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산후운동이 산욕부의 질수축압, 신체조성, 체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ostpartum Exercise on Pelvic Muscle Contracti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of the Postpartum Mother원문보기
Purpose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tpartum exercise on pressure of the pelvic muscle contracti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of postpartum mothers. Method: A nonequivalent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study was conducted. Fifty-two postpartum mothers(experimental g...
Purpose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tpartum exercise on pressure of the pelvic muscle contracti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of postpartum mothers. Method: A nonequivalent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study was conducted. Fifty-two postpartum mothers(experimental group, 26; control group, 26) admitted to a postpartum ward in a Busan mother-baby clinic were recruited. Data was analyzed using mean, $x^2$-test, and t-test by SPSS 10.0. Result: Body fat mass(t=-3.196. p= .002), body fat rate (t=-3.831, p= .000), and fat distribution(t=-3.026, p= .004) of body composi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ostpartum exercis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fter an 8 week exercise program, the pressure of the pelvic muscle contra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t=3.329, p=.002). In the change of physical fitness, grip strength of the hand, back muscle strength, and trunk flexion forward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ut trunk backward exten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t=1.950, p=.050). Conclusion: Postpartum exercise affects pelvic muscle contracti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of the postpartum mother.
Purpose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tpartum exercise on pressure of the pelvic muscle contracti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of postpartum mothers. Method: A nonequivalent 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study was conducted. Fifty-two postpartum mothers(experimental group, 26; control group, 26) admitted to a postpartum ward in a Busan mother-baby clinic were recruited. Data was analyzed using mean, $x^2$-test, and t-test by SPSS 10.0. Result: Body fat mass(t=-3.196. p= .002), body fat rate (t=-3.831, p= .000), and fat distribution(t=-3.026, p= .004) of body composit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postpartum exercis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fter an 8 week exercise program, the pressure of the pelvic muscle contrac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t=3.329, p=.002). In the change of physical fitness, grip strength of the hand, back muscle strength, and trunk flexion forward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ut trunk backward exten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t=1.950, p=.050). Conclusion: Postpartum exercise affects pelvic muscle contractio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of the postpartum moth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그러나 지금까지 산후운동에 관한 비디오 프로그램이 있으나 산욕 초기 산욕부의 신체변화 상태와 운동유형, 강도, 시간과는 무관하게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제공되었고 그와 관련된 연구도 매우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산욕기간에 산후 신체 회복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자가 간호 중재행위인 산후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산욕부에게 적용 후 그 효과를 검증하므로써 모성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산후 8주 동안 영상 매체를 이용하여 수행한 산후운동이 산욕부의 질수축압, 신체조성, 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산욕부의 산후운동의 효과를 보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를 하였다.
가설 설정
∙ 산후운동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산욕부의 질수축압이 높을 것이다.
∙ 산후운동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산욕부의 신체조성(체중, 체지방, 체지방율, 복부지방율, 무지방 체중)이 향상될 것이다.
∙ 산후운동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산욕부의 체력(악력, 배근력, 체전굴, 체후굴)이 향상될 것이다.
제 2 가설 “산후운동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산욕부의 신체조성(체중, 체지방, 체지방율, 복부지방율, 무지방체중)이 향상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는 [Table 4]과 같다.
제 1 가설 “산후운동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산욕부의 질수축압이 높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는 [Table 3]와 같다.
제안 방법
질수축압은 질회음근육 만을 수축했을 때의 수축압 정도를 압력계(Cordio Design PFx2, 2000, Australia)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으로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값의 범위는 0-12까지 이며 질수축압이 높을수록 수치가 높다.
신체조성은 전기 저항을 이용한 다주파수 생체전기 인피던스 분석 원리를 적용한 신체조성 분석기(In Body 2.0, 한국)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0은 부위별 생체 전기 저항법(Segmental Bioelectrical mpedance Analysis: SBIA)으로 다주파수(8점 접촉식 전극법: 8-point tactile electrodes system)를 사용한다. 이 신체조성 분석기는 체수분, 무기질, 단백질, 체중, 무지방체중, 근육량, 체지방, 체지방율, 복부지방율, 비만도 등의 신체 조성을 측정하며, 본 연구에서는 신체조성 중 체중, 체지방, 체지방율, 복부지방율, 무지방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기에 표시되는 값을 취한다.
(1) 악력측정
악력계(Grip Dynanometer, TKK 5101)을 이용하여 양발을 어깨 넓이로 벌린 다음 측정하는 손이 신체부위에 붙지 않도록 하여 3회 측정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값은 kg으로 표시한다.
