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잎의 생리활성 기능 검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Leaves from Korean Rosa davurica Pall.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1 no.1, 2004년, pp.100 - 105  

김준범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최승필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이득식 (동해대학교 외식산업학과) ,  함승시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열귀나무의 잎을 시료로 생리활성 기능을 검색하기 위해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및 물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 대하여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성 효과와 S. th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용매별 추출수율은 물 추출물이 24.8%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메탄을 추출물 (21.3%), 에탄올 추출물 (17.0%) 및 클로로포름 추출물 (5.6%) 순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각 추출물의 수소전자공여능 $IC_{50}$/(Inhibition concentration)을 측정한 결과 물, 메탄올,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 대조구인 butyl-hydroxytoluene, 비타민 C, 알구토코페놀과 유사하게 나타나 항산화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열귀나무 잎의 메탄을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는 TA98 균주에 대하여 세 종류의 변이원 물질 모두 농도 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나타내었으며, 생열귀나무 잎의 클로르포름 추출물 결과는 TA98 균주에 대하여 3가지 변이원 물질 모두 농도 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 TA98 균주에 대하여 200 $\mu\textrm{g}$/plate의 농도를 첨가하였을 때 B($\alpha$)P에 대해 79.8%의 억제율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생열귀나무 잎의 물 추출물은 TA98 균주에 대하여 200 $\mu\textrm{g}$/plate의 농도 첨가에서 B($\alpha$)P에 대해 67.2%의 억제율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biological activities effects of Korean leaf from Rosa davurica Pall. in vitro. They were extracted with methanol, ethanol, chloroform and water. Methods of the antimutagenic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well-known bacterial short term tes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세 종류의 변이원 물질 모두 농도 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200 μg/plate의 농도가 첨가되었을 때 B(a)P에 대해 67.2%의 억제율을 보였고, 4NQO는 66.8%, Tip-P-1는 648%의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Fig. 8.은 TA 100 균주에 대하여 직접변이원물칠로 MNNG (0.4 “g/plate)와 4NQO 그리고 간접변이원물질인 Tip-P-1과 B(a)P을 사용하여 각각의 변이원물질에 대한 생열귀나무 잎의 물 추출물의 억제 효과를 시료의 농도별 첨가에 따라 검토하였다. 네 종류의 변이원물질 모두 농도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보였고, 가장 높은 억제율을 보이는 것은 직접변이원물질인 MNNG에서 200 μg/plate 농도가 첨가 되었을 때 79.
  • 3%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Fig. 2는 TA 100 균주에 대하여 직접변이원물질로 MNNG(0.4 mg/plate) 와 4NQO 그리고 간접변이원물질인 Trp-P-1과 B(a)P을 사용하여 각각의 변이원물질에 대한 생열귀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의 억제효과를 시료의 농도별 첨가에 따라 검토하였다. 네 종류의 변이원물질 모두 농도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보였고 가장 높은 억제율을 나타낸 것은 간 접변 이원물질인 B(a)P에서 200 pg/plate 농도가 첨가 되었을 때 72.
  • 7%의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Fig. 4은 TA 100 균주에 대하여 직접 변이원물질로 MNNG(0.4 〃 g/plate)와 4NQO 그리고 간접변이원물질인 Trp-P-1과 B(a)P 을 사용하여 각각의 변이원 물질에 대한 생열귀나무 잎의클로르포름 추출물의 억제효과를 시료의 농도별 첨가에 따라 검토하였다. 네 종류의 변이원 물질 모두 농도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보였고, 거의 비슷한 억제율을 보였으며 그 중에서도 가장 높은 억제율을 보이는 것은 MNNG 에서 200 μg/plate 농도 첨가시 64.
  • 6%의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Fig. 6은 TA 100 균주에 대하여 직접변이원물질로 MNNG(0.4 μg/plate) 와 4NQO 그리고 간접변이원물질인 Trp-P-1과 B(a)P을 사용하여 각각의 변이원물질에 대한 생열귀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의 억제효과를 시료의 농도별 첨가에 따라 검토하였다. 네 종류의 변이원물질 모두 농도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보였고, 가장 높은 억제율을 보이는 것은 간 접변 이원물질인 B(a)P에서 200 μg/plate 농도가 첨가 되었을 때 80.
  • 각 추출물의 검체를 적당한 농도로 에탄올 혹은 메탄올에 희석한 용액 4 ml와 0.2 mM DPPH(l, l-dipenyl-2- picrylhydrazyl) 1 mL씩을 첨가하고 vortex로 균일하게 혼합한 다음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홉광도를 측정하였다 (12-15).
  • 강원도 정서군 일대에서 자생하는 생열귀나무를 잘게 세절하여 음건하고 20 g을 환류냉각기를 부착시킨 플라스크에 넣은 후 시료중량의 20배(400 mL)의 물, 에탄올, 메탄올 및클로로포름 용매를 각각 넣고 수욕상에서 24시간 동안 가온 추출하였다. 여과(여과지 No.
  • 건열멸균시킨 glass cap tube에 추출물 및 분획물들을 각각의 농도별로 50 mL씩 첨가하고 변이원 물질을 각각 50 “ L씩 첨가한 다음 대사활성물질이 필요한 경우에는 S-9 mix 250mL를 각각 첨가하였다. 여기에 전 배양시킨 S.
  • 생열귀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plate당 50, 100, 150, 200mg의 농도로 첨가하여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Fig. 1, 2와 같다. Fig.
  • 이것을 3TC에서 20분간 진탕배양한 후 상기의 돌연변이원성 실험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생성된 복귀돌연변이 colony수를 측정하여 항 돌연변이원성 유무를 판정하였다. 생열귀나무 잎의 추출물과 변이원물질의 농도는 예비실험을 통하여 결정하였으며 항 돌연변이 활성은 변이원물 질의 활성에 대한 시료의 억제율(Inhibition, %)로 나타내었다. 또한, 변이원물질은 직접돌연변이원으로서 N-methyl-M- nitro-N, -nitrosoguanidine(MNNG) 4-nitroquinoline-1 - oxide(4NQO) 와 간접돌연변이원 (indirect mutagen)으로 benzo( a)pyrene [B (a )P], 3-amino-l, 4- dimethyl-5H-pyrido-(4, 3-b)indol (Trp-P-1)을사용하였다.
  • 생열귀나무의 잎을 시료로 생리활성 기능을 검색하기 위해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및 물 추출물을 조제 하였다. 얻어진 추출물 대하여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성 효과와 S.
  • 얻어진 각각의 추출물들을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각각의 추출 수율(%)을 계산하였다.
  • 하였다. 얻어진 추출물 대하여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성 효과와 S. th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항돌연변이 원성 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용매별 추출수율은 물 추출물이 24.
  • 음건 세절한 생열귀나무 잎 20 g을 취하여 환류냉각기가 부착된 추출용기에 넣은 후 추출용매인 에탄올, 메탄올, 클로르포름, 그리고 증류수를 각각 400 mL를 가하여 40, 50 및 80℃의 수욕 상에서 24시간 동안 가온 추출하였다. 얻어진 각각의 추출물들을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각각의 추출 수율(%)을 계산하였다.
  • 2 M sodium phosphate buffer를 가하여 최종부피가 700 mL가 되도록 하였다. 이것을 3TC에서 20분간 진탕배양한 후 상기의 돌연변이원성 실험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생성된 복귀돌연변이 colony수를 측정하여 항 돌연변이원성 유무를 판정하였다. 생열귀나무 잎의 추출물과 변이원물질의 농도는 예비실험을 통하여 결정하였으며 항 돌연변이 활성은 변이원물 질의 활성에 대한 시료의 억제율(Inhibition, %)로 나타내었다.
  • 나타내었다. 직접변이원물질로 알려진 MNNG와 4NQO 그리고 간접변이원물질인 Trp-P-1과 B(a)P을 사용하여 각각의 농도에 따른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 데이터

