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백 열수추출물의 융복합 활성
Fusion-Complex Activity of Camellia extrac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3 no.7, 2015년, pp.431 - 436  

서영옥 (을지대학교 대학교 지식경영 교육원 뷰티예술학과) ,  김춘득 (남부대학교 향장미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동백나무 열수추출물의 융복합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동백나무의 채취시기별, 부위별 웰니스 활성 성분의 결정요인으로 항산화 활성물질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카테킨성분 함량 분석에서 동백의 특이 카테킨 성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동백추출물의 항산화활성 검증결과 항산화 소거능이 함유된 결과로 나타났다. 동백나무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은 꽃에서 가장 항산화 억제 작용이 높게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은 New leaves $92.09{\mu}g/mL$, old leaves $82.53{\mu}g/mL$, stem $77.51{\mu}g/mL$, flower $86.86{\mu}g/mL$, 분석되어 새잎이 높았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동백의 stem 223.29 (mg/g), new leaves 196.14 (mg/g), old leaves 168.29 (mg/g), flower 159.00 (mg/g) 순으로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줄기가 높게 나타났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GAVA가 모든 시료에서 높았고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gamma}$-Amino butyric acid (GAVA)가 모든 시료에서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termine fusion-complex activity of Camellia extract extracted hot water, this study was conducted. Special catechin was identified at this extract by analysis of catechin. In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the extract was contained antioxidant material and flower among the other parts show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백나무 가지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 물질을 분석한 후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항염 활성 등 생리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물리화학적 성분분석 통하여 국내자생 자원식물의 활용가치를 증진하고자 한다. 또한 동백추출물을 산화염모제 시술 후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접촉성피부염 개선의 두피와 모발화장품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백나무 가지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리활성 물질을 분석한 후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항염 활성 등 생리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물리화학적 성분분석 통하여 국내자생 자원식물의 활용가치를 증진하고자 한다. 또한 동백추출물을 산화염모제 시술 후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접촉성피부염 개선의 두피와 모발화장품에 적용시키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백나무의 새잎과 묵은잎, 가지, 꽃봉우리의 약리학적 효과에는 무엇이 있는가? 동백나무의 새잎과 묵은잎, 가지, 꽃봉우리의 약리학적 효과로 동백나무 잎은 건선, 인후통증, 화상에 효능이 있고, 가지와 열매는 머리비듬, 보혈, 비출혈, 어혈, 연골증, 월경이상, 이뇨, 인후통증, 장출혈, 종독, 출혈, 타박상, 토혈과 각혈, 행혈, 화상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1,2]. 동백나무는 중국과 일본에서는 내상과 외상에서 발생 하는 혈토, 출혈에 지혈제와 "Oketsu"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였으며 전통적으로 항염증, 강정, 건위제로 사용된 약용식물의 일종이다[3].
동백나무의 효능 중 알코올 흡수억제와 미백작용 등의 생리활성 보고가 있는데 이는 어떤 성분 때문인가? 동백나무의 잎, 가지의 추출물은 염증유발의 중요인자인 NO 및 PGE2 생성을 저해하여 우수한 항염증에 약리학적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4]. 일본에서는 동백을 산차(山茶)라 하여 민간에서 토혈증에 사용 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알코올 흡수억제와 미백작용 등의 생리활성 보고가 있는데, 이는 quercetin과 epicatechin과 같은 폴리페놀 화합물에 의한 것으로 보고하였다[5,6]. 동백유박의 연구에서는 동백 유박 에탄올과 에탄올 추출물과 부탄올 추출물이 식중독균, 식품관련의 세균 및 효모 등의 14균주에서 항균활성 결과가 보고되었다[7].
동백나무는 중국과 일본에서는 어떻게 사용하였는가? 동백나무의 새잎과 묵은잎, 가지, 꽃봉우리의 약리학적 효과로 동백나무 잎은 건선, 인후통증, 화상에 효능이 있고, 가지와 열매는 머리비듬, 보혈, 비출혈, 어혈, 연골증, 월경이상, 이뇨, 인후통증, 장출혈, 종독, 출혈, 타박상, 토혈과 각혈, 행혈, 화상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1,2]. 동백나무는 중국과 일본에서는 내상과 외상에서 발생 하는 혈토, 출혈에 지혈제와 "Oketsu"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였으며 전통적으로 항염증, 강정, 건위제로 사용된 약용식물의 일종이다[3]. 동백나무의 잎, 가지의 추출물은 염증유발의 중요인자인 NO 및 PGE2 생성을 저해하여 우수한 항염증에 약리학적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4]. 일본에서는 동백을 산차(山茶)라 하여 민간에서 토혈증에 사용 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알코올 흡수억제와 미백작용 등의 생리활성 보고가 있는데, 이는 quercetin과 epicatechin과 같은 폴리페놀 화합물에 의한 것으로 보고하였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 H. Lee, S. K. Kim, Natur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s of Camellia japonica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Vol. 33, No. 2, pp. 196-208. 1992. 

