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열귀나무의 카테킨 함량 및 항산화효과
Catechin Content and Antioxidative Effect from Rosa davurica Pall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33 no.3 = no.130, 2002년, pp.177 - 181  

신인철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정경진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심태흠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오흥석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박상균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정의호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김석남 (정선생열귀영농조합법인) ,  김광기 (정선군농업기술센터) ,  최대성 (정선군농업기술센터) ,  권용수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  김창민 (강원대학교 약학대학) ,  사재훈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osa davurica Pall for the purpose of development of novel antioxidant from natural products. Antioxidant activities of four different parts of Rosa davurica Pall such as fruit, leaf, stem and root were examined by measuring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열귀나무의 다른 부위의 경우에도 주로 EtOAc 분획물 및 BuOH 분획물에서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생열귀나무 뿌리의 EtOAc분획물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물질의 분리 및 구조규명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열귀나무 뿌리의 EtOAc분획물을 DPPH radical 소거활성과 TLC에 의해 추적하면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및 Sephadex LH-20등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정제하여 최종적으로 compound-1을 분리하였다.
  • 17)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에 자생하는 유용식물들 중에서도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자원이 있으리라는 기대속에서 약 300여종의 자생식물 EtOH 엑스에 대하여 tocopherol, ascorbate 및 BHT 등과 같은 기존에 알려진 항산화제를 대조군으로 하여 DPPH radical 소거작용에 의한 항산화 효과를 검색한 결과 생열귀나무로부터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1차 항산화 활성검색결과에 연이어 항산화 활성이 탁월한 생열귀나무를 대상으로 항산화 효과 및 활성성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생열귀나무를 열매, 잎, 줄기 및 뿌리 등의 부위별로 물, 메탄올, 에탄올, 클로르포름으로 추출하여 그 조추출물을 대상으로 DPPH radical 소거효과에 의해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Table Ⅰ).
  •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 개발되어진 항산화제보다도 안전하고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고자 약 300여종의 식물자원으로부터 DPPH radical 소거효과에 의한 검색결과, 생열귀나무로부터 강력한 항산화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열귀나무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로부터 각종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등을 이용하여 활성 물질을 추적하였으며, 이들의 구조를 UV, 1H-NMR, 13C-NMR 등의 분광학적 방법에 의하여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육창수(1989) 원색한국약용식물도감, 272, 아카데미서적, 서울 

  2. 신국현, 정하숙, 조선행(1995) 생열귀나무 열매의 비타민 함량. 한국약용 작물학회지, 3: 21-24 

  3. 신국현, 임순성, 이상현, 서정식, 유창연, 박철호(1998) 생열귀나무의 채 취부위 및 시기별 비타민 함량. 한국약용작물학회지, 6: 6-10 

  4. Kuang, H., Kasai, R., Ohtani, K., Liu, Z., Yuan, C. and Tanaka, O. (1989) Chemical constituents of pericarps of Rosa davurica Pall., a tradidonal Chinese medicine. Chem. Pharm. Bull., 37: 2232-2233 

  5. Richard, M. J., Guiraud, R, Meo, J. and Favier, A. (1992)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separadon of malondialdehyde-thiobarbituric acid adduct in biological materials (Plasma and human cells)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reagent. J. Chromatography, 577: 9-18 

  6. Lissi, E. A., Salim-Hanna, M., Pascual, C. and del Casdllo, M. D. (1995) Evaluation of tatal antioxidant potential (TRAP) and total antioxidant reacdvity from luminol-enhanced chemiluminescence measurements. Free Radic. Biol. Med., 18: 153-158 

  7. Ghiselli, A., Serafini, M., Maiani, G., Azzini, E. and Ferro-Luzzi, A. (1995) A fluorescence-based method for mea-suiing total plasma antioxidant capability. Free Radic. Biol. Med., 18: 29-36 

  8. Frei, B., Stocker, R. and Ames, B. N. (1998) Antioxidant defenses and lipid peroxidation in human blood plasma. Proc. Natl. Acad. Sci. USA 85: 9748-9752 

  9. Corl, M. M. (1974) Antioxidant activity of tocopherol and ascorbyl palmitate and their mode of action. JAOCS, 51: 321-325 

  10. Branen. A. L. (1975) Toxicoli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AOCS, 52: 59-63 

  11. Choi, Y. H., Kim, M. J., Lee, H. S., Yun, B. S., Hu, C. and Kwak, S. S. (1998) Antioxidative compounds in aerial parts of Potentilla fragarioides. Kor. J. Pharmacogn. 29: 79-85 

  12. 위지향, 문제학, 박근형(1999) 국내산 다엽의 채취시기별 카테킨의 함량 및 조성. Korean J. Food Technol., 31:20-23 

  13. Lee. I. K., Yun, B. S., Kim, J. R, Chung, S. H., Shim, S. S. and Yoo, I. D. (1998) Antioxidative compounds isolated from the stem bark of Eucalyptus globulus. Kor. J. Pharmacogn., 29: 163-168 

  14. Cha, B. C., Lee, H. W. and Choi, M. Y. (1998) Antioxidadve and andmicrobial effects of nut species. Kor, J. Pharmacogn,, 29: 28-34 

  15. Kim, J. S., Kang, S. S. and Choi, J. S. (1998) Andoxidant components from Aralia continentalis. Kor. J. Pharmacogn.29: 13-17 

  16. 방면호, 송정춘, 이상양, 박남규, 백남인(1999) 考藥(Paeonia lactiflora) 뿌리로부터 항산화활성 물질의 분리. 한국농화학회지. 42: 170-175 

  17. Cha, B. C., Lee, S. K., Lee, H. W., Lee, E., Choi, M. Y., Rhim, T. J. and Park, H. J. (1997) Antioxidative effect of domestic plants. Kor. J. Pharmacogn. 28: 15-20 

  18. Young, H. S., Park, J. C. and Choi, J. S. (1987) Isolation of (+)-catechin from the roots of Rosa rugosa. Kor. J. Phannacogn. 18: 177-1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