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참나무과 식물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Quercus spp. against Foodborne Pathoge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3, 2004년, pp.463 - 468  

윤재원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유미영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 ,  박부길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 ,  이명구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제지공학) ,  오덕환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병원성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참나무류 6종의 부위 별 항균력을 검색한 결과, 참나무류 부위별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력은 그람양성 세균과 음성 세균에 대해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음성균인 E. coli 0157:H7이나 S. typhimurium보다 그람양성균인 B. cereus, L. monocytogenes, S. aureus균에 대하여 더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효모와 곰팡이에 대해서는 항균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수종별 항균 활성은 갈참, 떡갈 신갈나무 에탄올 추출물이 졸참, 상수리, 굴참나무 에탄올 추출물보다 더 강하였으며, 부위별로는 잎이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수피와 목질부는 유사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6종의 부위별 참나무수종 중에서 갈참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B. cereus ATCC 9634와 L. monocytogenes ATCC 19111에서는 500 $\mu\textrm{g}$/mL에서, E. coli O157:H7는 1 mg/mL의 농도에서 생육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leaf, bark and xylem of 6 kinds of Quercus spp. against food borne disease bacteria. All of the samples tested showed the antimicrobial effect against food borne disease bacteria.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를 첨가하였을 때 합성보존제와 비슷한 미생물의 생육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천연보존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16).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수목 중 잎, 수피, 목질의 부위별 항균성을 조사하여 천연 항균제 및 식품 보존제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Todd ECD. 1989. Preliminary estimates of costs of foodborne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J Food Prot 1: 595-601. 

  2. Scott VN. 1988. Safety considerations for new generation refrigerated foods. Dairy Food Environ Sanitation 1: 5-10. 

  3. Frank JF. 1990. Control of L. monocytogenes in food processing environments. J Korean Soc Food Nutr 19: 491-493. 

  4. Brane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ed hydroxyanu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AOCS 52: 59-63. 

  5. Beuchat LR, David AG. 1989. Antimicrobials occurring naturally in foods. J Food Technology 43: 134-142. 

  6. Maria BZ, Lamar SR, Jose SM, Minam LS, Amaldo RL. 1984. Volatile sulfides of the amazonian garlic bush. J Agric Food chem 32: 1009-1010. 

  7. Jamal NB, Ibrahim AW. 1994. Citric acid and antimicrobial affect microbiological stability and quality of tomato juice. J Food Sci 59: 130-134. 

  8. Fleming HP, Walter WM, Etchells JL. 1969. Isolation of a bacterial inhibitor from green olives. Appl Microbiol 18: 856-860. 

  9. Kang HY. 1994. The biochemical role of tree extractives. Mokchae Konghak 22: 5-11. 

  10. Yoon JH. 1994. Introduction of Forestry. 1st ed.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cademic Press Inc, Chunchon. p 29. 

  11. Kim TU. 1996. The forest of Korea. 1st ed. Kyohak Press Inc, Seoul. p 20. 

  12. Lee BW, Shin DH. 1991. Antimicrobial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and their fractionates for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05-211. 

  13. Ohara S, Hemingway RW. 1989. The phenolic extractines in southern red oak (Quercus falcata Michx. var. falcata) bark. Holz fors Chung 43: 149-154. 

  14. Mallea M, Pesando D, Bernard P, Khoulalene B. 1991. Comparison between antifungal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everal strains of Epicoccum purpurascens form Mediterranean area. Mycopathologia 115: 83-88. 

  15. Kong YJ, Hong TP, Kwon HJ, Hong JK, Park BK, Oh DH. 2001. Antimicrobial activities of Quercus mongolia spp. leaf ethanol extract against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415-420. 

  16. Kong YJ, Kang GS, Lee MK, Park BK, Oh DH. 2001.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lvent fractions of Quercus mongoli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38-343. 

  17. Lee BW, Shin DH. 1991. Screen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s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00-204. 

  18. Kim SJ, Park SJ. 1996. Antimicrobial substance in leek (Allium tuberosum). Korean J Food Sci 28: 604-608. 

  19. Kong YJ, Oh DH. 2001.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a leaf as natural food preservativ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243-2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