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숙지황 제조과정에 따른 성분함량 변화
Changes of the Constituents in the Rehmanniae Radix Preparata during Process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3 no.10, 2004년, pp.1748 - 1752  

이종기 (초당대학교 의약관리학과) ,  서정미 (광주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숙지황은 제조방법에 따라 각각 그 제조과정의 기준을 달리하고 있어 건지황을 증숙하는 횟수에 따라 5-HMF와 당류의 함량변화를 분석하여 어느 증숙단계가 바람직한지를 검토하고 그 외에 총질소, 조지방, 회분 등을 측정하였다. 건지황에서 는 5-HMF가 나타나지 않았고, 숙지황에서 증수(증수)에 따라 1증에서 6증까지 는 5-HMF의 함량이 서서히 증가하다가 7증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당류는 건지황에서 이당류인 sucrose와 단당류인 fructose 및 glucose가 함유되었으나 증숙과정을 거친 후(1증∼9증) sucrose가 나타나지 않았고, fructose와 glucose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총질소는 건지 황과 증숙과정 을 거 친 숙지 황에서 큰 변화가 없었으며, 조지방의 경우 증숙과정을 거치는 동안 서서히 감소하였다. 회분은 대한약전(제8개정)의 기준(6.0%이하)에 적합하였다. 숙지황의 품질관리를 위한 지표로서 5-HMF함량이 대한약전(제8개정)의 기준(0.1% 이상)에 적합한 증숙과정은 본 연구에서는 7증 이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숙지황은 그 제조방법에 따라 그 성상 및 성분의 함량이 변화하므로 제조기준으로서 증숙단계를 어느 한 단계로 규정하기보다는 지표성분인 5-HMF가 0.1% 이상인 제조과정이 어느 단계에 해당되는 것인지를 파악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the good processing in the Relunanniae Radix Preparata. The contents of the Relunanniae Radix and the Relunanniae Radix Preparata produced through different processes were analyzed in the 5-hydroxymethyl-2-furaldehyde (5-HMF), sugar, total nitrogen, crude lipid an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건지 황을 증숙하는 횟수에 따른 5-HMF 함량 및 당류의 변화를 분석하여 어느 증숙 단계가 바람직한지를 검토하고, 그 외에 총질소, 조지방과회분 등을 측정하여 보다 우수한 숙지황의 제조개발 및 유통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 1995. 본초학. 영림사, 서울. p 190-192, 580-581 

  2. 지형준, 이상인. 1998. 대한약전 및 대한약전외 한약규격주해(제2개정). 한국 메디칼인덱스사, 서울. p 341-342, 383-384, 562-563 

  3. 김재길, 초배근. 1995. 동양전통약물원색도감. 영림사, 서울. p 64 

  4. 이상인, 안덕균, 신민교, 노승현, 이영종, 김선희. 1986. 한약임상응용. 성보사, 서울. p 354-355 

  5. 정보섭, 신민교. 1998. 도해 향약(생약) 대사전. 영림사, 서울. p 906-909 

  6. Tomoda M, Miyamoto H, Shimizu N. 1994. Structural features and anti complementary activity of rehmannan SA, a polysaccharide from the root of Rehmannia glutinosa. Chem Pharm Bull 42: 1666-1668 

  7. Chen LZ, Feng XW, Zhou JH. 1995. Effects of Rehmannia glutinosa polysaccharide b on Tlymphocytes in mice bearing sarcoma 180. Chung Kuo Yao Li Hsueh Pao 16: 337- 340 

  8. Tomoda M, Miyamoto H, Shimizu N, Gonoda R, Ohara N. 1994. Characterization of two polysaccharides having activity on the reticuloendothelial system from the root of Rehmannia glutinosa. Chem Pharm Bull 42: 625-629 

  9. Tomoda M, Miyamoto H, Shimizu N, Gonoda R, Ohara N. 1994. Two acidic polysaccharides having reticuloendothelial system potentiating activity from the raw root of Rehmannia glutinosa. Biol Pharm Bull 17: 1456-1459 

  10. Liu ZY. 1984. Comparison of monosaccharide contents between the raw and prepared roorts of Rehmannia. Chung Yao Tung Pao 9: 17-18 