  • 1, 2와 같다. Fig. 1은 TA98 균주에 대하여 양성변이원 물질로 직접변이원물질인 4NQO(0.15 mg/plate)와 변이 원의 활성화를 위해 S-9 mix를 필요로 하는 간 접변 이원물질인 Tip-P-l(0.5 "g/plate) 및 B(a)P(10 "g/plate)을 사용하였다. 세 종류의 변이원 물질 모두 농도 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 6%) 순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생리활성 탐색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 생열귀나무 잎의 추출물과 변이원물질의 농도는 예비실험을 통하여 결정하였으며 항 돌연변이 활성은 변이원물 질의 활성에 대한 시료의 억제율(Inhibition, %)로 나타내었다. 또한, 변이원물질은 직접돌연변이원으로서 N-methyl-M- nitro-N, -nitrosoguanidine(MNNG) 4-nitroquinoline-1 - oxide(4NQO) 와 간접돌연변이원 (indirect mutagen)으로 benzo( a)pyrene [B (a )P], 3-amino-l, 4- dimethyl-5H-pyrido-(4, 3-b)indol (Trp-P-1)을사용하였다. 항 돌연변이의 활성에 대한 시료의 억제율에 관한 식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 사용된 생열귀나무는 강원도 정선 생열귀 영농조합에서 생열귀나무의 잎을 공급받아 감별한 후, 증류수로 잘 세척하고, 세절 후 음건 혹은 동결건조 시킨 후, -10℃ 이하의 냉동실에 보관하면서 시료를 사용하였다. 직접 돌연변이 원(direct mutagen)으로서 4-nitroquinoline-1 -oxide (4NQO), N-methyl-N -nitro- Mnitrosoguanidine(MNNG) 과 glucose-6- phosphate(G-6-P), D-biotin, B -nicotinamide-adenine-dinucleotide- phosphate (日-NADP), nutrient broth, l, l-diphenyl-2- picrylhydrazyl (DPPH)는 미국 Sigma 회사 (Aldiich)로부터 구입하였고, 간접돌연변이원 (indirect mutagen) 으로 benzo (a )pyrene[B( a )P] 과 3-amino-l , 4-dimethyl-5H -pyrido-(4, 3-b) indol(TrpPl)과 L-histidinee 일본 和光純藥 (동경) 특급시약을 사용하였다.
  • 직접 돌연변이 원(direct mutagen)으로서 4-nitroquinoline-1 -oxide (4NQO), N-methyl-N -nitro- Mnitrosoguanidine(MNNG) 과 glucose-6- phosphate(G-6-P), D-biotin, B -nicotinamide-adenine-dinucleotide- phosphate (日-NADP), nutrient broth, l, l-diphenyl-2- picrylhydrazyl (DPPH)는 미국 Sigma 회사 (Aldiich)로부터 구입하였고, 간접돌연변이원 (indirect mutagen) 으로 benzo (a )pyrene[B( a )P] 과 3-amino-l , 4-dimethyl-5H -pyrido-(4, 3-b) indol(TrpPl)과 L-histidinee 일본 和光純藥 (동경) 특급시약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Yan, L.J., Dray-Lefaix, M.T. and Packer, L. (1995) Ginkgo biloba extract(Egb 761) protects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s against oxidative modification mediated by copper. Biochem. Biophys. Res. Commun., 212, 360-366 

