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자생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미생물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Native Camellia japonica in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17 no.3, 2004년, pp.314 - 322  

이숙영 (동신대학교 산업용가속기 이용 생물연구센터 바이오유전자원연구실) ,  김선민 (동신대학교 한약재산업학과) ,  황은주 (동신대학교 한약재산업학과) ,  표병식 (동신대학교 한약재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백나무의 잎과 꽃의 식용자원화를 위한 일환으로서 동백의 부위별 성분분석, DPPH radical 소거능에 의한 항산화활성, 및 항미생물 활성을 조사하였다. 수분 함량은 꽃과 어린 잎 부위에서 70% 이상의 함유율을 보였고, 조단백질의 함량은 꽃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3%이상이었으며, 지방 함량은 씨부위에서 23.08%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회분의 함량은 수피 부위에서 2.97%와 탄수화물의 함량은 에서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은 어린잎(RC$_{50}$=30.37$\mu\textrm{g}$/mL), 꽃봉오리 (RC$_{50}$=52.97$\mu\textrm{g}$/mL)와 꽃(RC$_{50}$=59.48 $\mu\textrm{g}$/mL)이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합성 항산화제인 BHT의 RC$_{50}$ 값이 584.04$\mu\textrm{g}$/mL의 활성 보다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백을 각 부위별로 추출하여 병원성균과 식중독균, 식품과 관련이 있는 세균 및 효모 등 4균주에 대하여 항미생물 활성을 검토한 결과, 동백의 수피 부위가 P. vulgaris와 B. subtilis에 대한 높은 항균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어린잎은 C. albicans와 T. beigelii 모두에 대하여 매우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has been undertaken to increase availiability of native Camellia japonica leaf and flower in Korea as a edible-medicinal resource. Chemical compositions,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in different parts of camellia were investigated. Crude protein contained the highest in y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동백나무의 잎과 꽃의 식용자원화를 위한 일환으로서 동백의 부위 별 성 분분석 , DPPH radical 소거 능에 의 한 항산화활성, 및 항미 생물 활성 을 조사하였다. 수분 함량은 꽃과 어린 잎 부위에서 70% 이 상의함유율을 보였고, 조단백질의 함량은 꽃을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서 3% 이상이었으며, 지방 함량은 씨 부위에서 23.
  •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남지 역의 특산식물인 동백나무를 잎, 꽃, 열매 등 부위별로 식용, 약용자원화할 필용가 있다고 사료되 어 전남 장흥군 천관산 자생동백을 수집 하여 일반성 분을 분석 하고 항산화활성 및 항미 생물 활성 을 조사하여 생 리 활성 의 일부를 구명 하였다.
  • , 1995). 1~500ug/mL의동백 의 부위 별 시 료를 90QuL의 에 탄올에 녹여 100u M DPPH/EtOH 용액 100uL를 첨 가하여 10분간 실온에서 방치 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여 DPPH의 환원에 의 한 흡광도 감소를 조사하였다. free radical 소거 활성 을 공존시 킨 DPPH의 50%를 환원 시 키 는데 필요한 시 료의 양(ug)을 RCso (reduce concentration 50%)으로 나타내었으며, 기존의 항산화제 인 Vit C 및 BHT와 비 교하여 분석 하였다.
  • 1~500ug/mL의동백 의 부위 별 시 료를 90QuL의 에 탄올에 녹여 100u M DPPH/EtOH 용액 100uL를 첨 가하여 10분간 실온에서 방치 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 하여 DPPH의 환원에 의 한 흡광도 감소를 조사하였다. free radical 소거 활성 을 공존시 킨 DPPH의 50%를 환원 시 키 는데 필요한 시 료의 양(ug)을 RCso (reduce concentration 50%)으로 나타내었으며, 기존의 항산화제 인 Vit C 및 BHT와 비 교하여 분석 하였다.
  • Japan에 서 분양받았다. fungal conidia는 100 (A 의 YPD 배지에서 well당 1X102 spore의 밀도의 96- well microtiter plates에 접 종하였다. 동백 추출물 5 M (최 종농도 12.
  • 3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은 수분함량이 각기 다른 상태 하에서 의 성 분보다는 건조물 기준으로 하였다.
  • 또한 식 품의 원료나 부재료 등에 항미 생물이 존재함이 계속적 으로 밝혀지 고 있고 식품에의 응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Conner and Beuchat, 1981). 동백의 경우 천연 식품 보존료 개 발의 일환으로 유박 추출물의 항균활성 에관한 연구(Kang et al., 1998)가 이루어진바 있으나 그 외에 수행된 연구는 아직 없는 실정이므로 동백의 각 부위별로 항미생물 활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항균활성 테스트 : 실험에 사용한 Proteus vulgaris (KCTC 2433)와 Bacillus subtilis (KCTC 1918)는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KRIBB) (Daejon, Kore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동백추출물들은 50% DMSO에 혼합하여 항균 활성 분석 에 이 용하였다. 1% bactopeptone에 혼합된 박테 리 아[1 X 106 colony formation units(CFU)/ml]는 5 ul 의 동백 추출물(최 종농도 1.
  • 실험에 사용된 Trichosporon beigelii (KCTC 7707) 는 KCTC로부터 분양받았으며, Candida albicans (TIMM 1768)는 the center for Academic Societies, Osaka, Japan에 서 분양받았다. fungal conidia는 100 (A 의 YPD 배지에서 well당 1X102 spore의 밀도의 96- well microtiter plates에 접 종하였다.

