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천지역 도축장에서 생산된 돼지고기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Survey on the contamination of microorganisms in pork from slaughterhouse in Incheon area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27 no.1, 2004년, pp.7 - 15  

황원무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이성모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황현순 (인천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한정희 (강원대학교 수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measuring general bacterial count and Escherichia coli count, the standard plate count was used to conduct a test on 113 cases of pork carcass surfaces from slaughterhouses in Incheon area from January to February 2003. And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and Listeria monocytogenes was u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도축된 돼지 도체에서 오염 지표 미생물인 일반세균수와 대장균수를 조사하고 또한 도체와 분변에서 Salmonella속 균과 1.monocytogenes, S aureus 등 식중독 원인균을 검사하여 육류생산 시 그 오염정도를 살펴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육을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 이에 정부는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육류의 생산을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도축을 하는 도축장에 대하여 HACCP를 단계적 적용하여 2003년 7월 전면 실시하게 되었다. 이에 본 실험은 HACCP 적용 도축장에서 육류생산 시 그 오염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농림부. 2004 . 농림자료실 

  2. 송인상. 1994. UR협상 타결과 Codex의 앞으로 역할에 대한 이해. 식품공업 123 : 11-44 

  3. Joint FAO/WHO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1993. Codex Guidelines for Appiliication of the Hazard Analysis C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WHO/FNU/FOS 93. 3 

  4. 박석기. 1998. 제1주제: 세균성 식중독의 최근동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학술세미나 5.22 : 1-16 

  5. 품의약품안전청. 2002. 식중독 예방관리 대책 

  6. Gill CO, Harris LM. 1984. Hamburfers and broiler chickens as potential sources of human Campylobacter enteritis. J food Potec 47 : 96-99 

  7. 김경호, 고종명, 정혜윤. 1999. 인천지역에서 발생한 설사환자 가검물중 식중독균인 Salmonella spp분리에 관한 연구 (1992-1997). 한국가축위생학회지 22 : 213-220 

  8. ICMSF. 1988. HACCP in microbiological safety and quality. Blackwell Sci Pub. London : 176-178 

  9. 이용욱, 홍종해. 1986. Camphylobacter장염 에 대한 식품위생학적인 고찰. 한국식품위생학회지 1(1) : 57-66 

  10. Difco Labratories. 1977. Serological Identification of Salmonella Detroit Michigan USA 

  11. Ewing WH. 1986. Edwards and Ewing's Identification of Enterobacteriaceae. 4ed Elsevier Science Publishing CO Inc : 181-318 

  12. Popff MY, LeMinor L. 1997. Antigenic formulas of the salmonella serovars. Inst Pasteur : 17-43 

  13. Lovett J. 1988. Insolation and enumr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Food Technol. Overview : 165-168 

  14. Park CE, Szabo R. 1986. Evaluation of the reversed passive latex agglution (RPLA) test kits for detection of Staphylococcus enterotoxin A, B, C and in food. Can J Microbiol 32(9) 723-727 

  15. Food and Drug Adminstration. 1995.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AOAC International. 8th ed. Gaitherburg : 4.01-10.13 

  16. Soumet C, Ermel G, Rose N, et al. 1999. Evaluation of a multiplex PCR assay for simultaneous identification of Salmonella sp,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from environmental swabs of poultry houses. Lett Appl Microbiol 28(2) : 113-117 

  17. 변정옥, 모의원, 문호판 등. 2000. 소 돼지 도체 표면의 미생물학적 고찰. 한국가축위생학회지 23(2) : 105-112 

  18. 김은주, 강원명, 정경주 등. 2000. 도축공정 중 식육의 미생물오염도 실태조사. 한국가축위생학회지 23(4) : 361-366 

  19. 나인택, 임홍규, 조미영 등. 2002. 소와 돼지 도체표면의 미생물 오염도 및 병원성 미생물검색. 한국가축위생학회지 25(1) 9-14 

  20. 강신명, 최성민, 김은정 등. 1994. 돼지분변에서 분리한 살모넬라속균의 생물혈청학적 특성 및 항균제 감수성. 한국수의공중 보건학회지 180(1) : 15-22 

  21. 탁연빈, 전도기. 1979. 동물에 있어서의 Salmonella 분포. 중앙의학 20 : 259 

  22. 최원필, 이희석, 여상건 등. 1988. 소, 돼지 에서 분리 한 Salmonella 유래 R plasmid의 유전학적 및 분자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수의 학회지 28 : 331-337 

  23. 김규태, 정병열, 김봉환. 2003. 경북지역 가축에서 분리한 Salmonella속균의 혈청분포 및 약제 감수성.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27(1) : 47-52 

