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압요법을 활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초기 산욕기 산모의 산후우울과 산후피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Depression and Fatigue among Early Postpartum Mother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5 no.2, 2019년, pp.91 - 102  

김소환 (경상대학교 병원) ,  성경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postpartum depression and fatigue among early postpartum mothers.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Forty early postpartum mothers were recruited from two postpartum car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압요법을 활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초기 산욕기 산모의 산후우울과 산후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초기 산욕기 산모의 산후우울과 산후피로를 중재하기 위해 이압요법을 활용한 간호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는 간호중재에 대체요법을 적용함으로써 대체간호 실무영역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가설 설정

  • 1) 제1가설 이압요법을 활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적용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산후우울 점수가 낮을 것이다.
  • 2) 제2가설 이압요법을 활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적용받은 실험군은 적용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산후피로 점수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압요법이 어떤 측면에서 효과적인 대체요법인가? 이압요법은 한의학의 이침요법을 근간으로 1999년 이압요법이라는 한방 간호중재술이 개발된 후 지금까지 다양한 대상자와 증상에 적용되어 그 효과를 인정받았으며, 귀를 자극함으로써 장기는 물론 신경, 골격, 근육 등 우리 몸 전체에 작용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 및 증진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7]. 이압요법은 재료와 기구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시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체요법으로[17]암환자, 노인 등의 우울과 피로에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15,16]. 또한 정서적 지지가 산모의 우울관리에 효과적이므로[18], 이를 반영하여 이압요법을 활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평가하는 것은 근거기반 대체간호의 중요한 연구가 될 수 있다.
산후피로란? 산후피로는 산모의 약 65∼80%가 출산 후에 겪는 피로감으로[9]불유쾌하게 인지되는 신체적, 정신 및 심리적, 신경 감각적인다차원적인 현상이다[10]. 대부분의 산모들은 분만직후 높은 수준의 피로감을 호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9], 이를 돌보지 않을 경우 피로감이 축적되어 산모의 회복이 지연되어 자녀양육및 가족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11].
출산후 산후피로나 우울감이 나타날 수 있는 이유는? 출산은 여성의 단순한 신체적 경험이 아니며 정신⋅사회적 상호작용과 인지과정에 영향을 주는 총체적인 경험으로, 여성은 출산을 통하여 신체적인 변화와 더불어 모성으로서의 새로운 역할이 주어지는 중요한 생의 전환기를 맞이하게 된다[1]. 따라서 정상적으로 분만 과정을 거친 산모라 할지라도 출산 후 변화된 신체와 새로운 역할에 대한 긴장 등으로 산후피로나 우울감이 나타날 수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ES, Oh JA. A study on the factors related to postpartum depression in postpartum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0;6(3):358-71. 

  2. Kim ME, Hur MH. Sleep quality, fatigue, and postpartum depression of mother in six months after deliver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4; 20(4):266-76. https://dx.doi.org/10.4069/kjwhn.2014.20.4.266 

  3. Righetti-Veltema M, Bousquet A, Manzano J. Impact of postpartum depressive symptoms on mother and her 18-month-old infant. Europ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003;12(2):75-83. http://dx.doi.org/10.1007/s00787-003-0311-9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study on the realities of postpartum care. 2018.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47424&page5 

  5. Boyd RC, Amsterdam JD. Mood disorders in women from adolescence to late life: An overview. Clinical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4;47(3):515-26. doi:10.1097/01.grf.0000129921.46497.ae 

  6. Dennis CL. Can we identify mothers at risk for postpartum depression in the immediate postpartum period using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4;78(2):163-9. https://doi.org/10.1016/S0165-0327(02)00299-9 

  7. Han KW, Kim MG, Park JM.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04;10(2):201-7. 

  8. Lee JW, Eo YS, Moon EH. Effects of self efficacy, body image and family support on postpartum depression in early postpartum moth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5;16(6):4011-20. https://doi.org/10.5762/KAIS.2015.16.6.4011 

  9. Pugh LC, Milligan RA. Patterns of fatigue during childbearing. Applied Nursing Research. 1995;8(3):140-3. https://doi.org/10.1016/S0897-1897(95)80593-1 

  10. Song JE. A comparative study on the level of postpartum women's fatigue between rooming-in and non rooming-in groups. Seoul: Yonsei University; 2001. pp.1-69. 

