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식용 식물자원으로부터 활성물질의 탐색-X. -능소화(Campsis grandiflora K. Schum.)로부터 지질화합물의 분리 및 FPTase 저해 효과 측정- Development of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from Edible Plant Sources-X. -Isolation of Lipids from the Flower of Campsis grandiflora K. Schum. and their Inhibitory Effect on FPTase-원문보기
능소화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을 silica gel 및 octadecyl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linoleic acid의 methyl ester, linolenic acid의 methyl ester, ${\beta}-sitosterol$ 및 daucosterol로 동정하였다. Daucosterol은 $14{\pm}0.04\;{\mu}M$의 $IC_{50}$ 값으로 FPTase의 활성을 저해하였다.
능소화를 80% Me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물로 분배, 추출하였다. 이 중 EtOAc 분획을 silica gel 및 octadecylsilica gel(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MS 및 IR 등의 스펙트럼 데이터를 해석하여, linoleic acid의 methyl ester, linolenic acid의 methyl ester, ${\beta}-sitosterol$ 및 daucosterol로 동정하였다. Daucosterol은 $14{\pm}0.04\;{\mu}M$의 $IC_{50}$ 값으로 FPTase의 활성을 저해하였다.
The flower of Campsis granudiflora K. Schum. was extracted with 80% aqueous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OAc, n-BuOH and $H_2O$. From the EtOAc fraction, four compounds were isolated through the repeated silica gel and ODS column chromatographies. From the res...
The flower of Campsis granudiflora K. Schum. was extracted with 80% aqueous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OAc, n-BuOH and $H_2O$. From the EtOAc fraction, four compounds were isolated through the repeated silica gel and ODS column chromatographies. From the result of physico-chemical data including NMR, MS and IR,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determined as linolenic acid methyl ester, linoleic acid methyl ester, ${\beta}-sitosterol$ and daucosterol. Daucosterol inhibited FPTase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14{\pm}0.04\;{\mu}M$.
The flower of Campsis granudiflora K. Schum. was extracted with 80% aqueous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OAc, n-BuOH and $H_2O$. From the EtOAc fraction, four compounds were isolated through the repeated silica gel and ODS column chromatographies. From the result of physico-chemical data including NMR, MS and IR,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determined as linolenic acid methyl ester, linoleic acid methyl ester, ${\beta}-sitosterol$ and daucosterol. Daucosterol inhibited FPTase activity with $IC_{50}$ values of $14{\pm}0.04\;{\mu}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능소화의 EtOAc 분획으로부터 column 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였고, 각 화합물에 대한 fanesyl-protein transferase(FP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EtOAc 추출물(CGE>을 silica gel column(9X 20 cm) chromatography (n-hexane-CHCl3-MeOH = 30 : 10 : 1 t CHCl3-MeOH = 50:1 t 30 : 1 — 10 : 1 — 5 :1 t 3 : 1)를 실시하여 15개의 분획물 (CGE1~CGE15)을 얻었다.
기기 및 시약. NMR 스펙트럼은 Xerian Inova AS 400 (Varian, US A)으로, IR 스펙트럼은 Spectrum One(Perkin-Elmer, USA)으로, Polarimeter는 P-1010(JASCO, Japan)으로, EI/MS와 FAB/MS는 JMSAX 505-WA(JEOL, Japan)로 측정하였다. GC 는 GC-14B(Shimadzu, Japan)로, GC/MS는 JMS-700(JEOL, Japan)으로 측정하였으며, 녹는점은 Fisher-John's Meting Point Apparatus(Fisher Scientific, US 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미보정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Xerian Inova AS 400 (Varian, US A)으로, IR 스펙트럼은 Spectrum One(Perkin-Elmer, USA)으로, Polarimeter는 P-1010(JASCO, Japan)으로, EI/MS와 FAB/MS는 JMSAX 505-WA(JEOL, Japan)로 측정하였다. GC 는 GC-14B(Shimadzu, Japan)로, GC/MS는 JMS-700(JEOL, Japan)으로 측정하였으며, 녹는점은 Fisher-John's Meting Point Apparatus(Fisher Scientific, US 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미보정하였다. Column chromatography용 silica gele Kiesel gel 60(Merck, Germany)을 octadecylsilica gel(ODS)은 LiChroprep RP-18(Merck, Germany)을 사용하였다.
