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가공식품의 영양성분 및 영양강조 표시 실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Nutrition Composition Labeling and Nutrition Claim Practices for the Processed Foods 원문보기

한국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20 no.1, 2004년, pp.100 - 111  

오세인 (서일대학 식품영양과) ,  장영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current nutrition labeling on the packaging of the processed foods that provide consumers with a reliable and consistent source of information,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a useful aid for food selection and a potent educational tool for 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2002년도에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가공식품을 구입하여 식품 포장지에 나타난 영양관련 정보를 취합하여 식품의 영양성분 표시와 영양강조 표시의 현황과 유형을 분석하여 체계적이며 표준화된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활성화와 향후 영양표시제도 의무화 도입 추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Park, HR and Min, YH: A basic research for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 With a reference to the consumer awareness. Korean J. dietary cuIture, 10(3): 155-166, 1995 

  2. Silverglade, B: The nutrition labeling and education act: A public health milestone is now under attack. J. Nutr. Educ., 28(6): 251-253, 1996 

  3. Brecher, SJ, Bender, MM, Wilkening, VL, McCabe, NM and Anderson, EM: Status of nutrition labeling, heath claims, and nutrient content claims for the processed food: 1997 food label and package survey. J. Am. diet. Assoc., 100(9): 1057-1062, 2000 

  4. Michel, PM, Korslund, MK, Finan, A and Johnson, J : Food label reading habits of WIC clients. J. Nutr. Educ., 26(3): 146-148, 1994 

  5. Heimbach, JT and Stokes, RC : Nutrition labeling and public health: survey of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members, food industry, and consumers. Am. J. Clin. Nutr., 36: 700-708, 1982 

  6. 노영화 : 식품영양표시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자보호원, 1998 

  7. Crane, NT, Behlen, PM, Yetley EA and Vanderveen, JE : Nutrition labeling of foods: A global perspective. Nutr. today, 25: 28-35, 1990 

  8. Gourlie, KE : Food labeling: A Canadian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 Nutr. Rev., 53(4): 103-105, 1995 

  9. 보건복지부: 식품 등의 표시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 99-15호, 1999 

  10. Chang, SO: A Study on the current Nutrition Labeling Practices for the Processed Foods Retailed in the Supermarket in Korea. The Korea Journal of Nutrition, 30(1): 100-108, 1997 

  11. Chung, HR: Development of Community Nutrition Program and its application though consumer organizatio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paper, 2000 

  12. Kim, DS and Lee, JW: Use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labelings in processed foods among middle students and their parents. J. of Korean Dietetic Association, 8(3): 30 1-310, 2002 

  13. Im, HS. and Kim, HS.: Utilization of the current food labeling system of processed of foods and awareness on nutrition labeling among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4): 763-774, 1998 

  14. Park, HR and Min, YH: A basic research for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nutrition labeling: with a reference to the consumer awareness. Korean J. Dietary culture, 10(3): 155-166, 1995 

  15. Chang, SO: A Study on the Perception, Use, and Demand of Housewife -Consumers for Nutrition Label. The Korea Journal of Nutrition, 33(7): 763-773, 2000 

  16. Shin, AJ, Kye, SH, Jang, YA, Kim, BH and Lee, HS: Healthy Korea 2010: Objectives and Strategies-Nutritio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paper, 2000 

  17. 보건복지부 :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Health Plan 2010). 2002 

  18.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 등의 표시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0-36호, 2000 

  19. Chung, HR : Development of Community Nutrition Program and its application though consumer organizatio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paper, 2000 

  20. Chung, HR, Jang, YA, Cho, YH and Lee, HJ: Study for Better Nutrition Labeling System in Korea.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paper, 2001 

  21. 녹색소비자연대 : 영양표시제도의 활성화. 행정개혁과제, 2000 

  22. 대한주부클럽연합회: 소비자 건강증진과 영양성분 표시 확대를 위한 간담회 자료집, 2001 

  23. 서민원: 영양교육제도 도입을 위한 입법 추진방안. 전국영양사학술대회 자료집, 79-115, 2000 

  24. Chang, SO: A study of the Comprehension and Preference of Consumers to Four Different Formats of Nutrition Label. The Korea Journal of Nutrition, 30(6):679-689, 1997 

  25. 노영화: 식품표시에 대한 소비자인식에 관한 연구. 소비자문제연구, 제23호, 2000 

  26. Lee, KH and Yeo, JS : Analysis of Consumer Behavior on Using Food Label. Kor. Home Economics, 34(5): 235 -248, 1996 

  27. Schucker, RE, Levy, A, Tenny, TE and Mathews, O: Nutrition shelf-labeling and consumer purchase behavior. J. Nutr. Educ., 24: 75-81, 1992 

  28. Pennington JAT and Vanderveen, JE: Descriptive terms for foods with special dietary characteristics. J. Nutr. Edu., 20(1): 30-32, 1988 

  29. Pennington JAT, Wilkening, VL and Vanderveen, JE: Descriptive terms for food labeling. J. Nutr. Edu., 22(1): 51-54,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