배근력은 배근력계(Back & Leg Dynanometer, TKK 5102)에 양발을 올린 다음 허리를 약 35~40°굴곡시킨 상태에서 그립을 잡고 최대한 위로 당기는 힘을 측정하며 3회 측정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값은 kg으로 표시한다.
체후굴은 허리가 뒤쪽으로 얼마만큼 유연한가를 측정하는 것으로 과학기술처 공업진흥청에서 후원하는 한국 표준 연구소에서 제작한 줄자를 이용하여 엎드린 상태에서 마루에서 턱까지의 높이를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값은 cm로 표시한다.
임상 및 산후조리원에서 적용하고 있는 산후운동 프로그램, 시중에 나와 있는 산후운동에 관한 비디오와 산후체조에 관한 전문서적을 파악하여 내용을 분석한 후 산후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Lee, Kim, Ahn, & Cho, 2004). 산후운동 프로그램 비디오 테이프 개발을 위하여 예비조사, 문헌고찰, 임상 및 산후조리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운동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운동 유형에 따라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으며 체육학과 교수와 전문인에 의해 내용 및 구성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작성된 시나리오에 따라 산후운동 전문가가 직접 운동을 시행하였고, 비디오제작 전문업체에 의해 총 40분이 소요되는 비디오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제작 기간은 2000년 10월부터 2001년 1월까지 4개월이었다.
∙ 본 연구의 사전조사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산욕 3일에 대상자의 일반적 및 분만관련 특성에 관한 특성을 조사한 후에 신체조성(체중, 체지방, 체지방율, 복부지방율, 무지방체중)을 측정하였다. 질수축압과 체력은 산욕 3일에 통증으로 인해 측정이 불가하였으므로 산욕 2주에 산욕부의 체력이 어느 정도 회복하여 움직일 수 있고, 회음절개 부위의 통증이 거의 사라졌을 때 질수축압계를 삽입하여 측정하였으며 체력(악력, 배근력, 체전굴, 체후굴), 질수축압은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 본 연구의 사전조사는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산욕 3일에 대상자의 일반적 및 분만관련 특성에 관한 특성을 조사한 후에 신체조성(체중, 체지방, 체지방율, 복부지방율, 무지방체중)을 측정하였다. 질수축압과 체력은 산욕 3일에 통증으로 인해 측정이 불가하였으므로 산욕 2주에 산욕부의 체력이 어느 정도 회복하여 움직일 수 있고, 회음절개 부위의 통증이 거의 사라졌을 때 질수축압계를 삽입하여 측정하였으며 체력(악력, 배근력, 체전굴, 체후굴), 질수축압은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산후 1주까지는 1단계, 산후 2주에서 3주까지는 2단계, 산후 4주에서 8주까지는 3단계 운동을 시행하도록 하여 운동강도를 점차 높여주었다. 산후병동에 입원해 있는 2주간은 산욕부에게 본 연구자가 직접 운동하는 것을 지도하였고, 퇴원 후에는 대상자 개인별로 독립적으로 매일 오전 10시에서 11시에 비디오 테이프를 보면서 운동하도록 교육하였고, 주 2회 전화 및 가정방문을 통하여 계속적으로 운동을 독려하였다.
∙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산욕 3일부터 8주까지 매일 식사종류와 식사량을 기록하도록 하였고, 실험군에게는 매일 오전 10-11시에 운동 후 운동카드를 기록하도록 교육하였다.
∙ 본 연구의 사후조사는 산욕 8주후에 실험군과 대조군에게서 질수축압, 신체조성, 체력을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연구대상은 부산시내 일개 모자보건센터 산후병동에 입원한 산욕부 52명으로 선정기준에 적합하고,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할 것을 동의한 자를 선택하였으며 이 중 운동참여를 수락한자는 실험군으로, 운동참여를 원하지 않는 자는대조군으로 배정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선정 기준은 연령이 만 20세에서 만 35세이며, 2주 이상 산후 병동에서 산후조리를 받고자 입원한 자로서 임신 및 산후 합병증과 내과적 질병이 없고 정상 질식분만한 초산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작성된 시나리오에 따라 산후운동 전문가가 직접 운동을 시행하였고, 비디오제작 전문업체에 의해 총 40분이 소요되는 비디오 테이프를 제작하였다. 제작 기간은 2000년 10월부터 2001년 1월까지 4개월이었다.
데이터처리
∙ 대상자의 일반적 및 산후운동 관련특성은 백분율과 빈도,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정은 χ2-test와 t-test로 분석하였다.