얻었다. 그 중 CGE2(l.lg) 분획을 silica gel c.c.(n-heptane-n-hexane-EtOAc = 35:20:1, 05.5 X 11 cm)를이용하여 12개의 분획물(CGE2-1~CGE2-12)을 얻었고, CGE2-2 (539mg)> 다시 ODS c.c.(MeOH-H2O = 6:1^ acetone-CH3CN, <D3.8X9cm)로 정제하여 화합물 l(CGE2-2-3, 46 mg)과 화합물 2(CGE2-2-6, 155 mg)를 분리하였다.
CGE7(26g) 분획 을 siUca gel c.c.(CHCl3-EtOH = 35 : 1 25: It 15 ;1, 0>7X 14 cm> 이용하여 18개의 분획물 (CGE7-1 ~CGE7-18)을 얻었다. 그- 중에서 CGE7-l(4.
화합물 1 및 2의 GC/MS 분석. 각 시료 CGE2-2-3(화합물 1, Img/lm/), CGE2-2-6(화합물 2, 1 mg/1 m/)로부터 각 3μl 를 취하여, FID가 설치된 GC(GC-14B, Shimadzu, Japan)의 주입구에 넣고, 탈착시켜 분석하였다.
화합물 1 및 2의 GC/MS 분석. 각 시료 CGE2-2-3(화합물 1, Img/lm/), CGE2-2-6(화합물 2, 1 mg/1 m/)로부터 각 3μl 를 취하여, FID가 설치된 GC(GC-14B, Shimadzu, Japan)의 주입구에 넣고, 탈착시켜 분석하였다. 분석용 컬럼은 DB-5(30m X 0.
각 시료 CGE2-2-3(화합물 1, Img/lm/), CGE2-2-6(화합물 2, 1 mg/1 m/)로부터 각 3μl 를 취하여, FID가 설치된 GC(GC-14B, Shimadzu, Japan)의 주입구에 넣고, 탈착시켜 분석하였다. 분석용 컬럼은 DB-5(30m X 0.32 mm IDX0.25gm, J&W, Folsom, CA, USA)를 사용하였으며, GC의 injector 온도는 320℃, oven 온도는 처음 5분 동안 200℃로 유지하였고, 승온 속도를 15P/mio으로 하여 최종온도가 320℃가 되도록 한 후 10분간 32CTC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분석한 화합물을 동정하기 위하여, GC(Agilent technologies, USA)와 연결된 mass spectrometer(JMS-700, JEOL, Japan)를 사용하였고, 분석용으로 사용한 컬럼 (HP-5, 30 mX 0.
25gm, J&W, Folsom, CA, USA)를 사용하였으며, GC의 injector 온도는 320℃, oven 온도는 처음 5분 동안 200℃로 유지하였고, 승온 속도를 15P/mio으로 하여 최종온도가 320℃가 되도록 한 후 10분간 32CTC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분석한 화합물을 동정하기 위하여, GC(Agilent technologies, USA)와 연결된 mass spectrometer(JMS-700, JEOL, Japan)를 사용하였고, 분석용으로 사용한 컬럼 (HP-5, 30 mX 0.32 mm IDX0.25 μm, USA) 이외의 모든 분석 조건은 GC 조건과 동일하였다. GC로 분석한 각 peak의 최종적인 확인은 GC-MS의 library 분석을 바탕으로 확인하였다.
