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윙크를 하거나 펜스의 작은 구멍을 들여다 볼 때, 사진기의 창을 통해 목표를 맞출 때, 현미경 볼 때, 총을 겨눌 때 한쪽 눈을 주로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만일 오른쪽 눈을 이용해 주로 사물을 보고 인식한다면 주시는 오른쪽 눈이다. 따라서 주시로부터의 시선이 우리의 시계에서 어디에 어떤 물체가 있는지를 알려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무작위로 선정된 한국인 남여 600명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주시와 관련된 각종 통계수치를 제공하고 사물을 관찰할 때 주시에 따라 주로 사용하는 눈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주시에 따른 눈의 사용 행태 즉, 시력에 따른 주시의 분포, 주시에 따라 머리 돌리는 방향, 주시에 따라 카메라나 구멍 들여다보는 눈, 그리고 주시에 따른 영화관람 성향에 등에 대한 인간공학적 분석을 통하여 향후 일상생활이나 작업, 운동을 함에 있어서 보다 나은 주시의 사용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제안 방법
파악하였다. 또한 주시에 따른 눈의 사용 행태 즉, 시력에 따른 주시의 분포, 주시에 따라 머리 돌리는 방향, 주시에 따라 카메라나 구멍 들여다보는 눈, 그리고 주시에 따른 영화관람 성향에 등에 대한 인간공학적 분석을 통하여 향후 일상생활이나 작업, 운동을 함에 있어서 보다 나은 주시의 사용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50명씩, 총 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측정 및 설문장소로서, 중 • 고등학교에서 10대, 대학캠퍼스에서 20대, 교회, 버스터미널, 기차역 등에서 다양한 연령층을 설문하였으며, 고령자에 대해서는 공원, 양로원 등을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피실험자의 연령은 최저 11세부터 최고 78세였으며 성별과 연령계층에 따른 평균연령은 표 1과 같다.
먼저 피실험자로 하여금 설문조사 용지에 자신의 연령과 성별, 주손(hand dominance, 왼손 또는 오른손잡이)과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착용여부에 대해 기재하도록 하였다. 이후 피실험자에 대한 양안의 시력 (visual acuity) 차이(왼눈과 오른눈 중 시력이 더 좋은 눈), 뒤돌아볼 때 고개 돌리는 방향, 자신들이 여러가지 사물을 사용할 때 주로 사용하는 눈에 대해 조사자는 질의응답과 간단한 실험을 통하여 조사용지에 기재하였다.
오른손잡이)과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착용여부에 대해 기재하도록 하였다. 이후 피실험자에 대한 양안의 시력 (visual acuity) 차이(왼눈과 오른눈 중 시력이 더 좋은 눈), 뒤돌아볼 때 고개 돌리는 방향, 자신들이 여러가지 사물을 사용할 때 주로 사용하는 눈에 대해 조사자는 질의응답과 간단한 실험을 통하여 조사용지에 기재하였다.
주시를 판정하기 위한 실험을 먼저 실시한다면 눈의 사용행태에 대한 설문의 응답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설문을 실시한 후 주시 판정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도구는 그림 1에서 보듯이 정 중앙에 지름 3cm의 원형 구멍을 뚫은 B4용지 크기의 코팅된 색종이를 사용하였다.
실험도구는 그림 1에서 보듯이 정 중앙에 지름 3cm의 원형 구멍을 뚫은 B4용지 크기의 코팅된 색종이를 사용하였다. 주시 판정을 위한 절차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주시 판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을 1인당 3회씩 반복하도록 하여 2번이상의 동일한 판정이 나왔을 때 이를 주시로 간주하였다.
것은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설문된 자료를 표 2와 같이 성별과 연령계층별 주시의 분포를 산출하였다.
대상 데이터
본 조사는 10대에서부터 60대 이상까지 총 6개 연령층으로 구분하여 연령계층별 남녀 각 50명씩, 총 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측정 및 설문장소로서, 중 • 고등학교에서 10대, 대학캠퍼스에서 20대, 교회, 버스터미널, 기차역 등에서 다양한 연령층을 설문하였으며, 고령자에 대해서는 공원, 양로원 등을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데이터처리
조사 결과는 주시에 따라 전체자료, 성별 • 연령계층별, 주손에 따른 특성 등에 대한 기술통계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오른눈잡이와 왼눈잡이간의 각종 특징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각종 통계분석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의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분석을 실시하였다. 오른눈잡이와 왼눈잡이간의 각종 특징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각종 통계분석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의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또한 주손에 따라 피실험자 눈의 사용 특성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cross-tabulation analysisX 실시하였다.