∙ 실험군과 대조군의 실험 전후차에 대한 두 군간의 차이 비교는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산욕부를 대상으로 산후운동이 질수축압, 신체조성,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모성건강 증진에 기여하기 위함이며,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 일개 모자보건 센터 산후 병동에 입원한 산욕부 52명으로, 산후 8주 동안 실험군 26명 대조군 26명을 8주간의 산후운동을 실시한 후 질수축압, 신체조성, 체력을 보았으며 자료분석 방법은 SPSS 이용하여 x2-test, t-test를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In Body 2.0은 부위별 생체 전기 저항법(Segmental Bioelectrical mpedance Analysis: SBIA)으로 다주파수(8점 접촉식 전극법: 8-point tactile electrodes system)를 사용한다. 이 신체조성 분석기는 체수분, 무기질, 단백질, 체중, 무지방체중, 근육량, 체지방, 체지방율, 복부지방율, 비만도 등의 신체 조성을 측정하며, 본 연구에서는 신체조성 중 체중, 체지방, 체지방율, 복부지방율, 무지방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기에 표시되는 값을 취한다.
성능/효과
산후운동 프로그램 비디오 테이프 개발을 위하여 예비조사, 문헌고찰, 임상 및 산후조리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운동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운동 유형에 따라 시나리오를 작성하였으며 체육학과 교수와 전문인에 의해 내용 및 구성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질수축압 변화에 있어서 실험군은 실험전 평균 질수축압이 2.26±1.48에서 운동 실시 후 5.23±2.0으로 평균 2.96±1.2의 증가를 보였으며 대조군의 실험전 평균 질수축압은 2.07±1.2에서 8주후 3.76±2.0으로 평균 1.69±1.4로 실험군에서 더 큰 질 수축압의 증가를 보였다(t=3.329, p=.002)
체중 변화에 있어서, 실험군은 실험전 평균 체중(kg)이 60.92±5.2에서 운동 실시 후 53.34±11.6로 7.57±11.7의 감소를 보였으며, 대조군의 실험전 평균 체중(kg)은 63.21±6.9에서 8주 후 평균 체중이 58.33±5.4로 나타나 4.88±2.7의 감소를 보여 실험군이 더 많은 체중 감소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t=-1.139, p=.260).
체지방 변화에 있어서, 실험군은 실험 전 평균 체지방(kg) 이 16.03±3.0에서 운동 실시 후 14.31±3.0로 1.71±1.5의 감소를 보였으며, 대조군의 실험전 평균 체지방(kg)은 17.52±4.4에서 8주 후 평균 체지방이 17.12±3.7로 0.40±1.4의 감소를 보여 실험군에서 더 큰 체지방 감소를 보였다(t=-3.196, p=.002).
체지방율 변화에 있어서, 실험군은 실험전 평균 체지방율 (%)이 26.26±3.8에서 운동 실시 후 25.65±4.2로 0.61±2.3의 감소를 보였으나 대조군의 실험전 평균 체지방(%)은 27.41±4.3에서 8주 후 평균 체지방율이 29.13±4.4로 나타나 1.71±2.0의 증가를 보여 실험군에서 더 큰 체지방율 감소를 보였다(t=-3.831, p=.000).
복부지방율 변화에 있어서, 실험군은 실험전 평균 복부지방 율(%)이 0.82±0.02에서 8주 후 0.80±0.02로 0.02의 감소를 보였으나 대조군의 실험전 평균 복부지방율(%)은 0.83±0.04에서 8주 후 평균 복부지방율이 0.83±0.03으로 거의 변화가 없어 실험군에서 더 큰 복부지방율 감소를 보였다(t=-3.026, p= .004).
무지방체중 변화에 있어서, 실험군은 실험 전 평균 무지방 체중(kg)이 44.88±4.4에서 운동 실시 후 41.27±3.9로 3.61±2.0의 감소를 보였으나, 대조군의 실험전 평균 무지방체중(kg)은 45.66±3.5에서 8주 후 평균 무지방체중이 41.21±3.2로 나타나 4.45±2.4의 감소를 보여 실험군이 더 적은 무지방체중 감소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t=1.371, p=.176).
제 3 가설 “산후운동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산욕부의 체력(악력, 배근력, 체전굴, 체 후굴)이 증가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악력 변화에 있어서 실험군은 실험전 평균 악력(kg)이 18.90±5.9에서 운동 실시 후 23.98±9.5로 평균 5.08±8.6의 증가를 보였으며 대조군의 실험전 평균 악력(kg)은 19.86±5.2에서 8주 후 23.39±4.3으로 평균 3.53±3.6의 증가를 보여 실험 군이 다소 증가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t=.846, p=.402).