  11. Ni M, Bian B, Wang H. 1992. Constituents of the dry roots of Radix Rehmanniae Libosch. Chung Kuo Chung Yao Tsa Chih 17: 297-298 

  12. Bian B, Ni M, Wang H. 1991. Analysis and comparison of acidic constituents in petroleum ether soluble fraction of Radix Rehmanniae and its processed products. Chung Kuo Chung Yao Tsa Chih 16: 339-341 

  13. 원도희, 이해빈, 조필형, 홍남두, 장승엽, 조정희, 김혜주, 성낙선. 1991. 상용생약의 성분정량. 도서출판 성은, 서울. p 198- 217 

  14. Lee KS, Ze KR, Hong SP, Jeong JE, Lee SY, Park AK, Wi YM. 1990. Studies on the extraction quantities of the specific components of crude drug preparations based on prescription (Ⅳ) Studies on the analytical method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and its crude drug preparations. The Report of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7: 326-331 

  15. Hwang BY, Kim MS, Won DH, Kang SB, Lee SD, Jo JH, Kang SJ, Chi HJ, Choi WH, Ro JS, Lee KS. 1997.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Sukjiwhang. Chungbuk J Pharm Sci 12: 29-37 

  16.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약전분과회 편저. 2003. 대한약전 제8개정 해설서. 도서출판 신일상사, 서울. p 1166 

  17. Park NK, Kim SL, Hur HS, Park CH. 2002. Developmen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with new variety 'Jiwhang 1'. Kor J Intl Agri 14: 34-39 

  18. Moon SH, Lee YJ. 2001. Studies on the digestive function of Rehmanniae Radix produced by different processes. Kor J Herbology 16: 65-77 

  19. Hwang SY, Hwang BY, Choi WH, Jung HJ, Huh JD, Lee KS, Ro JS. 2001.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5 hydroxymethyl 2 furaldehyde in the Rehmanniae Radix Preparata samples at various processing stages. Kor J Pharmacogn 32: 116-120 

  20. Shih CK, Son YJ, Lee YJ. 1999. Changes in the carbohydrate contents of Rehmanniae Radix during processing. Kor J Herbology 14: 1-11 

  21. Hong SP, Kim YC, Kim KH, Park JH, Park MK. 1993. Characteristic component of Rehmanniae Radix Preparata compared to Rehmanniae Radix and Rehmanniae Radix Crudus. J Korean Soc Anal Sci 6: 401-404 

  22. Lee YJ. 1998. Studies on the constituents analysis for commercial Rehmanniae Radix Preparata. Kor J Herbology 13: 1-6 

  23. Lee JH, Koh JA, Hwang EY, Hong SP. 2002.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5 hydroxymethyl 2 furaldehyde from Rehmanniae Radix Preparata according to various processings. Kor J Herbology 17: 145-149 

  24. 人民衛生出版社編. 1990. 中華人民共和國 藥典. 北京. p 100- 101 

  25. 張隱菴, 葉天士, 陳修園 編. 1981. 本草三家合註. 성보출판사, 서울. 卷一 p 89 

  26. 新文豊出版公司 編. 1990. 新編中藥大辭典. 新文豊出版公司, 臺北. 下卷 p 2446 

  27.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2-24호. 2002. 식품공전(별책). 식품의약품안전청. p 34-35 

  28.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2-24호. 2002. 식품공전(별책). 식품의약품안전청. p 9-10 

  29.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2-24호. 2002. 식품공전(별책). 식품의약품안전청. p 20-21 

  30. 대한약사한약연구회 편. 1991. 한약학. 한국메디칼인덱스사, 서울. p 507-508 

  31. Germond JE, Philippossian G, Richli U, Bracco L, Arnaud MJ. 1987. Rapid and complete urinary elimination of [14C] 5 hydroxymethyl 2 furaldehyde administered orally or intravenously to rat. J Toxicol Environ Health 22: 79-89 

  32. Ulbricht RJ, Northup SJ, Thomas JA. 1984. A review of 5 hydroxymethylfurfural (HMF) in parenteral solutions. Fundam Appl Toxicol 4: 843-853 

  33. Wieslander AP, Andren AH, Nilsson Thorell C, Muscalu N, Kjellstrand PT, Rippe B. 1995. Are aldehydes in heat sterilized peritoneal dialysis fluids toxic in vitro? Perit Dial Int 15: 348-352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