  11. Pugh LC, Milligan RA. A framework for the study of childbearing fatigu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93;15(4):60-70. https://psycnet.apa.org/doi/10.1097/00012272-199306000-00007 

  12. Choi SY, Gu HJ, Ryu EJ. Effects of fatigue and postpartum depression on maternal perceived quality of life (MAPP-QOL) in early postpartum mother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2):118-25. https://doi.org/10.4069/kjwhn.2011.17.2.118 

  13. Choi MS, Lee EJ. Effects of foot-reflexology massage on fatigue, stress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postpartum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4):587-94. http://dx.doi.org/10.4040/jkan.2015.45.4.587 

  14. Ko YL, Lin SC, Lin PC. Effect of auricular acupressure for postpartum insomnia: An uncontrolled clinical tria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6;25(3-4):332-9. http://doi.org/10.1111/jocn.13053 

  15. Kang MA. Effect of auricular acupressure on fatigue and depression in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8;14(4):229-39. http://doi.org/10.12811/kshsm.2018.12.4.229 

  16. Chang EK, Park HO.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musculoskeletal pain, depression and sleep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8;29(2):133-42. https://doi.org/10.12799/jkachn.2018.29.2.133 

  17. Lee JO, Kwon YS. Effects of auriculotherapy on sleep disorders in the elderly.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009;15(1):1-8. 

  18. Jo EM. The effects of the postpartum depression management program for primiparas. Gyeonggi: Ajou University; 2005. pp.1-66. 

  19. Cox JL, Holden JM, Sagovsky R. Detection of postnatal depression; Development of the 10- item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87;150:782-6. https://doi.org/10.1192/bjp.150.6.782 

  20. Kim JI. A validation study on the translated Korean version of the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6;12(3):204-9.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and Welfare Association. Cold prescription of mind (prenatal postpartum depression guidebook). Seoul: Changseong Culture; 2014. pp.1-53. 

  22. So JR. Ear reflexion therapy. Seoul: Truth inquity; 2003. pp.15-386. 

  23. Jo CS. Health society by auricular acupuncture. Anyang: Auricular Acupuncture Association; 2015. pp.11-389. http://echim.net/solbooks_5.php 

  24. Song JE, Chang SB, Son YJ. The influencing factors on postpartum fatigue in parturient wom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Adult Nursing. 2007;19(4):670-81. 

  25. Lee JY, Ju HO. Predictors of early postpartum depression in mothers of preterm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2):87-95. http://dx.doi.org/10.1053/adnc.2003.50013 

  26. Kwon HJ, Kim KH, Choi MH, Cho JY, Ahn YM, Kim KS. Effects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temperament of infant on child-care stress among mothers of newborn infa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1;17(2):69-73. https://doi.org/10.4094/jkachn.2011.17.2.69 

  27. Lee DJ. The effects of fatigue, postpartum family supports on postpartum depression in postpartum women. Busan: Kosin University; 2018: pp. 1-59. 

  28. Namkung YO, Yang HK, Cho YC. Relationship between women's postpartum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7;11(2):149-61. http://doi.org/10.21896/jksmch.2007.11. 2.149 

  29. Kim KS, Kam S, Lee WK.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social support, postpartum fatigue and parenting stress on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2;16(2):195-211. http://doi.org/10.21896/jksmch.2012.16.2.195 

  30. Youn JH, Jeong IS. Predi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2):225-35. http://doi.org/10.4040/jkan.2013.43.2.2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