배근력 변화에 있어서, 실험군은 실험전 평균 배근력(kg)이 43.03±13.6에서 운동 실시 후 59.56±17.2로 평균 16.52±15.3 증가를 보였으며 대조군의 실험전 평균 배근력(kg)은 39.05±12.8에서 8주 후 50.75±14.1로 평균 11.70±9.5의 증가를 보여 실험군이 다소 증가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t=1.362, p=.180).
체전굴 변화에 있어서, 실험군은 실험전 평균 체전굴(cm)은-0.18±9.6에서 운동 실시 후 10.38±6.6으로 평균 10.56±6.6의 증가를 보였으며 대조군의 실험전 평균 체전굴(cm)은 -0.44±9.0에서 8주 후 6.88±7.0으로 평균 7.32±5.5의 증가를 보여 실험군이 다소 증가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t=-1.915, p=0.61).
체후굴 변화에 있어서, 실험군은 실험전 평균 체후굴(cm)은 27.88±6.1에서 31.00±5.5로 평균 3.11±3.3으로 증가를 보였으나 대조군의 실험전 평균 체후굴(cm)은 30.71±6.4에서 8주 후 30.71±6.4로 평균 0.67±5.4로 거의 증가를 보이지 않아 실험 군에서 더 큰 유연성을 보여 주었다(t=1.950, p=.050).
본 연구에서 산후운동을 8주간 실시한 후 산욕부의 질수축압, 신체조성, 체력의 효과를 보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간 변화를 측정한 결과 산욕부의 질수축압 변화에 있어서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출산시 외상은 질회음근육의 탄력성이 소실되고, 골반 이완이 발생하는 주요한 원인이고 합병증으로 요실금 증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서 질회음근육 운동은 질수축압을 높이는 행위임을 확인하였고, 산욕초기에 운동후 산욕부들이 오로 배출이 많았고 패드에 피덩어리가 나왔다고 호소하였으므로 본 산후운동이 산욕부의 질수축압 향상과 자궁수축을 증진시킴은 물론 요실금을 예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산욕부의 산후운동의 효과 중 신체조성에 있어서 체중과 무지방체중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다소 감소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체지방, 체지방율, 복부지방 율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더 많은 감소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본 연구 프로그램이 산욕부를 대상으로 구성되었으므로 운동 강도가 목표 심박수의 50-60% 정도였고 운동 시간도 산욕기 기간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산욕 4주부터 40분 정도의 운동을 시행하였기 때문에 체중감소나 무지방체중 증가의 효과를 많이 보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체지방, 체지방율, 복부지방율의 감소를 보인 것은 산욕 초기부터 저강도의 운동을 규칙적으로 매일 실시하여 체지방, 체지방율을 감소시켰고, 운동 유형도 복부 운동을 집중적으로 하도록 구성하여 산욕부들이 가장 염려하는 복부지방율을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이는 Bray(1983)가 운동이 체지방의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하였고, Girandola(1976)도 체지방의 감소를 위해서는 장기간의 낮은 강도의 유산소 운동이 요구된다고 보고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산욕부의 건강과 관련된 체력 요소 중 근력(악력, 배근력), 유연성(체전굴, 체후굴)을 측정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악력과 배근력, 체전굴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향상을 보였고, 체후굴은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시행한 산후운동이 스트레칭 위주로 구성되었고, 산후에 요통을 완화하고 신체 관절의 가동 범위를 산욕 초기부터 점차적으로 늘리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체력이 약화된 산욕부의 체력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운동을 하면 근력을 강화하고 유연성을 증가시키는데 좋은 효과가 있으리라 보여진다.
이상에서 본 연구 결과는 산후운동이 산욕부의 질수축압, 신체조성, 체력을 향상시켜주는 적절한 간호중재 방법이고 임상 및 산후조리원의 다양한 간호현장은 물론 집에서도 활용 가능하므로 간호실무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적용한 산후운동을 실시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질수축압이 높았고, 신체조성에 있어서는 체지방과 체지방율, 복부지방율의 감소를 보였다. 그리고 체력에 있어서도 체후굴에서 향상의 효과를 보여 자가 간호 중재방법으로서 임상 및 산후조리원의 다양한 간호현장은 물론 집에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후속연구
따라서 체중 감소나 무지방체중 증가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본 프로그램을 8주 이상으로 실시하면 더욱 효과가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적용한 산후운동을 실시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질수축압이 높았고, 신체조성에 있어서는 체지방과 체지방율, 복부지방율의 감소를 보였다. 그리고 체력에 있어서도 체후굴에서 향상의 효과를 보여 자가 간호 중재방법으로서 임상 및 산후조리원의 다양한 간호현장은 물론 집에서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