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열귀나무 잎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및 NO생성 억제 활성
Anti-oxidant and Inhibitory Activity on NO Production of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Rosa davurica Pall. Leave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3 no.1, 2015년, pp.20 - 26  

송종호 ((주)금성테크 연구소) ,  이선령 (제주대학교 생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biological activities of Rosa davurica Pall. leaves in order to evaluate the possibility as a natural biomaterial. The 80% ethanol extract and its subsequent fractions of Rosa davurica Pall. leaves were prepared using several solvents with different polarit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4). 본 연구에서는 생열귀나무 잎이 천연물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에탄올을 이용한 추출물 및 용매 극성에 따른 분획물을 제조하여polyphenol 함량과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분석하였다.
  • 생열귀나무의 부위별 항산화 효과를 연구한 이전의 결과에 따르면 뿌리 (IC 50, 2.9 ㎍/mL) > 줄기 (IC50, 3.9 ㎍/mL) > 잎 (IC50, 6.4 ㎍/mL) > 열매 (IC50, 13.9 ㎍/ mL) 메탄올 추출물 순으로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고 잎의 경우 메탄올 추출물 (IC50, 6.4 ㎍/mL)이 에탄올 추출물 (IC50, 11.5 ㎍/mL)에 비해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어져 있으나 (Sa et al., 2002)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본 연구에서는 원료 수급의 원활함과 상업화 및 제품화에 더욱 용이한 생열귀나무 잎의 에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고 생열귀나무 잎의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황산화 활성 (IC50, 6.0 ㎍/ mL)에 비해 높은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Kim et al., 200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종이란 무엇인가?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은 정상적인 대사과정 중 생성되는 산소의 대사산물로서 과산화수소 (H 2 O 2 ), superoxide anion, hydroxyl radical과 같은 free radical들이다. 이들은 산화적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체내의 지질, 단백질, DNA 및 효소 등을 파괴하여 세포조직의 심각한 손상을 야기함으로써 염증이나 피부 노화를 유발할 뿐 만 아니라 암이나 노화에 관련된 각종 질환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onnelly et al.
민간에서 생열귀나무의 열매와 뿌리줄기는 무엇으로 사용되었는가? 강원도에서 자생하는 생열귀나무 (Rosa davurica Pall.)는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일본, 사할린, 중국 동북부,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주로 분포하며 민간에서 열매와 뿌리줄기는 방광염, 위장장애, 진통제 등의 약용으로, 뿌리껍질은 황색염료제로 사용되었다. Shin 등 (1998)의 연구에 따르면 생열귀나무의 잎과 열매는 뿌리/줄기에 비해 다량의 비타민 C와 β-carotene를 함유하고 있으며, 중국 민간에서는 비타민 C가 풍부한 생열귀나무 열매를 강장음료의 소재로도 활용하고 있다 (Kuang et al.
활성산소 제거를 위한 항산화제 중 합성 항산화제위 위험성은 무엇인가? 현재 활성산소 제거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항산화제는 BHT (butylated hydroxyl-toluene), BHA (butylated hydroxyl anisole), TBHQ (2-tert-butylhydroxyquinone)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합성 항산화제는 뛰어난 항산화 효과는 가지고 있으나 고용량으로 장기간 사용할 경우 지질대사의 불균형과 암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어 각종 식물이나 해조류 등의 천연자원에서 보다 안전하고 효과가 뛰어난 천연 항산화제를 찾기 위한 연구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Lee et al., 1994, 2005;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ickers DR and Athar M. (2006). Oxidative stress in the pathogenesis of skin diseas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26:2565-2575. 

  2. Cencioni C, Spallotta F, Martelli F, Valente S, Mai A and Gaetano C. (2013). Oxidative stress and epigenetic regulation in ageing and age-related disease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14:17643-17663. 

  3. Chawla A, Nguyen KD and Goh Y. (2011). Macrophage-mediated inflammation in metabolic disease. Nature Reviews Immunology. 11:738-749. 

  4. Choi KH, Nam HH and Choo BK. (2013). Effect of five korean native Taraxacum on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1:191-196. 

  5. Donnelly JK, McLellan KM, Walker JK and Robinson DS. (1989). Superoxide dismutase in food. Food Chemistry. 33:243-270. 

  6. Feskanich D, Ziegler RG, Michaud DS, Giovannucci EL, Speizer FE, Willett WC and Colditz GA. (2000). Prospective study of fruit and vegitable consumption and risk of lung cancer among men and women. Journal of National Cancer Institute. 92:1812-1823. 