60분 동안 37℃에서 반응시킨 후 150의 STOP/bead 시약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시료를 잘 섞은 후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1450 Microbeta Counter (WallacX 이용하여, Biotin-KKKSKTKCVIM에 transfer된 [3H] farnesyl의 양을 측정함에 의해 FPT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효소 억제활성은 vehicle만 넣은 시료에서의 효소 활성도에 대한 퍼센트(%)로 나타내었으며, 각 실험은 3반복 하였다.
시료를 잘 섞은 후 실온에서 30분 동안 방치한 후 1450 Microbeta Counter (WallacX 이용하여, Biotin-KKKSKTKCVIM에 transfer된 [3H] farnesyl의 양을 측정함에 의해 FPT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효소 억제활성은 vehicle만 넣은 시료에서의 효소 활성도에 대한 퍼센트(%)로 나타내었으며, 각 실험은 3반복 하였다.
능소화로부터 얻어진 MeOH 추출물에 대하여 용매의 극성에 따라 EtOAc, m-BuOH 및 HQ로 순차 분획하고 각 분획은 감압 농축하여 3개의 분획을 얻었다. EtOAc 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개의 화합물 1(46 mg), 2(155 mg), 3(152 mg) 및 4(28 mg)를 분리하였다.
3개의 분획을 얻었다. EtOAc 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와 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하여 4개의 화합물 1(46 mg), 2(155 mg), 3(152 mg) 및 4(28 mg)를 분리하였다.
25 μm, USA) 이외의 모든 분석 조건은 GC 조건과 동일하였다. GC로 분석한 각 peak의 최종적인 확인은 GC-MS의 library 분석을 바탕으로 확인하였다.
대상 데이터
Column chromatography용 silica gele Kiesel gel 60(Merck, Germany)을 octadecylsilica gel(ODS)은 LiChroprep RP-18(Merck, Germany)을 사용하였다. TLC는 Kieselgel 60 F254와 RP-18 F254들 사용하였고, 실험에 이용한 모든 시약은 특급시약을 사용하였다.
식물시료. 경동시장에서 능소화(중국산)를 구입하였고, 표본 시료(KHU03027)는 경희대학교 생명공학원 천연물화학실 시료 실에 보관되어 있다.
이론/모형
FPIhse(Famesyl-Protein Transferase) 억제활성. FPIase 활성은『Hj-sciiitniation proximity assay(SPA)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FPTase 활성은 Biotin-KKKSKTKCVIM(FPTase 의 기질로서 Ki-Ras C-terminal sequence)에 [3H] fomesyl pyrophosphate로부터 [3H] famesyl group의 전이를 측정함에 의해 결정된다, 반응용액(최종 부피: 100μl)은 50 mM HEPES, pH 7.
성능/효과
화합물 1은 노란 oil상 물질로서 1H-NMR 스펙트럼에서 6 5.33(6H, m)의 signal로부터 olefinic methine proton 6개가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62.79 에서 81.28 사이에서 10개의 methylene proton signal과 S0.95(3H, t, J =7.6 Hz)에서 triplet 의 말단 methyl proton signal0] 관측되었다. 13C-NMR 스펙트럼에서 19개의 탄소 signal이 확인되었으며, 617407에서 esteric carbon과 5131.
6 Hz)에서 triplet 의 말단 methyl proton signal0] 관측되었다. 13C-NMR 스펙트럼에서 19개의 탄소 signal이 확인되었으며, 617407에서 esteric carbon과 5131.81, 5130.12, 8128.15, 5128.12, 5127.61 및 6126.99에서 6개의 olefinic carbon, 그리고 65L41 에서 methoxy 기가 관즉되었다. 따라서 화합물 1은 octadecatrienoic acid methyl ester로 구조 규명되었다.
따라서 화합물 1은 octadecatrienoic acid methyl ester로 구조 규명되었다. 또한 GC/MS를 이용하여 재료 및 방법에서 제시한 조건으로 분석한 결과 5분 18초에서 단일 peak가 관측되었으며, 이 화합물의 EI/MS spectrum에서 M+ 이온 peak가 m/z 292에서 관측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library를 검색한 결과 화합물 1을 linolenic acid의 methyl ester 로 동정하였다.
