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역귀의 알긴산 함량은 알칼리가용성 알긴산 추출법에 의한 미역귀 알긴산 수율이 33.8%,비교구로서 미역줄기의 알긴산 수율이 22.3%를 나타내어 알긴산 수율은 미역귀가 높게 나타났다. 미역귀 잼의 주원료인 미역귀 페이스트는 미역귀를 자숙, 염장하여 건조한 것을 물에 침지하여 탈염하고 물기를 뺀 후, 2.5배의 물을 가하여 초퍼와 균질기를 차례로 써서 균질화한 다음, 50 mesh 체로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미역귀 잼은 미역귀 페이스트에 설탕, HM pectin 및 유기산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을 순차적으로 첨가하면서 일정 농도까지 가열, 농축한 다음 잼 제품으로서 품질을 유지하고 미역취를 차폐할 목적으로 계피가루와 합성 딸기향을 일정량 가하여 제조하였다. 잼 제조시 설탕, 펙틴, 유기산 및 유기염이 제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계적 및 관능적으로 살펴본 결과, 미역 페이스트에 설탕 60%(w/w), HM pectin 0.75%(w/w), citric acid 0.3%(w/w)를 첨가하여 62$^{\circ}$Brix로 한 제품이 물성면에서 양호하였고, 미역 특유의 바람직하지 못한 해조취를 차폐하기 위해 합성 딸기향 0.08%(w/w)을 첨가한 미역귀 잼이 관능적으로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eparation of jam using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effects of food ingredients to the jam rheology were investigated. The paste was prepared by crushing the sporophyll using chopper and homogenizer with 2.5 times water and then it was filtrated before to make a jam. The sporophyll jam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2, Mean scores of the same letter within a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5% leve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hoi HS, Kim SS, Kim JG, Kim WJ. 1992. Effect of temperature on som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queous extracts of sea mustard.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382-386. 

  2. Kim WJ, Choi HS. 1994. Development of combined methods for effective extraction of sea mustard.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44-50. 

  3. Lee DS, Kim HR, Pyeun JH. 1998. Effect of low-molecularization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alginate. J Korean Fish Soc 31: 82-89. 

  4. Koo JG, Jo KS, Do JR, Woo SJ. 1995.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fucoidans from Laminaria religiosa and Undaria pinnatifida in Korea. J Korean Fish Soc 28: 227-236. 

  5. Zhuang C, Itoh H, Mizuno T, Ito H. 1995. Antitumor active fucoidan from the brown seaweed, Umitoranoo (Sargassum thunbergii). Biosci Biotech Biochem 59: 563-567. 

  6. Rhee SH. 1972. A study on the calcium and iron content of the Undaria pinnatifida suringar. J Korean Soc Food Nutr 1:25-31. 

  7. Suzuki T, Nakai K, Yoshie Y, Shirai T, Hirano T. 1993. Effect of sodium alginates rich in guluronic acid and mannuronic acids on cholesterol levels and digestive organs of high-cholesterol-fed rats. Nippon Suisan Gakkaishi 59: 545-551. 

  8. Lee EH, Cha YJ, Kim JG, Kwon CS. 1983. Studies on the processing an utilization of seaweeds 1. Preparation of powdered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mixtures for juice type. Korean J Food Nutr 12: 382-386. 

  9. Cha YJ, Lee EH, Park DC. 1988. Studies on the processing and utilization of seaweeds. II.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sea mustard jam. Bull Korean Fish Soc 21: 42-49. 

  10. Kim KH, Kim CH. 1982. Studies on the manufacture of Underia pinnatifida laver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I. Histochemical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336-341. 

  11. Kim KH, Kim CH. 1983. Studies on the manufacture of Underia pinnatifida laver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II. Chemical proper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15: 277-281. 

  12. Joo DS. 1990. A study on the processing of sea mustard yankeng. MS Thesis.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of Busan. 

  13. Lee KH, Lee DH, Cho HS, Jung WJ. 1993. Studies on the preparation and utilization of sea mustard extracts with the treatment conditions. Bull Korean Fish Soc 26: 409-415. 

  14. AOAC. 199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5. Cho SY, Kang HJ, Joo DS, Lee JS, Kim SM. 1999. A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properties and gel formation abilities of hot-water extractable material, water-soluble alginate and alkali-soluble alginate extracted from Laminaria japonica in east sea, Korea. J Korean Fish Soc 32: 774-778. 

  16. Ahn CB, Shin TS, Nam TS. 2000. A trial for preparation of jam using sea mustard stem. J Korean Fish Soc 33: 423-430. 

  17. Nishide E, Kinoshita Y, Anzai H, Uchida N. 1988. Distribution of hot-water extractable material, water-soluble alginate and alkali-soluble alginate in different parts of Undaria pinnatifida. Nippon Suisan Gakkaish 54: 1619-1622. 

  18. Ukeda H, Iida M, Sawamura M, Kusunose H. 1996. Relationship between chemical properties of alginate extracted from brown algae and sodium ion binding capacity in vitro. Nippon Shokuhin Kagaku Kaishi 43: 569-574. 

  19. Kim CY, Park YH. 1975. Alginic acid contents in brown algae. Bull Nat Fish Univ Busan 15: 27-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