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김치 양념의 유통 중 품질 유지기한 연장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농도별 에탄올이 첨가된 양념을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ethanol on the prolongation of the shelf-life of kimchi paste. Kimchi paste was prepared by adding 0.5~3.0% ethanol, and then stored a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와 같이 식품 보존 및 저장기간 연장 등에 관한 연구는 계속 이루어지고 있으나 김치 양념의 발효에 있어서 에탄올을 첨가가 김치 및 김치 양념의 품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에탄올을 김치 양념에 첨가하여 발효 지연 효과를 관찰하고 에탄올 첨가가 김치 양념 발효와 미생물 증식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확인을 통하여 DIY 김치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김치시장규모 | 김치시장규모의 현황은? |
자가제조와 상품김치로 구성되는 김치시장규모는약 2조 5천억원(2014년)이며, 주거환경의 변화, 1인 가구 수의 증대,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 진출 증대 등으로 인해 각 가정에서 김치를 제조하여 섭취하는 비중보다 김치공장에서 가공되는 김치의 소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식문화를 대표하는 식품인 김치는 주원료인 배추를 세척한 후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등의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우리나라 전통식품이다 (Cheigh HS 1995, Park KY 1995, Yang YJ & Han JS 2005). 자가제조와 상품김치로 구성되는 김치시장규모는약 2조 5천억원(2014년)이며, 주거환경의 변화, 1인 가구 수의 증대,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 진출 증대 등으로 인해 각 가정에서 김치를 제조하여 섭취하는 비중보다 김치공장에서 가공되는 김치의 소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Yang YJ & Han JS 2005, Ku KH 등 2005, Bae SY 2015, Food Journal 2015). 가정에서 직접 김치를 담글 경우 김치의 재료가 되는 배추, 무 등과 김치 속을 의미하는 부재료의 준비가 쉽지 않음은 물론, 배추를 씻고 버무리는 장소가 협소하고 필요한 도구 및 용기가 준비되지 않아 쉽게 김치를 담가 먹기 어렵다. |
김치 | 김치란 무엇인가? |
주원료인 배추를 세척한 후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등의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우리나라 전통식품
한국의 식문화를 대표하는 식품인 김치는 주원료인 배추를 세척한 후 고춧가루, 파, 마늘, 생강 등의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우리나라 전통식품이다 (Cheigh HS 1995, Park KY 1995, Yang YJ & Han JS 2005). 자가제조와 상품김치로 구성되는 김치시장규모는약 2조 5천억원(2014년)이며, 주거환경의 변화, 1인 가구 수의 증대,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 진출 증대 등으로 인해 각 가정에서 김치를 제조하여 섭취하는 비중보다 김치공장에서 가공되는 김치의 소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Yang YJ & Han JS 2005, Ku KH 등 2005, Bae SY 2015, Food Journal 2015). |
김치의 숙성과정에서 일어나는 pH와 산도의 변화 | 김치의 숙성과정에서 일어나는 pH와 산도의 변화를 통해 김치의 발효정도를 알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김치의 숙성 중 일어나는 변화중 하나가 젖산균에 의해 당분이 젖산이나 유기산으로 변화하며, 이로 인하여 pH가 감소하고 산도가 증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김치의 숙성과정에서 일어나는 pH와 산도의 변화는 김치의 숙성 정도를 짐작 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김치의 발효 정도를 예상할 수 있다. 이는 김치의 숙성 중 일어나는 변화중 하나가 젖산균에 의해 당분이 젖산이나 유기산으로 변화하며, 이로 인하여 pH가 감소하고 산도가 증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Shin ST 등 1990, Han ES 등 1998, Ku KH 등 1998). 김치 양념의 pH 변화를 살펴보면 발효 초기 pH는 5.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