  24. Alier A, Mafu R, Higgins M, et al. 1989. The Incidence of Salmonella, Campylobacter, and Yersinia entrocolitica in swine carcasses and the slaughterhouse Environment. J Food Prot 52(9) : 642-645 

  25. Haddock RL. 1970. Efficacy of examining rectal swabs to detect swine Salmonella carriers. Am J Vet Res 31 : 1509 

  26. Jayarao BM, Biro G, Kovacs S, et al. 1989. Prevalence of Salmonella serotypes in pigs and evalution of a rapid, presumptive test for detection of Salmonella in pig feces. Acta Vet Hung 37 : 399-444 

  27. 홍종해, 이경환, 이성모. 2002. 소규모 돼지 도축공정에서 도체 오염 미생물의 변화. 한국가축위생학회지 25(1) : 31-37 

  28. 정병철. 2000. 도계장내 도계공정에서 Salmonella spp의 발생 및 분포, 전남대학 교석사학위 논문 

  29. 강호조, 김용환, 석주명 등. 1999. 시판 냉장, 냉동 및 포장육 중 식중독균의 분포 및 혈청형. J Food Hyg Safety 14(4) : 327-332 

  30. 김기석, 남궁선, 모인필. 1984. 국내 시판사료의 미생물 오염에 관한 연구. 한국수의 공중보건학회지 8(1) : 33-37 

  31. 김규태. 1999. 도축돈의 장간막림프절에서 분리한 Salmonella속균의 생물화학적 특성 및 혈청형. 경북대학교 수의학석사논문 

  32. Bosworth B, Stabel T. 1998. Alimentary disease and bacteria after weaning. Proc 15th IPVS Congness. Birmingham England 1 : 63-70 

  33. Davies PR, Bovee FG, Funk JA, et al. 1998. Isolation of Salmonella serotypes from feces of pigs raised in a multiple-site prodction system. JAVMA 212(12) : 1925-1929 

  34. Farber JM, Peterkin PI. 1991. Listeria monocytogenes, a foodbome pathogen. Microbiol Rev 55(3) : 476-511 

  35. Weis J, Seeliger HPR. 1975. Incide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nature. Appl Microbiol 3 : 29-32 

  36. Grif K, Hein I, Wagner M. 2001.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the feces of healthy Austrians. Wien Klin Wochenschr 113: 737-742 

  37. Fleming DW, Cochi SL, MacDonald KL, et al. 1985. Pasteurized milk as a vehicle of infection in an outbreak of listeriosis. New Eng J Med 312(7): 404-407 

  38. 정병열, 임현숙, 김봉환. 2003. 가축의 장내 용물에서 Listeri 속균의 분포도 조사.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지 27(1) : 41-46 

  39. Weber A, Potel J, Schafer-Schmidt R etal. 1995. Studies on the occurrence of Listeria moaocytogenes in fecal samples of domestic and companion animals. Zentralbl Hyg Umweltmed 198(2) 117-123 

  40. Iida T, Kanzaki M, Maruyama T, et al. 1991. Prevalence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intestinal contents of healthy animals in Japan. J Vet Med Sci 53(5) : 873-875 

  41. 홍종해 안상철. 1998. 돈육가공 작업환경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리와 혈청형 분포조사.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3(4) : 425-429 

  42. 채희선, 김두환, 김규현 등. 2003. 소와 돼지도체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리 및 PCR 검출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 가축위생학회지 26(2) : 105-111 

  43. Wong AC, Chao WL, Lee SJ. 1990. Incidence and characteriz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foods available in Taiwan. Appl Environ Microbiol 56 : 3101-3104 

  44. 허정호, 손성기, 이주홍 등. 1997. 도축처리 단계별 도체 및 환경 재료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리. 한국가축위생학회지 20(1) : 69-78 

  45. Farber JH, Sanders GW, Johnston MA. 1985. A survey of various foods for the presence of Listeria species. J Food Prot 52 : 456-458 

  46. 김창민, 강윤숙, 윤선경 등. 2002. 김밥중 황색포도상구균의 분포조사. 한국식품위생 안전성학회지 17(1) : 31-35 

  47. 강호조, 손원근. 1991. 환자 및 건강인 유래 Staphylococcus aureus의 특징 과 enterotoxin 산생성. 한국식품위생학회지 6(2) : 89-93 

  48. 강호조, 최홍근, 손원근. 1991. 가축유래 Staphylococcus aureus의 enterotoxin 산생과 plasmid profile에 관한 연구 II. 분리주의 enterotoxin 산생. 한국수의공중보건 학회지 15(1) : 7-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