 해안사구의 생성 및 발달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은 우리나라 해안사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해안사구 형성/성장 메카니즘의 이해, 해안사구의 구조 형식, 그 안에 어떤 지형요소들이 위치하는지와 이들이 가지는 해안공학적 측면에서의 기능 및 중요성은 무엇인지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상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안사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해안사구 형성/성장 메카니즘의 이해 해안사구의 구조 형식, 그 안에 어떤 지형요소들이 위치하는지와 이들이 가지는 해안공학적 측면에서의 기능 및 중요성은 무엇인지를 기존 연구자료 및 문헌을 바탕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낙동강 하구역 사주상의 지형발달과정에서 일부분 생성되는 소규모 해안사구의 생성 및 발달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경우 해안사구의 형태가 어떻게 나타나는가? 우리나라의 경우 해안사구는 서해안에 주로 발달되어 있으며 강한 해풍이 발생되는 동계시기 퇴적/침식이 일어나는 시점에 발달한다(유근배 등, 2007). 사구 형태는 대체로 해안선을 따라 좁고 길게 나타나지만 지형이 내륙으로 깊게 만입된 지역의 경우 비교적 넓은 폭을 가진다. 해안선이 단조로운 동해안의 경우는 사구가 좁고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폭은 100 m를 넘는 곳이 몇 지역에 국한되어 있으나, 해안선이 복잡한 서해안에는 [그림 1]과 같이 비교적 넓은 폭의 사구가 형성되어 있는데 충남 태안의 신두리, 천리포, 몽산포, 신온리, 장곡리 등은 폭 500 m이상의 해안사구이다(환경부, 2002a).
사구란? 사구(Sand dune)는 모래 이동에 의하여 형성된 모래언덕으로서 형성장소에 따라 내륙사구(사막)와 해안사구로 구분되며, 우리나라의 경우 내륙사구는 없고 해안사구만 존재한다. 해안사구(Coastal sand dune, 海岸砂丘)란 해빈과 간석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해빈 후면으로 이동하여 형성된 모래언덕으로 정의되며, 해안선을 따라 형성되는 일차사구와 퇴적된 모래가 다시 침식·운반·퇴적되면서 형성되는 이차사구로 구분된다(환경부, 2002a).
사구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사구(Sand dune)는 모래 이동에 의하여 형성된 모래언덕으로서 형성장소에 따라 내륙사구(사막)와 해안사구로 구분되며, 우리나라의 경우 내륙사구는 없고 해안사구만 존재한다. 해안사구(Coastal sand dune, 海岸砂丘)란 해빈과 간석지의 모래가 바람에 의해 해빈 후면으로 이동하여 형성된 모래언덕으로 정의되며, 해안선을 따라 형성되는 일차사구와 퇴적된 모래가 다시 침식·운반·퇴적되면서 형성되는 이차사구로 구분된다(환경부, 2002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대균(2003). 충청남도 해안에 발달한 해빈과 해안사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4(6), 568-577. 

  2. 강대석.남정호.정용현(2005). 경기만 한강하구역의 지속가능 발전지표 개발과 적용,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지, 17(2), 155-169. 

  3. 국립공원관리공단(태안해안사무소)(2007). 태안해안국립공원 해안사구 훼손지 복원사업 추진 보고서. 

  4. 김성환.서종철.박경(2008). 수문과 지형특성에 의한 신두리 해안사구 습지의 유형분류, 한국지형학회지, 15(3), 107-118. 

  5. 민병미(2004). 우리나라 해안사구 식생의 특성, 자연보전, 128, 17-28. 

  6. 박경(2002). 동해안 사구, 자연보전, 117, 25-31. 

  7. 박경(2007). 해안사구의 편년에 관한 연구, 지리학연구, 41(2), 139-149. 

  8. 서종철(2004). 해안사구에서의 유효풍속과 지형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3), 667-681. 

  9. 서종철(2008). 해안사구의 생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항목과 기준 개발, 대한지리학회 2008년 학술대회논문집, 69-71. 

  10. 오건환(2001). 낙동강 하구 갯벌: 지형, 한국의 갯벌: 환경, 생물 그리고 인간, 서울대 출판부, 505-519. 

  11. 오승환.김혁진(2008). 남해안 및 제주도 일대 해안사구의 자원식물상,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1(5), 374-387. 

  12. 오현경.김영하.변무섭.박준모(2005). 신두리 해안사구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1), 37-48. 

  13. 우한준(2001). 서해안 해안사구 실태 및 보전 방안, 자연보전, 115, 16-21. 

  14. 유근배.류호상, 한국 서해안의 해안사구(지형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15. 윤한삼.유창일.강윤구.류청로(2007). 낙동강 하구역 삼각주 발달에 관한 문헌 고찰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21(2), 22-34. 

  16. 윤한삼(2010). 해안사구의 이해와 그 중요성, 월간 해양정보, 38-49. 

  17. 이우철.전상근.김준민(1982). 한국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 - 동해안의 사구 식물군락의 종조성과 현존량에 관하여, 강원대학교 논문집, 16, 113-124. 

  18. 이우철.전상근(1984). 한국 해안식물의 생태학적 연구 - 서해안의 사구식물에 관하여, 한국생태학회지, 7, 74-84. 

  19. 이철응(1996). 연안사주의 특성이해,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8(1), 61-71. 

  20. 정용규.김종원(1998). 경북의 해안사구식생, 한국생태학회지, 21(3), 257-262. 

  21. 한태홍(1998). 제주도 연안 해빈과 사구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5(1), 73-87. 

  22. 환경부(2002a). 해안사구 보전.관리지침. 

  23. 환경부(2002b). 해안생태계 복원 지침서-해안의 갈대우점 습지와 사구를 중심으로. 

  24. French, P.W.(2001). Coastal Defences: Processes, Problems, and Solutions, Routledge. 

  25. Psuty, N.P..Ofiara, D.D.(2002). Coastal Hazard Management: Lessons and Future Directions from New Jersey, Rutgers University Press. 

  26. Short, A.D. and P. Hesp(1982). Wave beach, and dune interaction in southeastern Australia, Marine Geology 48, 259-2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