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다빈도 가공식품 중 볶음밥류의 영양성분 함량 비교
Comparison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for Bokkeumbap Products in High-Frequency Processed Foods in the Republic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2 no.6, 2019년, pp.589 - 597  

정의환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차승현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김병희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성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  김인환 (고려대학교 바이오시스템의과학부) ,  천지연 (순천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기택 (충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영화 (경성대학교 식품응용공학부) ,  신의철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식품과학부) ,  서동원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  이삼빈 (계명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장금일 (충북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70 kinds of nutritional composition for five bokkeumbap products(spicy chicken, shrimp(saeu), haemul, nakji, and barbecue bokkeumbap) in high-frequency processed foods were analyzed. Raw data of intake amounts were collected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원시자료에서 섭취량을 근거로 추출한 다빈도 섭취 가공식품 중 볶음밥류(새우볶음밥, 낙지볶음밥, 해물볶음밥, 매운치킨볶음밥, 바비큐볶음밥)에 대한 70종의 영양소를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서 국가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구축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원시자료에서 섭취량을 근거로 다빈도 섭취 가공식품 중 5가지 볶음밥류(새우볶음밥, 낙지볶음밥, 해물볶음밥, 매운치킨볶음밥, 바비큐볶음밥)에 대한 70여종의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매운치킨볶음밥이 다른 볶음밥에 비하여 수분함량이 낮고, 탄수화물 함량이 높아 전체 칼로리는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다른 볶음밥은 유사한 범위에서 분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현대인들의 영양과잉(비만), 또는 영양불균형의 원인은? 최근 들어 현대인의 식생활 패턴이 변화되면서 가공식품, 패스트푸드 및 외식 식품의 의존도가 크게 증가되면서 영양과잉(비만), 또는 영양불균형으로 인한 만성질환의 발생 위험도가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KNHANES 2016). 이에 매일 섭취하는 식단에 대한 영양성분의 섭취 수준 및 영양성분 함량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증가하면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국민의 식품섭취 실태에 관한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및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진행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가 정확한 자료의 제공이 필요한 이유는?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가적인 자료로 다양한 연구목적에 사용되기 때문에 정확한 자료의 제공이 필요하다. 이에 1969년부터 국민영양조사를 실시해오다 1998년(제1기)부터 확대되어 현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7년)까지 진행되었으며(Yoon 등 2017), 특히 제7기 식품섭취조사 원시자료에서 다빈도 섭취 가공식품 품목이 다양하게 나타났다(KNHANES 2016).
다빈도 섭취 가공식품에 대한 세부적인 영양성분 정보를 제공해야하는 이유는? 이에 1969년부터 국민영양조사를 실시해오다 1998년(제1기)부터 확대되어 현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7년)까지 진행되었으며(Yoon 등 2017), 특히 제7기 식품섭취조사 원시자료에서 다빈도 섭취 가공식품 품목이 다양하게 나타났다(KNHANES 2016). 이 중 영양성분 의무표시 및 자율표시 대상을 제외한 가공식품 품목에 대한 영양성분 정보의 제공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영양성분 정보가 부족한 다빈도 섭취 가공식품에 대한 세부적인 영양성분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2. Choi JS. 2011. Food nutrition information, where can we get sources of nutrition information in food? J Korean Diabetes 12:163-166 

  3. Heudi O, Kilinc T, Fontannaz P, Marley E. 2006. Determination of vitamin B12 in food products and in premixes by reversed-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immunoaffinity extraction. J Chromatogr A 1101:63-68 

  4. Jeong SH, Ha JH, Jeong YG, Jo BC, Kim DH, Ha SD. 2011. Estimation of shelf-life of commercially sterilized fried rice containing meat. J Food Hyg Saf 26:209-213 

  5. Jung JH, Lim JH, Jeong MJ, Jeong IH, Kim BM. 2015. Changes in quality of fried rice with red snow crab meat depending on the storage period and temperature. Korean J Food Cookery Sci 31:387-394 

  6. Kim DS, Kim HS, Hong SJ, Cho JJ, Choi M, Heo SU, Lee J, Chung H, Shin EC. 2018. Investigation of water-soluble vitamin (B1, B2, and B3) content in various rice, soups, and stews produc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50:362-370 

  7. Kirchner U, Degenhardt K, Raffler G, Nelson M. 2012. Determination of vitamin B12 in infant formula and adult nutritionals using HPLC after purification on an immunoaffinity column: First Action 2011.09. J AOAC Int 95:933-936 

  8. KNHANE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 KNHANES 7th survey data.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eng/index.do [cited 18 August 2019] 

  9. Lee HS, Chang MJ, Kim HY, Shim JS, Lee JS, Kim KN. 2018. Survey on utilization and demand for national food composition database. J Nutr Health 51:186-198 

  10. Lee JH, Lee HN, Shin JA, Chun JY, Lee J, Lee KT. 2015. Content of fat-soluble nutrients (cholesterol, retinol, and $\alpha$ -tocopherol) in different parts of poultry meats according to cooking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234-241 

  11. Lim SH, Kim JB, Cho YS, Choi YM, Park HJ, Kim SN. 2013. National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s provide the infrastructure for food and nutrition research according to policy and industry. Korean J Food Nutr 26:886-894 

  12. MF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8. Korea food code. Available from https://www.foodsafetykorea.go.kr/portal/safefoodlife/food/foodRvlv/foodRvlv.do [cited 25 August 2019] 

  13. MOHW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CDC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MOHW/KCDC 

  14. NA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2016. Food Composition Table. 9th ed. NAS 

  15. NIFDS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9. Manual for Construction of Food Nutrient Composition Databas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6. Park SH, Song W, Chun J. 2018. Analyses of cholesterol, retinol, $\beta$ -carotene and vitamin E contents in regional food South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7:429-439 

  17. Shin JA, Choi Y, Lee KT. 2015. $\beta$ -Carotene content in selected agricultural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418-424 

  18. 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8.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legacy release, April 2018. The USDA Food Composition Databases. Available from https://ndb.nal.usda.gov/ndb/ [cited 18 August 2019] 

  19. Williamson C. 2006. Synthesis report No 2: The different uses of food composition databases. Available from http://www.bezpecnostpotravin.cz/UserFiles/File/Kvasnickova2/EuroFIR_2.pdf [cited 18 August 2019] 

  20. Yoon J, Chung H, Kim Y. 2019. Analysis of selected watersoluble vitamin $B_{1}$ , $B_{2}$ , $B_{3}$ , and $B_{12}$ contents in namul (wild greens) consumed in Korea. Korean J Food Nutr 32:61-68 

  21. Yoon MO, Lee HS, Kim K, Shim JE, Hwang JY. 2017. Development of processed food database us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J Nutr Health 50:504-5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