  2. 여생규, 안철우, 이용우, 이태기, 박영호, 김선봉 (1995) 녹차, 오룡차 및 홍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영양식량학회지, 24, 299-304 

  3. Hertog, M.G., Kromhout, L., Aravanis, D., Blackburn, C. and Katan, M.B. (1995) Flavonid intake and long-term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cancer in the seven countries study. Arch. Inter. Med., 155, 381-386 

  4. Knekt, P., Javinnea, R., Reunanen, A. and Martela, J. (1997) Flavonoid intake and coronary mortality in Finland : a cohort study. Br. Moo. J., 312, 478-481 

  5. Hertog, M.G.L., Fesken, E.J.M, Hollman, P.C.H., Katan, M.B. and Kromhout, D. (1993)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 the Zutphen Elderly Study. Lancet, 342, 1007-1011 

  6. Basarkar, P.W. and Nath, N. (1981) Cholesterol lowering action of vitamin P-like compounds in rats. Indian J. Exp. Biol., 19, 787-789 

  7. Matsumoto, N., Okushio, K. and Hara, Y. (1998) Effect of black tea polyphenols on plasma lipids in cholesterol fed rats. J. Nutr. Sci. Vitaminol., 44, 337-342 

  8. 신국현, 임순성, 이상현, 서정식, 유창연, 박철호 (1998) 생열귀나무의 채취부위 및 시기별 비타민 함량. Korean J. Medicinal Crop Sci. 6, 6-10 

  9. Kuang, H., Kasai, R., Ohtani, K., Liu, Z., Yuan, C. and Tanaka, O. (1989) Chemical constituents of pericarps of Rosa davurica Pall,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hem. Pharm. Bull., 37, 2232-2233 

  10. Yoshida, T., Jin, Z.X. and Okuda, T. (1989) Taxifolin apioside and davuriciin M1, a hydrolysable tannin from Rosa davurica. Phytochemistry, 28, 2177-2181 

  11. Yoshida, T., Jin, Z.X. and Okuda, T. (1991) Hydrolysable tannin oligomers from Rosa davurica. Phytochemistry, 30, 2747-2752 

  12. Choi, J.S., Park, J.H., Kim, H.G., Young, H.S. and Mun, S.J. (1993)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ana. Kor. J. Pharmacology, 24, 299-303 

  13. 김종대, 이상영, 김성완 (1997) 야생초 추출물에 의한 간장 내 활성산소 생성과 항산화 효소계 조절에 관한 연구. 생약학회지, 28, 48-53 

  14. 차배천, 이성규, 이혜원, 이은, 최무영, 임태진, 박희준 (1997) 국내유용 식물의 항산화 효과. 생약학회지, 28, 15-20 

  15. 문정옥, 박종희 (1997) 간 보호효과를 지닌 자원생약의 검색. 생약학회지, 28, 156-16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