  7. Fisher GJ, Kang S, Varani J, Bata-Csorgo Z, Wan Y, Datta S and Voorhees JJ. (2002). Mechanisms of photoaging and chronological skin aging. Archives of Dermatology. 138:1462-1470. 

  8. Im DY and Lee KI.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of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from the branch of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1:439-443. 

  9. Khansari N, Shakiba Y and Mahmoudi M. (2009). Chronic inflammation and oxidative stress as a major cause of agerelated diseases and cancer. Recent Patient on Inflammation & Allergy Drug Discovery. 3:73-80. 

  10. Kim JB, Cui CB, Lee DS and Ham SS. (2004). Studies on the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effect of leaves from Korean Rosa davurica Pall.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11:106-110. 

  11. Kim JY, Kim SY, Kwon HM, Kim CH, Lee SJ, Park SC and Kim KH. (2014).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n chestnut, chestnut shell and leaves of Castanea crenata extrac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2:8-16. 

  12. Kim TH, You JK, Kim JM, Baek JM, Kim HS, Park JH and Choe M. (2010).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Sorbus commixta HEDL cortex extra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9:1418-1424. 

  13. Kuang H, Kasai R, Ohtani K, Liu Z, Yuan C and Tanaka O. (1989). Chemical constituents of pericarps of Rosa davurica,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hemical Pharmaceutical Bulletin. 37:2232-2233. 

  14. Lee JH. (2007). New beneficial crops amaranth and quinoa for food nutritional source.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2:29-36. 

  15. Lee KY. (1993). Antioxidant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defatted perilla seed flour.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5:9-14. 

  16. Lee YC, Son JY, Kim KT and Kim SS. (1994).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isolated from barley leaves. Korean Journal of Food & Nutrition. 7:332-337. 

  17. Lee YM, Kim DI, Lee SH, Cho SM and Chun HK. (2005). Investigation of DPPH radical scavenging and prolylendopeptidase inhibitory activities of plant extracts.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6:95-102. 

  18. Lim JD, Yu CY, Kim MJ, Yun SJ, Lee SJ, Kim NY and Chung IM. (2004). Comparision of SOD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various Korean medicine plan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2:191-202. 

  19. Omata N, Tsukahara H, Ito S, Ohshima Y, Yasutomi M, Yamada A, Jiang M, Hiraoka M, Nambu M, Deguchi Y and Mayumi M. (2001).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childhood atopic dermatitis. Life Science. 69:223-228. 

  20. Park JC, Hur JM, Hwang YH, Choi MR, Kim SN and Choi JW. (2003).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Rosa davurica root extract in rat intoxicated with bromobenzene. Journal of Life Science. 13:230-235. 

  21. Sa JH, Lee W, Shin IC, Jeong KJ, Shim TH, Oh HS, Kim YJ, Cheung EH, Kim GG and Choi DS. (2004). Antioxidant effects of Rosa davurica Pall extract on oxidant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6:311-316. 

  22. Sa JH, Lee W, Shin IC, Jeong KJ, Shim TH, Oh HS, Park SK, Cheung EH, Kim SN, Kim GG, Choi DS, Kwon YS and Kim CM. (2002). Catechin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 from Rosa davurica Pall.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3:177-181. 

  23. Seo EJ, Hong ES, Choi MH, Kim KS and Lee SJ. (2010). Antioxidant and skin whitening effects of Rhamnus yoshinoi extract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2:750-754. 

  24. Shin KH, Lim SS, Lee SH, Seo JS, Yu CY and Park CK. (1998). Vitamin contents in Rosa davurica Pall.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6:6-10. 

  25. Sivaranjani N, Rao SV and Rajeev G. (2013). Role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tioxidants in atopic dermatitis. Journal of Clinical and Diagnostic Research. 7:2683-2685. 

  26. Walker JL, McLellan KM and Robinson DS. (1987). Heat stability of superoxide dismutase in cabbage. Food Chemistry. 23:245-256. 

  27. Yang HJ, Park MJ and Lee HS. (2011).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mponents of Gardenia jasminoide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43:51-57. 

  28. Yoo ID, Kim JP, Kim WG, Yun BS and Ryoo IJ. (2005). Development of new natural antioxidants for cosmeceuticals. Journal of the Society Cosmetic Scientists Korea. 31:349-357. 

  29. Yoon WJ, Lee JA, Kim JY and Oh DJ. (2006).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n Artemisia scoparia. Korean Journal of Pharmacognosy. 37:235-2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