이론/모형

  • 수분은 105P 상압가열건조법 (Moisture analyzer, MB45, OHAUS, U.S.A.), 조단백질은 Micro-Kjeldahl (Kjeldahl/Nitrogen analyzer, K-424/B-324, BUCHI, Switzland), 조지 방은 Soxhlet 추출법 (Universal extraction system, B-811, BUCHI, Switzland), 조회분은 55012 직 접 회 화법으로 A.O.A.C. 표준법 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O.A.C 1984. Off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Brand-Wiliams, W., Cuvelier, M.E.,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Technology. 28: 25-30 

  3. Bullerman, L. B., F. Y. Lieu, and S. A Seier. 1977. Inhibition of growth and aflatoxin production by cinnamon and clove olis, cinnamic aldehyde and eugenol., J. Food Sci. 42: 1107 

  4. Chang, H.T. 1981. A taxonomy of the genus camellia. the editorial staff of the journal of San Yatsen Univ.: 1-80 

  5. Cho, Y.S., H.S. Kim, S.K. Kim, O.C. Kwon, S.J. Jeong and Y.M. Lee. 1997. Antibacterial and bactericidal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J. Kor. Tea soc. 3(2):89-103 

  6. Choi, K. B. and H. Y. Chung (1868), A Fatal Proteus Gastroenteritis Complicated with Acute Renal Failure.,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l Medicine 11(12): 

  7. Choi, Y.M., M. Kim, J.J. Shin, J.M. Park and J. Lee.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 Soc. Food Sci. Nutr. 32(5):723-727 

  8. Conner, D. E. and L. R. Beuchat. 1981. Effects of essential oils from plants on food spoilage yeasts., J. Food Sci. 49: 429 

  9. Fujita, Y., S. Fujita and H. Yoshikawa. 1973. Comparative biochemical and chemotaxonomical studies of the plants of Theaceae( I ). Essential oils of Camellia sasanqua Thumb. C. japonica Linn. and Thea sinensis Linn. 大阪工業 技術試驗所李報. 25(4):198 

  10. Hwang, E. J., Y. J. Cha, M. H. Park, J. W. Lee, and S. Y. Lee. 2004. Cytotoxicity and Chemosensitizing Effect of Camellia (Camellia japonica) Tea Extracts., J. Kor. Soc. Food Sci. Nutr. 33(3): 487-493 

  11. Itokawa, H., Nakajima, H., Ikuta, A., litaka, Y. 1981. Two teiterpenes from the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Phytochemistry, 20: 2539 

  12. Kang, S. K., Y. K. Kim and O. J. Choi. 1998. Antimicrobial Activity of Defatted Camellia (Camellia japonica L.) Seeds Extract., J. Kor. Soc. Food Sci. Nutr. 27(2): 232-238 

