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탄올 첨가가 김치 양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Ethanol on the Quality of Kimchi Paste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1 no.6, 2015년, pp.725 - 732  

강미란 (세계김치연구소 연구개발본부 산업기술연구단) ,  정혜민 (세계김치연구소 연구개발본부 산업기술연구단) ,  서혜영 (세계김치연구소 연구개발본부 산업기술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 양념의 유통 중 품질 유지기한 연장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농도별 에탄올이 첨가된 양념을 $4^{\circ}C$에 35일간 저장하면서 pH, 산도, 환원당, 미생물 수, 및 관능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김치 양념에 에탄올을 0~3.0% 첨가하여 pH 변화를 조사한 결과 에탄올 함량이 높을수록 김치 양념의 발효가 지연되어 pH 감소가 적었다. 산도의 경우 에탄올 무첨가 김치 양념은 0.87%에서 1.57%까지 증가한 반면 3.0% 에탄올 첨가 김치 양념은 0.73%에서 0.88%로 에탄올 첨가는 김치 양념의 산도 증가를 억제하였다. 3.0% 에탄올 첨가는 김치 양념의 일반세균수, 유산균수, 효모와 곰팡이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나 pH 저하 지연으로 대장균군 수 감소가 지연되었다. 관능평가에서는 0.5~1.5% 에탄올 첨가는 에탄올 무첨가 김치 양념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2.0%이상 에탄올 첨가시 에탄올 무첨가 김치 양념에 비하여 관능적 선호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화학적 특성, 미생물학적 특성 및 관능검사 결과를 고려할 때 1.5% 에탄올 첨가가 김치 양념의 관능적 선호도를 유지하면서, 김치 양념의 발효를 지연시키는 최적 첨가량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thanol on the prolongation of the shelf-life of kimchi paste. Kimchi paste was prepared by adding 0.5~3.0% ethanol, and then stored at $4^{\circ}C$ for 35 days. The retardation of kimchi paste fermentation was evaluated by measuring c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식품 보존 및 저장기간 연장 등에 관한 연구는 계속 이루어지고 있으나 김치 양념의 발효에 있어서 에탄올을 첨가가 김치 및 김치 양념의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에탄올을 김치 양념에 첨가하여 발효 지연 효과를 관찰하고 에탄올 첨가가 김치 양념 발효와 미생물 증식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을 통하여 DIY 김치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시장규모의 현황은? 한국의 식문화를 대표하는 식품인 김치는 주원료인 배추를 세척한 후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등의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우리나라 전통식품이다 (Cheigh HS 1995, Park KY 1995, Yang YJ & Han JS 2005). 자가제조와 상품김치로 구성되는 김치시장규모는약 2조 5천억원(2014년)이며, 주거환경의 변화, 1인 가구 수의 증대,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 진출 증대 등으로 인해 각 가정에서 김치를 제조하여 섭취하는 비중보다 김치공장에서 가공되는 김치의 소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Yang YJ & Han JS 2005, Ku KH 등 2005, Bae SY 2015, Food Journal 2015). 가정에서 직접 김치를 담글 경우 김치의 재료가 되는 배추, 무 등과 김치 속을 의미하는 부재료의 준비가 쉽지 않음은 물론, 배추를 씻고 버무리는 장소가 협소하고 필요한 도구 및 용기가 준비되지 않아 쉽게 김치를 담가 먹기 어렵다.
김치란 무엇인가? 한국의 식문화를 대표하는 식품인 김치는 주원료인 배추를 세척한 후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등의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우리나라 전통식품이다 (Cheigh HS 1995, Park KY 1995, Yang YJ & Han JS 2005). 자가제조와 상품김치로 구성되는 김치시장규모는약 2조 5천억원(2014년)이며, 주거환경의 변화, 1인 가구 수의 증대,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 진출 증대 등으로 인해 각 가정에서 김치를 제조하여 섭취하는 비중보다 김치공장에서 가공되는 김치의 소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Yang YJ & Han JS 2005, Ku KH 등 2005, Bae SY 2015, Food Journal 2015).
김치의 숙성과정에서 일어나는 pH와 산도의 변화를 통해 김치의 발효정도를 알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김치의 숙성과정에서 일어나는 pH와 산도의 변화는 김치의 숙성 정도를 짐작 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김치의 발효 정도를 예상할 수 있다. 이는 김치의 숙성 중 일어나는 변화중 하나가 젖산균에 의해 당분이 젖산이나 유기산으로 변화하며, 이로 인하여 pH가 감소하고 산도가 증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Shin ST 등 1990, Han ES 등 1998, Ku KH 등 1998). 김치 양념의 pH 변화를 살펴보면 발효 초기 pH는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1-43 

  2. Bae SY. 2015.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ood service franchise brand image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behavior. Master's thesis.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Korea. pp 1-2 

