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미용사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 요인
The Related Factors to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Some Hair Dresser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1 no.2, 2004년, pp.117 - 131  

박종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혜향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신월 (곡성군보건의료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obtain basic data for a health promotion program of hair dressers,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some hair dressers was assessed with the related factor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perceptual factors. The subjects were 245 hair dressers working at beauty shops hav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Pender(198刀의 건강 증진 모형 올 기초로 일부 미용사들의 건강과 관련된 생활 양식을 파악하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함으로써 미용사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유익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게 되었다.

가설 설정

  • 조정 요인은 인지 지각 요인에 직접적인 영향 올 주며, 조정 요인에 영향을 받은 인지 지각요인은 건강증진행위 실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귀애. 초등학교 육 학년 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2. 강영숙, 이현주. 미용사의 건강 지각 증상의 실태 및 원인 분석. 한국미용학회지 2001;7(1):73-80 

  3. 김선미.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의 건강증진 활동 수행 정도 및 관련 요인.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4. 김중임. 교대근무간호사의 CIRCADIAN 유형에 따른 밤 근무 전후의 피로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석사학위 논문, 1992 

  5. 나영순, 류지원. 근무조건에 따른 미용사의 건강상태에 관한 조사. 한국미용학회지 2000;6(3):727-751 

  6. 노태영. 일부 종합병원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2 

  7. 박미영. 대학생의 건강 증진 생활 양식과 관련 요인 연구. 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3 

  8. 박계화. 건강 개념, 자기 효능감, 강인성과 건강 증진 생활 양식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대 간호학과 석사학위논문, 1995 

  9. 박소영. 초등학교 양호교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7 

  10. 박인숙. 건강증진 생활 양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학위논문, 1995 

  11. 소영진. 미용사의 직업성 스트레스 연구. 원광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2. 송금숙. 일부 지방공무원의 건강 증진 생활 양식과 그 관련 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13. 오복자. 위암환자의 건강증진 행위와 삶의 질 예측 모형.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14. 오정열, 이은미, 서학은, 조경환, 홍명호. 의사와 일반인의 건강 증진 행태 비교. 가정의학회지 1992;13(11):878-890 

  15. 윤은자.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 . 건강증진학회지 2000;17(1):44-45 

  16. 윤 진.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와 그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간호학과 석사논문, 1990 

  17. 이봉주. 부산지역 미용사들의 건강 실태 및 건강행위에 관한 조사.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8. 이용한. 미용사들의 자각 증상에 의한 누적 외상성 질환.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9. 이정숙. 일부 종합병원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와 관련 요인.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보건행정학 석사학위논문, 2000 

  20. 이종경, 한애경.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건강 증진 행위와의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1993;8(1):55-68 

  21. 임순녀. 일부 미용 업무 종사자의 직무 만족도. 조선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보건학과 석사학위논문, 2000 

  22. 정주임, 소영진. 미용사의 업무 환경에 따른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1900;4(1) :275-287 

  23. 한혜실.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예수간호전문대학논문집 1995;10(1):63-82 

  24. Christiansen KE. The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Doctoral dissertation. Rush University, 1983 

  25. Duffy ME.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on in midwife women. Nursing Research 1900;37(6):358-362 

  26. Frank-Stromborg M, Pender NJ, Walker SN, Sechrist KR. Determinant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ambulatory cancer patients. Soc. Sci. Med 1990;31(10):59-1168 

  27. Given BA, Given C.W. Health promotion for family caregivers of chronically ill elders. Advanced Nursing Research 1998;16:197-217 

  28. Killeen M. Health promotion practices of family care givers. Health Values 1989;13(4):3-10 

  29. Pender NJ,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tactice. Nowalk 2nd ed. Apppleton-Century-Crofts, 1982 

  30. Pender NJ,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tactice. Nowalk 2nd ed. Apppleton-Lange, 1987 

  31. Schoenborn CA. Health habits of U.S. adults, 1985. Almeda 7'revisited. Public Health Rep 1986;571-580 

  32. Speake D.L, Cowart M.E, Pellet K. Health perceptions and lifestyles of the elderl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89;12:93-100 

  33.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Health-Profile :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search 1987;36:76-81 

  34. Sherer M, Maddux JE, B Mercandante, Prentice-Dunn S, Jacobs B&Rogers R.W. The self-efficacy scale : cons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1982;51:663-671 

  35. Ware J, Davis-Avery, Donald CA. Conceptualiz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for adults in the health insurance study. General Health Prceptions, 1978 

  36. Wallston BS, Wallston KA. Development of the multid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Health Education Monographs 1987;6(2):160-171 

  37. Wilson MC, Ciliska D. Lifestyle Assessment : Development And Use of the FANTASTlC Checklist, Can. Fam Physician 1984;30:1527-15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