  13. Kim, J.H., K.Y. Kwak, M.S. Choi and K.D. Moon. 1999.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and chinese safflower(Carthamus tinctorious L.) seed. Kor. J. Food Sci. Technol. 31:912-918 

  14. Kim, D.J., J.M. Kim and S.S. Hong. 2004. The composition of dietary fiber on Brassica vegetables. J. Kor. Soc. Food Sci. Nutr. 33(4):700-704 

  15. Kwo-Chung, K. J., J. E. Bennett. 1992. Infection due to Trichosporon and other miscellaneouw yeast like fungi. In : Kwon-Chung, K. J., J. E. Bennett, editors Medical mycology, 5th ed., p774-778, Pennsylvania :Lea & Febiger 

  16. Lee, S.H., S.K. Kim. 1992. Natur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s of Camellia japonica in korea. J Kor Soc Hort Sci. 33(2): 196-208 

  17. Mon and Nishimiya 美自化粧科, 日本公開特許公報, 63-303910, 12 Dec. 1988, appld. 3 Jun (1988) 

  18. Namba, T., M. Tsunezuka, Y. Takehana, S. Nunome, K. Takeda, Y.W. Shu, N. Kakiuchi, S. Takigi and M. Hattori. 1984. Studies on dental caries prevention by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lV. Screening of crude drugs for anti-plaque action and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spikes on adgerence of Streptociccus mutans to smooth surfaces and synthesis of glucan, Shoyakugaku Zasshi, 38(3): 263-264 

  19. Sakata, Y., S. Nagayoshi and K.I. Arisumi. 1981. Studies on the flower colours in the Camellia, Mem. Fac. Agr. Kagoshima Univ., 17: 79-94 

  20. Seo, K. L., K. Doyeob and S. I. Yang. 1995.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Wasabi Extracts., Kor. J. Nutrition 28(11): 1073-1077 

  21. Smith, R. C., J. C. Reeves, R. C. Dage and R. A. Schnettler. 1987. Biochem. Pharmacol. 36: 1457 

  22. Toda, M., S. Okubo, H. Ikigai, T. Suzuki, Y. Suzuki and T. Shimamura. 1991. The protective activity of tea against infection by Vibrio cholerae 01. Letters in Applied Microbiology 70: 109 

  23. Yoshikawa, M., E. Harada, T. Murakami, H. Matsuda, J. Yamahara and N. Murakami. 1994. Camelliasaponins $B_1$ , $B_2$ , $C_1$ and $C_2$ new type inhibitors of ethanol absorption in rats from the seeds of Camellia japonica L. Chem Pharm Bull. 42(3): 742 

  24. 박완희, 범진필, 유일준, 이원주, 전수진, 허명행. 1996. 최신미생물학, 정문각, p307-315 

  25. 박종철, 최명락. 1996. 동백나무의 부위별 활성검색 및 활성화합물의 분리. 고유농수산품목 세계화대상품목의 연구조사.전라남도. p205-238 

  26. 성충기, 유경수, 이익수. 1996. 동백나무의 성분 연구. 고유농수산품목 세계화 대상품목의 연구조사. 전라남도. p177-199 

  27. 양영택, 김봉찬, 김성학, 현승원, 고영환. 1999. 차나무 잎 및 감귤 혼합음료 개발. 농업기술정보, 제주도 농업기술원 시험연구사업보고서 

  28. 유태종, 홍재훈, 김영배, 이호, 김영애, 황한준, 소명환, 이효구, 1999. 최신식품미생물학, 문운당, p71 

  29. 윤태헌, 이상무, 임경자. 1991. 한국산 야생 및 재배동백 종자의 지방산 조성, 한림대학교 논문집, 9집, p299 

  30. 이종욱, 은종방, 윤석후. 1996. 동백기를 이용한 다양한 유지가공식품 개발에 관한 연구. 고유농수산품목세계화 대상품목의 연구조사. 전라남도. p239-327 

  31. 조미경. 1985. 동백종식의 지방산 및 아미노산 조성, 조선대학교 석사논문 

  32. 허우덕, 황경주, 남영중, 민병용. 1983. 식물성 유지 자원개발연구 1. 동백유의 지방질조성에 관한 연구, 농어촌개발공사 식품연구소 식품연구사업보고, 10:1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