  3. Brown SW, Oliver SG, Harrison DEF, Righelato RC. 1981. Ethanol inhibition of yeast growth and fermentation: Differences in the magnitude and complexity of the effect. Europ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11(3):151-155 

  4. Cheigh HS. 1995. Critical review on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5(2):89-101 

  5. Cheigh HS, Park KY. 1994. Bi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nutritional aspects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34(2):175-203 

  6. Cho SK, Park JH. 2012. Bacterial biocontrol of sprouts through ethanol and organic acids. Korean J Food Nutr 25(1):149-155 

  7. Collins CH, Lyne PM. 1985. Microbiological methods. 5th ed. Butterworth & Co. Ltd., Boston, MA. USA. p 73, pp 130-133 

  8. Csonka LN. 1989. Physiological and genetic responses of bacteria to osmotic stress. Microbiol Rev 53(1):121-168 

  9. Daifas DP, Smith JP, Tarte I, Blanchfield B, Austin JW. 2000. Effect of ethanol vapor on growth and toxin production by Clostridium botulinum in a high moisture bakery product. J Food Saf 20(2):111-125 

  10. Dantigny P, Guilmart A, Radoi F, Bensoussan M. 2005. Modelling the effect of ethanol on growth rate of food spoilage moulds. Int J Food Microbiol 98(3):261-269 

  11. Food Journal. 2015. Chapter 14. Kimchi. pp 271-289. In: Food distribution almanac. Kang DI. Editorial Department of Food Journal. Seoul, Korea 

  12. Han ES, Seok MS, Park JH. 1998. Changes of characteristics in salted baechu (Chinese cabbage) and its exudate during long term storag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2): 165-169 

  13. Jeong JW, Park KJ, Jeong SW. 2003. Effect of ethanol and polylysine addition on storage stability of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0(3):278-283 

  14. Jordan SL, Glover J, Malcolm L. 1999. Augmentation of killing of Escherichia coli O157 by combinations of lactate, ethanol, and low-pH conditions. Appl Environ Mircrobiol 65(3):1308-1311 

  15. Kang KJ, Song HH, Kim YB, Chung DH, Lee C. 2004. Effect of adipic acid on growth of psychrotrophic kimchi lactic acid bacteria and its effect on Mul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5):857-863 

  16. Kim DH, Han YS. 2003. Effect of addition of ethanol and organic acids on the quality of Mul-kimchi. J East Asian Soc Diet Life 13(4):305-312 

  17. Kim HC, Kim MR. 2013. Analysis on housewives usage, perception and willingness to use beef traceability for settlement of beef traceability. Korean J Food Cook Sci 29(6):795-803 

  18. Kim WJ, Ku KH, Cho HO. 1988. Changes in some physical properties of kimchi during salting and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483-487 

  19. Ku KH, Kang KO, Kim WJ. 1998. Some quality changes during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 476-482 

  20. Ku KH, Sunwoo JY, Park WS. 2005. Effects of ingredients on the it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2):267-276 

  21. Ku KH, Jeong MC, Chung SK. 2013. Industrialization of salted Chinese cabbages and fresh-cut Chinese cabbage. Food Sci Ind 46(4):2-11 

  22. Lee JY, Lim CW, Ha SD. 2009. Extending shelf-life with addition of ethanol of wet noodles. J Food Hyg Saf 24(4):348-351 

  23. Lee SW, Shin SY, Yu TJ. 1985. Effects of the ethanol contents on the preparation of low salt Doenz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7(5):336-339 

  24. Lee IS, Park WS, Koo YJ, Kang KH. 1994. Changes in some characteristics of brined Chinese cabbage of fall cultivars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Sci Technol 26(3):239-245 

  25.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the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1):426-428 

  26.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1):169-182 

  27. Reinheimer JA, Demkow MR, Candioti MC. 1990. Inhibition of coliform bacteria by lactic cultures. Australian J Dairy Technol 45(1):5-9 

  28. Salminen A, Latva-Kala K, Randell K, Hurme E, Linko P, Ahvenainen R. 1996. The effect of ethanol and oxygen absorption on the shelf life of packed slice rye bread. Packag Technol Sci 9(1):29-42 

  29. Seiler DAL, Russell NJ. 1991. Ethanol as a food preservative. pp 153-171. In: Food Preservatives. Russell, N.J., Gould, G.W. (eds.). Blackie, Glasgow. Springer. London, UK 

  30. Shin ST, Kyung KH, Yoo YJ. 1990.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ing kimchi and their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4):373-379 

  31. Song YG. 2012. DIY kimchi chain store ad hoc kimchi sale way. Korea Patent 10-2014-0059584. 

  32. Yang YJ, Han JS. 2005. Effect of the beet addition on the quality of American preferr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4):538-5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