  2. M. Yoshikawa, T. Morikawa, Y. Asao, E. Fujiwara, The Structures of noroleanane and oleanane type triterpene oligoglycosides with gastroprotective and platelet aggregatiion activities from buds of Camellia japonica. Chemical and Pharmarnaceytucak Bulletin, Vol. 55, No. 4, pp. 606-612. 2007. 

  3. H. J. Kim, D. J. Lee, J. J. Ku, K. W. Pak, S. H. Kang, C. Moon, P. J. Lee, Anti-inflammatory effect of extracts from folk plants in Ulleung island,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26(2), pp. 166-177. 2013. 

  4. J. H. Kim, C. H. Jeong, K. H. Shim,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various olvent fractions from the leaf of Camellia japonica 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Vol. 17, No. 2, pp. 267-274, 2010. 

  5. H. G. Ki, S. J. Yun, J. B. Lee, S. J. Kim, S. C. Lee, Y. H. Won,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acne and their antibiotic susceptibility, Korean Journal of Dermatoogy, Vol. 43, No. 7, pp. 871-875, 

  6. S. K. Kang, O. J. Choi, Y. D. Kim, H. C. Lee, S. H. Cho, I. H. Lho, A study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Camellia (Camellia japonica L.) seed protein isolate.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Vol. 11, No. 3, pp. 272-278. 1998. 

  7. S, H. Lee, S. K. Kim, Natur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s of Camellia japonica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Vol. 33, No. 2, pp. 196-208, 1999. 

  8. M. H. Choi, M. J. Min, D. S. Oh.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amellia japonica extracts for cosmetic applications,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ol. 28, No. 2,pp. 99-105. 2013. 

  9. B. S. Kim, O. J. Choi, K. H. Shim. Properties of chemical components of Camellia japonica L. leaves according to picking ti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34, No. 5, pp. 681-686. 2005. 

  10. H. B. Kim, C. Y. Ju, C. C. Hee, C. S. In, Lee S. Y.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e crude extracts from native camellia (Camellia japonica L.) in Korea.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Vol. 14, No. 2, pp. 82, 2001. 

  11. E. H. Kang, J. W. Hian, Studies on the physical changes of damaged hair according to the emulsion type of hair commetics,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Vol. 33, No. 1, pp. 283-291. 2005 

  12. S. N. Pak, J. Y. Kom, H. J. Yang,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Jeju native plant extracts (II). Journal of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ol. 33, No. 3, pp. 165-173, 2007. 

  13. H. H. Kim, K. S. Ko, Study of Cosmetic biological activity and cytotoxicity on rosemary extract. The Korea Society of Beauty and Art, Vol. 14, No. 4, pp. 235-249, 2013. 

  14. Ju-Hee Kim, Sook-Young Lee, Su-In Cho. Anti-proliferative effect of camellia japonica leaves on human leukemia cell line. The korea association of herbology, Vol. 18, No. 1, pp. 93-98, 2003. 

  15. V. Dewanto, W. Xianzhong, R. H. Liu,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 50, No. 17, pp. 4959-4964, 2002. 

  16. S. I. Cho, H. W. Kim, G. J. Lee,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of fermented Camellia japonica leaf and flower, Korean Journal of Herbology, Vol. 21, No. 2, pp. 56-62, 20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