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취업여성을 위한 보육정책의 특성과 과제
The Nature and Challenges of Childcare Policies for Working Mother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27 no.2, 2004년, pp.91 - 120  

유보경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마을연구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추진되고 있는 한국 보육정책의 특성을 분석한다. 우선 취업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기존 보육정책의 규정들은 무엇보다 성 평등의 관점에서 볼 때 불완전하다. 취업여성의 육아가 사회의 책임, 남녀공동의 책임이라는 인식에 못 미치고 있다. 둘째, 기존 보육정책은 일반적인 취업여성의 대리보육 지원을 표방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저소득층 영${\cdot}$유아, 영아보다는 유아에 대한 보육지원에 역점을 둠으로써 취업여성의 실제 보육수요를 충족하지 못한다. 셋째, 정부는 강제적 규정, 재정지원의 확대라는 조치들을 통해 취업여성의 보육을 지원하고 있으나 그 수준은 그렇게 강력하지 못하다. 넷째, 정책결과의 관점에서 볼 때, 그동안 보육시설은 상당한 정도로 증가하였으나 공공보육시설, 직장 보육시설의 비율은 매우 낮다. 육아휴직 정책 역시 전체적 이용률이 낮은 수준이며, 남성의 이용률은 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기업체 및 근로자의 보육실태에 대한 사례조사 결과에서도 취업여성의 육아부담은 여전히 매우 높으며, 특히 가족에 의한 대리보육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보육정책이 취업여성의 육아부담을 경감하여 고용평등을 제고하고, 출산율 향상을 도모하는 방안과 연계되기 위해서는 정책의 보완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주제어

참고문헌 (46)

  1. 강영욱(2002), '영유아 보육정책의 변천에 관한 사적고찰', 11: 293-333 

  2. 김승권 외(2002),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 김양희 . 김진희 . 박정윤(1996), '여성인력 확대 방안과 보육정책', 4: 127-147 

  4. 김엘림(1994), '남녀 평등실현을 위한 여성노동관계법의 정비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영옥(1998), , 한국여성개발원 

  6. 김정자(1998), '사회정책 분석모델에 관한 연구: 여성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7. 김정희(2000), '국공립 영아보육시설의 설치와 운영', , 한국아동학회 춘계 학술대회 자료집 

  8. 김종해(2003), '보육서비스 발전을 위한 합리적 선택을 위해', 참여연대사회 복지위원회 

  9. 김주숙(2000), '스웨덴의 부모보험제도와 여성의 경제활동', 40 

  10. 김진이(2001), '직장보육서비스 개선방안', 26: 113-125 

  11. 김태홍 . 김미경(2002), , 한국여성개발원 

  12. 나 정 등(2000), '유아학교 모형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3. 노동부, 해당년도 

  14. 노동부(2004), 노동부 웹사이트 http://www.molab.go.kr 

  15. 박수미(2002),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 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적 영향', 36(2): 145-177 

  16. 박숙자(2001), '한국 여성정책의 흐름과 쟁점' , 성신여자대학교, 2: 77-96 

  17. 박정선(1998), '영국, 미국, 독일의 아동보육 정책의 형성과 발달현황', 5: 63-96 

  18. 백경임 . 강희경(1995), '3세이하 자녀를 둔 취업모의 탁아실태와 탁아에 대한 죄책감', 33(6): 281-294 

  19. 백선희(2003), '사회복지 이념적 모형을 통해 본 김대중 정부의 아동보육 정책평가', 33: 23-47 

  20. 보건복지부(2003), 

  21. 보건복지부(2004), 보건복지부 웹사이트 http://www.mohw.go.kr 

  22. 보건복지부 . 노동부 . 여성부(2002), '보육사업 활성화 방안' 

  23. 여성부(2003a), 

  24. 여성부(2003b), 

  25. 유보경(2003), '한국의 여성고용확대 정책: 성격과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26. 유희정(1999), <수요자 입장에서 본 보육정책 평가에 관한 연구) , 한국여성개발원 

  27. 윤복남(2001), '직장 보육시설의 운영유형과 부모의 탁아만족 및 요구에 관한 연구', 4: 127-151 

  28. 이현송(1996), '가족의 생애주기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30(1): 759-778 

  29. 이혜경(1994), '사회주의 여권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 여성복지정책의 성격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장지연(2002), '산전후 휴가 . 육아휴직 관련실태 조사결과', http://ww.molab.go.kr 

  31. 장하진(1998), '여성정책의 발전적 방향 및 전망', , 공개대토론회 자료집, 한국여성유권자연맹 

  32. 장혜경 . 김혜경(2002), '가족의 변화에 따른 보육정책 방향', 보육정책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여성개발원 

  33. 전세경(1994), '도시 취업모의 탁아유형 실태에 관한 연구', 32(4): 135-148 

  34. 정연택(1998), '여성고용 지원사업의 현황과 전망', 충남대학교여성정책연구소, 남녀고용평등의 달 기념 심포지엄 

  35. 정혜선(1994), ' 모성보호정책의 현실과 대안', 5: 61-88 

  36. 조혜선(2002), '기혼여성 고용지위결정요인', 36(1): 145-172 

  37. 최경수 등(2003), , 서울: 한국개발연구원 

  38. 표갑수(1995), '현대사회에서 보육정책 발전방안', 1: 50-61 

  39. 표갑수(2002), '보육정책의 기본방향', 37(402): 8-11 

  40. 통계청(2001), , 서울: 통계청 

  41. 한국여성개발원(2002), ,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42. Choi, Moonkyung (1994), 'Lifetime Occupational Achievement of Female Workers: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 Ph. D. Dissertation, Department of Sociology, University of Chicago 

  43. Gillbert, N., H. Specht, and P. Terill (1993), Dimensions of SociaI Policy, 3rd Edition, New Jersey: Prentice Hall 

  44. Kamerman, S. (2000), 'Parental Leave Policies: An Essential Ingredi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olicies' ,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Social Policy Report 14(2): 3-15 

  45. Leira, A. (2003), 'Working Parents and the Welfare State' , Journal of Social Policy 32(2): 289-311 

  46. Linda, Hass (1992), Equal Parenthood and Social Policy: A Study of Parental Leave in Sweden, New York: New York University Pres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