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 명태식해 숙성중의 미생물 및 효소학적 특성
Microbiological and Enzymatic Characteristics in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10, 2004년, pp.1709 - 1714  

차용준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소정 (한미향료화학) ,  정은정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훈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우진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숙성온도 조건(5$^{\circ}C$, 2$0^{\circ}C$ 및 변온조건)을 달리한 명태식해에서 숙성에 지배적으로 관여하는 미생물상의 변화 및 효소학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2$0^{\circ}C$조건의 숙성초기에는 단백질분해균이나 Lactobacillus속 및 Pediococcus속이 총균수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숙성 10일 이후에는 단백질분해 3, Leuconostoc속, Streptococcus속 및 Pediococcus속의 감소가 총균수의 감소에 기여하였고 숙성 10일 이후의 총균수는 Lactobacillus속, Pediococcus속 및 효모가 대부분이었다. 변온조건의 경우 숙성 10일 이후에도 총균수가 일정수준을 유지하였는데, 이는 Lactobacillus속, Pediococcus속 및 Streptococcus속이 변온 이후에도 균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2$0^{\circ}C$와 변온에서 숙성 10일 이후의 균증식 양상은2$0^{\circ}C$의 경우효모의 증식이 우세한 반면에, 변온에서는 Streptococcus속의 증식이 우세하였다. 반면 5$^{\circ}C$의 경우 Lactobacillus속이 숙성초기에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특히 Leuconostoc속이 다른 조건의 비해 오래 지속되었다. 산성단백질분해효소 및 지방분해효소 활성은 온도에 민감하여 2$0^{\circ}C$일 때가 5$^{\circ}C$보다 활성이 높은 반면 중성 단백질분해효소와 지방분해효소는 온도에 따른 활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변온조건에서는 단백질분해효소의 경우 실활 되었고, 지방분해효소는 온도변화에 적응력이 존재하여 활성 이 유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nges of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in Alaska pollack sikhae were evaluated in 3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5$^{\circ}C$, 2$0^{\circ}C$ and alternating temperature (stored at 5$^{\circ}C$ after 10 days of fermentation at 2$0^{\circ}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가자미식해의 미생물 및 품질 특성(2-5), 오징어식해의 품질특성(6, 7)과 명태식해의 품질 특성(8, 9)에 관련된 연구가 많이 시도되었지만 산업화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적 활성화를 목적으로 품질수명연장을 모색하기 위해 문헌고증 및 자문을 통하여 전보(9)와 같이 전통명태식해를 제조한 다음 5°C, 20°C 및 변온조건에서 명 태식해의 숙성 에 지배적으로 관여 하는 미 생물상의 변화 및 효소학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e CH, Lee EH, Lim MH, Kim SH, Chae SK, Lee KW, Koh KH. 1986. Characteristics of Korean fish fermentation technology. Korean J Dietary Culture 1: 267-278 

  2. Jung HS, Lee SH, Woo KL. 1992. Effect of salting levels on the changes of taste constituents of domestic fermented flounder Sikhae of Hamkyeng-do.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59-64 

  3. Lee CH, Cho TS, Lim MH, Kang JW, Yang HC. 1983. Studies on the Sik-hae fermentation made by flat-fish. Korean J Appl Microbio Bioeng 11: 53-58 

  4. Souane M, Kim YB, Lee CH. 1987. Microbial characterization of Gajami sik-hae fermentation. Korean J Apply Microbiol Bioeng 15: 150-157 

  5. Cho TS. 1982. The studies on Gajami Sik-hae.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6. Kim SM, Cho YJ, Lee KT. 1994. The development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Sik-hae in Kang-nung district. 2. The effects of fermentation temperatures and periods on 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and the partial purification of protease. Bull Korean Fish Soc 27: 223-231 

  7. Kim SM, Bank OD, Lee KT. 1994. The development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Sik-hae in Kang-nung district. 3. The effects of garlic concentrations on the properties of Sik-hae. Bull Korean Fish Soc 27: 357-365 

  8. Kim SM, Kim HY, Choi SH.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yung-Tae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Food Sci Biotechnol 9: 5-9 

  9. Cha YJ, Kim SJ, Jeong EJ, Kim H, Cho WJ, Yoo MY. 2004. Studies on taste compounds in Alaska pollack sikha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515-1521 

  10. Lee JS, Kraft AA. 1992. Proteolytic microorganisms. In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Vanderzant C, Splittstoesser DF, eds.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p 193-198 

  11. Han HU, Park HK. 1991. Differential counts of lactic acid bacteria genera on bromophenol blue medium. Bull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nha University, Inchen, Korea) 12: 89-94 

  12. Lee CH, Ko CY, Ha DM. 1992. Microflor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02-109 

  13. Smith JL, Haas MJ. 1992. Lipolytic microorganisms. In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3rd ed. Vanderzant C, Splittstoesser DF, eds.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p 183-191 

  14. Mislivec PB, Beuchat LR, Cousin MA. 1992. Yeast and molds. In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3rd ed. Vanderzant C, Splittstoesser DF, eds.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p 239-249 

  15. 萩源文二. 1953. Proteolytic enzyme (第6章). 酵素硏究法 第2卷. 赤堀四郞編集. 朝倉書店, 日本. p 237-246 

  16. 相泥孝亮, 小野正之, 手塚隆久, 柳田藤治. 1980. リパ?ゼ (第Ⅳ章), 酵素利用ハンドブック. 地人書館, 日本. p 217-234 

  17. Shin DH. 1994.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market Kimchi during fermentation in different containers. In Kimchi Science. Korean J Food Sci Technol. p 82-136 

  18. Park HK, Lim CR, Han HU. 1990. Microbial succession in kimchi ferment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Bull Institute for Basic Science (Inha University, Inchen, Korea) 11: 161-169 

  19. Shin DH, Kim MS, Han JS, Lim DK. 1996. Change of chemical composition and microflora in bottled vacuum packed kimchi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27-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