또한 GC/MS를 이용하여 재료 및 방법에서 제시한 조건으로 분석한 결과 5분 18초에서 단일 peak가 관측되었으며, 이 화합물의 EI/MS spectrum에서 M+ 이온 peak가 m/z 292에서 관측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library를 검색한 결과 화합물 1을 linolenic acid의 methyl ester 로 동정하였다.
화합물 2는 무색의 oil상 물질로서 1H-NMR 스펙트럼에서 85.30(4H, m)의 signal로부터 olefinic methine proton 4개가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62.73-51.22 사이에서 12개의 methylene proton signal과 50.84(3H, t, J = 1 Hz) 에서 triplet의 말단 methyl proton signal이 관측되었다. 13C-NMR 스펙트럼에서 19 개의 탄소 signal이 확인되었으며, 6173.
84(3H, t, J = 1 Hz) 에서 triplet의 말단 methyl proton signal이 관측되었다. 13C-NMR 스펙트럼에서 19 개의 탄소 signal이 확인되었으며, 6173.94에서 esteric carbon과 5129.94, 5129.78, 5127.85 및 6127.기에서 4개의 olefinic carbon, 그리고 651.29에서 methoxy 기가 관측되었다. 따라서 화합물 2는 octadecadienoic acid methyl ester로 구조 규명되었다.
따라서 화합물 2는 octadecadienoic acid methyl ester로 구조 규명되었다. 또한 GC/MS를 이용하여 화합물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분석한 결과 5분 12초에서 단일 peak가 관측되었으며, 이 화합물의 EI/MS spectnm에서 M* 이온 peak가 m/z 294에서 관측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library를 검색한 결과 화합물 2를 linoleic acid 의 methyl ester로 동정하였다.
또한 GC/MS를 이용하여 화합물 1과 동일한 조건으로 분석한 결과 5분 12초에서 단일 peak가 관측되었으며, 이 화합물의 EI/MS spectnm에서 M* 이온 peak가 m/z 294에서 관측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library를 검색한 결과 화합물 2를 linoleic acid 의 methyl ester로 동정하였다.
2 Hz) 에서 1개의 triplet methyl proton signal을 확인하였다. , 3C-NMR 스펙트럼에서 탄소수 29개의 탄소 signal이 확인되었으며, 6141.34와 6120.63에서 1개의 이중결합, 670.74에서 1개의 oxygenated methine signal을 확인하였다. 또한 519.
화합물 4는 무색의 결정 물질로서 1H-NMR 스펙트럼과 13C- NMR 스펙트럼에서 화합물 3과 거의 유사하였고, 비당부 이외에 당 한 분자의 signal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당 signal 은 ec-NMR의 당부의 chemical shift를 검토한 결과 D- glucopyranose로 판명되었다/ 또한 B-NMR에 있어서 55.
당 한 분자의 signal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당 signal 은 ec-NMR의 당부의 chemical shift를 검토한 결과 D- glucopyranose로 판명되었다/ 또한 B-NMR에 있어서 55.04 (1H, d, 7=7.6 Hz)에서 관측되는 anomeric proton의 coupling constant 값이 7.6 Hz인 것으로 보아 P 결합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화합물 4는 |3-sitosterol의 3번 hydroxyl기에 D-이ucopyranose가 p- 결합한 daucosteroL로 동정히였다.
화합물 1, 2, 3 및 4에 대하여 FP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화합물 4(daucosterol)는 14土O.O4|1M의 IC50 값으로 FPTase의 활성을 저해하였다. 알려진 FPTase 저해물질인 Stachybotrys kampalensis에서 분리된 kampanol A의 IC50 값 13μM보다는 다소 활성이 낮으나 Artemisia sylvatica에서 분리된 artanomaloide의 IC50 값 22 μM보다는 솧은 활성을 보였다.