오른눈잡이와 왼눈잡이간의 각종 특징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각종 통계분석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통계의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또한 주손에 따라 피실험자 눈의 사용 특성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cross-tabulation analysisX 실시하였다.
성능/효과
본 연구 조사결과 주시의 비율 살펴보면 전체 600명 중 오른눈잡이는 502명(83.7%), 왼눈잡이는 98명(16.3%)이였다. 이의 통계수치는 Porac and Coren(1976)이 보고한 정상인의 53-82%가 오른눈잡이이고 18-40%는 왼눈잡이이며 0-22%는 선호구분이 없다고 발표한 조사결과 보다 오른눈잡이의 경우는 약간 더 높으며 왼눈잡이의 경우는 약간 더 낮음을 알 수 있다.
본 조사 결과 표 2에서 주시의 성별 비율은 남성의 경우 왼눈잡이와 오른눈잡이의 비율은 1 : 4.88이었으며 여성의 경우 1 : 5.38로서 여성의 경우 오른눈잡이의 성향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연령에 따른 주시의 비율은 20대에서 왼눈잡이의 비율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나 그 외에 다른 연령층에서는 그다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hi-squared test를 실시한 결과에서도 성별 주시의 분포가 p<0.
38로서 여성의 경우 오른눈잡이의 성향이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연령에 따른 주시의 비율은 20대에서 왼눈잡이의 비율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다소 높은 편이나 그 외에 다른 연령층에서는 그다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hi-squared test를 실시한 결과에서도 성별 주시의 분포가 p<0.05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연령계층별 주시분포는 유의하지 않는(p=0.45) 것으로 나타났다.
표 3의 주시와 주손에 대한 본 연구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 왼손잡이는 11.0%이며 오른손잡이는 80.7%, 양손잡이는 8.3%로 나타났다. 그림 2에서 주손에 따른 왼눈 또는 오른눈잡이를 분석한 결과 오른손잡이의 경우 다른 연구결과들과 유사하게 91.
7%가 시력보조기구를 착용하고 있었으며 이를 착용하고 있는 피실험자들의 왼눈잡이 비율이 정상시력인 보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정상시력인의 경우 주시와 주시가 아닌 반대쪽 눈으로 물체를 번갈아 봤을 때 어느 쪽이 더 자세히 보이는가에 대한 설문결과 44.0%의 피실험자가 주시일 때 더 희미하게 보인다고 응답하였으며 안경이나 렌즈를 착용하는 사람들에 대한 설문 결과 57.0%가 주시가 아닌 눈이 더 잘 보인다고 응답하였다.
시행하였다. 실험결과를 표 6에서 살펴보면 피실험자의 약 80%가량이 오른눈으로 보는 것을 선호하고 있으나 왼눈잡이는 왼눈을, 오른눈잡이는 오른눈으로 들여다보는 것을 더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4는 안경이나 콘택트렌즈 등의 시력보조기구 착용유무에 따른 주시 분포로서 전체 피실험자중 32.7%가 시력보조기구를 착용하고 있었으며 이를 착용하고 있는 피실험자들의 왼눈잡이 비율이 정상시력인 보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정상시력인의 경우 주시와 주시가 아닌 반대쪽 눈으로 물체를 번갈아 봤을 때 어느 쪽이 더 자세히 보이는가에 대한 설문결과 44.
후속연구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현재까지 국내에서 주시에 대한 실태조사와 주시에 따른 사용 행동 특성에 대해 참조할 수 있는 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을 감안할때 주시와 관련된 제품 및 장치를 설계하는 설계자들에게 기초자료로 활용되게 함으로써 주시에 따른 사용자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동선수나 코치들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주시에 따라 정보를 감지하고 처리하는 시간이 달라진다는 것과 손과 눈의 협웅동작을 취하는 상황에서는 주손에 따른 주시의 역할이 아주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주시와 관련된 정보는 인간의 기초 중추기능의 상태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작업대의 위치나 공정의 배열 및 흐름의 설계에 참고할 수 있으며 특히 조립공정에 있어서의 작업자의 배치위치나 제품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는 시각 검사작업(visual inspection task)에 있어서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관련 콘텐츠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