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남산에서의 임형과 토양 환경에 따른 서양등골나물의 분포 양상
Distribution Pattern of Eupatorium rugosum in Various Forest Types and Soils in Mt. Namsan 원문보기

한국생태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v.27 no.5 = no.121, 2004년, pp.291 - 300  

길지현 (국립환경연구원 식물생태과) ,  심규철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  전영문 (건국대학교 생물학과) ,  이호준 (건국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서울 남산을 대상으로 임형과 토양 특성에 따른 서양등골나물의 출현과 분포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서양등골나물은 자연환경보전법에 의한 환경부 고시 생태계위해외래식물로 광조건이 좋은 길가와 계곡의 교란된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다. 서양등골나물군락은 소나무림과 아까시나무림 하층에 주로 출현하였으며, 신갈나무림과 잣나무림에서는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서양등골나물군락의 초본층 식별종은 주름조개풀과 담쟁이덩굴이었다. 서양등골나물의 피도와 우점수종의 피도는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ANOVA, p>0.05). 토양함수량, 유기물 함량, 수소이온농도, 표층의 두께(F-H layers)등 토양 환경 특성과 서양등골나물의 출현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결과, 서양등골나물이 출현한 군락에서 토양함수량 및 유기물 함량, 수소이온농도가 서양등골나물이 출현하지 않은 군락보다 다소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에, 표층(F-H층)의 두께와 서양등골나물의 피도는 강한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다(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Eupatorium rugosum by forest types and soil characteristics in Mt. Namsan in Seoul, Korea. E. rugosum is designated as a harmful non-indigenous plant in ecosystem by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산에 분포하고 있는 삼림군락의 토양환경에 따른 서 양등골나물의 출현 및 분포에 대한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서양등골나물이 출현하고 있는 군락과 출현하지 않은 군락의 교목층 우점수종과 피도, 그에 따른 토양 환경은 Table 5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서양등골나물의 임형에 따른 분포 특성을 조사하고자 서울 지역에서 서양등골나물이 가장 넓은 분포를 나타내고 있는 남산 전역에 방형구를 설치하여 서양등골나물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서양등골나물이 분포하는 지역과 분포하지 않는 지역을 망라하여 토양 특성에 따른 서양등골나물의 출현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공동수, 유재정, 김기헌, 양상용, 전상린, 전의식. 1996. 귀화생물에 의한생택적 영향 조사(II). 국립환경연구원 조사연구보고서, 230 p 

  2.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류홍일, 공동수, 이은복,전희식. 1995. 귀화생물에 의한 생태적 영향 조사(I), 국립환경연구원 조사연구보고서, 215 p 

  3. 기상청. 1992-2002. 기상월보 

  4. 길봉섭, 전의식, 김영식, 김창환, 윤경원, 유현경, 김병삼, 김현철. 1998. 서울 남산공원의 식물상과 그 분포. 한국생태학회지 21: 603-631 

  5. 길지현. 2003. 서양등골나물의 생태적 특성 및 환경위해성 평가.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2 p 

  6. 남산공원관리사무소. 1993. 남산 제 모습 가꾸기 자연보전사업 보고서. 서울특별시, 67 p 

  7. 농촌진흥청(식물환경연구소). 1971. 개략토양도. 서울 

  8. 박봉규. 1987. 남산공원(서울)의 식생과 토양요인에 관하여.자연보존 60: 13-18 

  9. 서울특별시. 1999. 서울시 생물종 분포변화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12 p 

  10. 양권열. 1989. 서울시의 식생과 귀화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p 

  11.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화지 8: 1-31 

  12. 이은복. 1987. 남산의 식물상. 자연보존 59: 36-48 

  13. 이호준, 전영문, 정흥락, 길지현, 홍문표, 김용옥, 장일도. 1998. 남산자연공원의 식물군락분류와 토양환경. 한국생태학회지 21: 633-648 

  14. 임양재, 박재홍, 한창변. 1987. 서울 남산의 식생. 중앙대자연과 학연구소 논문집 1: 31-42 

  15.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 69-83 

  16. 천영진. 2002. 서양등골나물(Ageratina altissima)(L.R. King & H. Robinson) 개체군의 생육특성 및 유전적 구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3 p 

  17. Copeland, L.O. and M.B. McDonald. 1985. Principles of seed science and Technology. Burgess Publishing Company, Minnεappolis, Minnesota, USA. 111 p 

  18. Landenberger, R.E. and D.A. Ostergren. 2002. Eupatorium rugosum (Asteraceae) flowering as an indicator of edge effect from clearcutting in mixed-mesophytic forest. Forest Ecol. Manag. 155: 55-68 

  19. Lee, H.S., H.M. Yoo and C.S. Lee. 2003. Distribution pattern of white snakeroot as an invasive alien plant and restoration strategy to inhibit its expansion in Seoripool Park, Seoul. Korean J. Biol. Sci. 7: 197-205 

  20. Parendes, L.A. and J.A. Jones. 2000. Role of light availability and dispersal in exotic plant invasion along roads and streams in the H.J. Andrews Experimental Forest, Oregon. Conserv. Biol. 14: 64-75 

  21. Suh, M.H., Y.M. Lee, K.D. Kim and J.H. Kil. 1997.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pattern of Eupatorium rugosum at Mt. Namsan in Seoul. Korean J. Ecol. 20: 285-291 

  22. Zinc, T.A., M.F. Allen, B. Heindl-Tenhunen and E.B. Allen. 1995. the effect of a disturbance corridor on an ecological reserve. Restor. Ecol. 3: 304-3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