O4|1M의 IC50 값으로 FPTase의 활성을 저해하였다. 알려진 FPTase 저해물질인 Stachybotrys kampalensis에서 분리된 kampanol A의 IC50 값 13μM보다는 다소 활성이 낮으나 Artemisia sylvatica에서 분리된 artanomaloide의 IC50 값 22 μM보다는 솧은 활성을 보였다. 특히 daucosteroL ^-sitosterol과 마찬가지로 식물체에 다수존재 하는 물질이면서 지금까지는 보고된 생리 활성이 거의 없었으나 본 실험 결과 FPTase 저해 활성을 보이고 있어 향후 daucosterol에 대한 항암 효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59에서 6개의 methyl signal이 관측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NMR spectrum을 비교한 결과2) 화합물 3은 여러가지 식물에 널리 함유되어있는 sterol인 stigmast-5-en-3-&-ol(§-sitosterol)로 동정하였다.
후속연구
알려진 FPTase 저해물질인 Stachybotrys kampalensis에서 분리된 kampanol A의 IC50 값 13μM보다는 다소 활성이 낮으나 Artemisia sylvatica에서 분리된 artanomaloide의 IC50 값 22 μM보다는 솧은 활성을 보였다. 특히 daucosteroL ^-sitosterol과 마찬가지로 식물체에 다수존재 하는 물질이면서 지금까지는 보고된 생리 활성이 거의 없었으나 본 실험 결과 FPTase 저해 활성을 보이고 있어 향후 daucosterol에 대한 항암 효능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참고문헌 (9)
Jung, E. B. and Shin, M. K. (1990) In 'Hyang Yak Dae Sa Jun', Young Lim Sa (3rd ed.) Seoul, Korea
Ueyama, Y, Hashimoto, S., Furukawa, K. and Nii, H. (1989) The essntial oil from the flowers of Campsis grandijlora (Thumb.) K. Schum. from China. Flavour Fragr. J. 4, 103-107
Dhakre, G., Singh, J. and Chauhan, S. V. S. (1994) Analysis of phenolics and boron in the stigma of seedless Campsis grandiflora K. Schum. Indian J. Exp. BioI. 32, 816-818
Lee, S. H., Kang, H. M., Song, H. C, Lee, H. S., Kim, S. H. and Kwon, B. M. (2000) Sesquiterpene lactones, inhibitors of fanesyl protein tranferase, isolated from the flower of Artemisia sylvatica. Tetrahedron 56, 4711-4715
Donaldson, M. 1., Skoumas, v., Watson, M., Ashworth, P. A., Ryder, H., Moore, M. and Coombes, R. C. (1999) XR3054, structurally related to limonene, is a novel inhibitor of famesy1 protein transferase. Eur. J. Cancer 35, 1014-1019
Woo, M. H., Lee, E. H., Chumg, S. 0. and Kim C. W. (1996) Constituents of Spiraea prunifolia var. simpliciflora. Kor. 1. Pharmacognosy. 27, 389-396
Seo, S., Tomita, Y., Tori, K. and Yoshimura, Y. (1978) Determination of the absolute configuration of a secondary hydroxy group in a chiral secondary alcohol using glycosidation shifts in carbon-13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J. Am. Chern. Soc. 100, 3331-3339
Ahn, E. M., Lee, M. H., Rho, Y. D. and Baek, N. 1. (1998) Isolation of daucosterol from the rice hull of Oryza sativa L. 1. Korean Soc. Agric. Chern. Biotechnol. 41, 486-488
Singh, S. B., Zink, D. L., Williams, M., Polishook J. D., Sanchez, M., Silverman, K. C. and Lingham, R. B. (1998) Kampanols: Novel Ras famesyl-protein transferase inhibitors from Stachybotrys kampalensis. Bioorg. Med. Chern. Lett. 8, 2071-2076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