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적인 생균제의 첨가가 돼지의 성장, 영양소 이용율, 혈중 요소태 질소 및 면역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tinuous Feeding of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Urea Nitrogen and Immune Responses in Pigs 원문보기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1, 2004년, pp.39 - 48  

길동용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  임종선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  전경철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  김법균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  김경수 ((주) OBT) ,  김유용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생균제의 지속적인 첨가에 의한 돼지에게 있어 성장능력, 영양소 소화율, 혈중 요소태 질소량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처리는 대조구, 대조구 사료에 0.1%의 생균제 첨가구(P-O.I), 대조구 사료에 0.2%의 생균제 첨가구 (P-0.2)로 하였다. 사양실험에서는 21 일령에 이유한 총 60마리 의 돼지(펑균 체중 6.17 $\pm$ 0.45 kg)를 공사하여 성별 빛 체중에 따라 난괴법에 의해서 배치하였다. 옥수수 대두박 위주의 실험사료에 전 기간에 걸쳐 항생제는 첨가하지 않고 생균제만을 처리별로 첨가하였다. 0${\sim}$8주간의 사양설험에서는 처리간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9${\sim}$20주에서는 P-O.I과 P-0.2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일당증체량이 증가하였으며 (P<0.05)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그 경향은 더욱 뚜렷하였다. 전체 사양 실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은 생균제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생균제에 의한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을 조사하기 위해 자돈기와 육성기에 두번에 결쳐 대사실험을 실시하였다. 자돈기(평균 체중 17.93 $\pm$ 1.45kg )에서는 건물, 조단백질, 조지방의 소화율이 P-O.I 과 P-0.2 생균제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P<0.05), 조회분의 소화율은 P-0.2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칼슐의 소화용은 P-0.2 처리구가 P-O.I 및 대조구에 비해 유의 하게 높았지만(P<0.05), 인의 소화율에서는 처리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소 축적율에서는 P-O.2와 P-O.1 생균제 처리구가 분내 질소 함량을 유의하게 낮추었으나( P<0.05), 뇨내 질소 함량 및 질소 축적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육성기(평균체중 41.80 $\pm$2.68kg)에서는 처리간 영양소 소화율 및 질소 축적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혈중 요소태 질소농도 및 혈액내 액혈구, IgG, IgA의 함량도 전 기간에 걸쳐 처리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을 통하여 사료내 지속적인 생균제의 첨가는 돼지의 성장과 영양소 소화율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tinuous feeding of probiotic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blood urea nitrogen(BUN) and immune responses in pigs. Treatments were 1) Control(basal diet), 2) P-O.l(basal diet + 0.1% probiotics) and 3) P-0.2(basal diet + 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생균제를 이유시부터 출하까지 전 기간에 걸친 장기간의 첨가효과를 검증한 실험은 거의 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돈의 이유 시기부터 출하시기까지 항생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은 양돈사료에 생균제를 첨가하여 장기적인 생균제의 급여에 따른 돼지의 성장 영양소 이용율, 현액내 요소태 질소농도 및 면역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생균제의 지속적인 첨가에 의한 돼지에게 있어 성장능력 영양소 소화율, 혈중 요소태 질소량 및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처리는 대조구, 대조구 사료에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ition.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s, D.C., U.S.A. 

  2. Baird. D. M. 1977. Probiotics help boost feed efficiency. Feedstuffs 49(Sept. 11):11. 

  3. Bloksma, N., Ettekoven, H., Hothuis, F. M., van Noorle-Jansen, L., De Reuver, M. J., Kreeflenberg, J. G. and Willers, J. M. 1981. Effects of Lactobacillus on parameters of non-specific resistance of mice. Med. Microbiol. Immunol. 170:45. 

  4. Brown, I., Warhurst, M., Arcot, J., Playne, M., Illman, R. J. and Topping, D. L. 1997. Fecal number of Bifidobacteria are higher in pigs fed Bifidobacterium longum with a high amylose cornstarch than with a low amylose cornstarch. J. Nutr. 127: 1822. 

  5. Chesson, A. 1993. Probioties and other intestinal mediators. In: D. J. A. Cole, J. Wiseman, and M. A. Varley(Ed.) Principles of Pig Science. Notthingham University Press, Loughborough, U. K pp. 197-214. 

  6. Collington, G. K., Parker, D. S., EJis, M. and Armstrong, D. G. 1988. The influence of probios or tyrosine on growth of pigs and development of gastrointestinal tract. Anim. Prod. 46:521(Abstr.) 

  7. Eggum, B. O. 1970. Blood urea measurement as a technique for assessing protein quality. Br. J. Nutr. 24:983. 

  8. Fuller, R. 1989. Probioties in man and animals. A Review. J. Appl, Bacteriol. 66:365. 

  9. Hale, O. M. and Newton, G. L. 1979. Effects of a nonviable Lactobacillus species fermentation product on performance of pigs. J. Anim. Sci. 48:770. 

  10. Jeon, B. S., Kwag, J. H., Yoo, Y. H., Cha, J. O. and Park, H. S. 1996. Effects of feeding enzyme, probioties or yucca powder on pig growth and odor-generating substances in feces. Kor. J. Anim. Sci. 38(1):52. 

  11. Kato, I., Yokokura, T. and Mutai, M. 1983. Macrophage activation by-Lactobacillus casei in mice. Microbiol. Immunol. 27:611. 

  12. Kornegay, E. T., Wood, C. M., Ball, G. G. and Risley, C. R. 1990. Use of Lactobacillus acidophillus for growing and finishing pigs. VA Polytech. lnst. State Univ. Anim. Sci. Res. Rep. 9:13. 

  13. Kornegay, E. T. and Risley, C. R. 1996. Nutrient digestibility of a com-soybean meal diet as influenced by Bacillus products fed to finishing swine. J. Anim. Sci. 74:799. 

  14. Lessard, M. and Brisson, G. J. 1987. Effect of a Lactobacillus fermentation product on growth, immune response and fecal enzyme activity in weaning pigs. Can. J. Anim. Sci. 67:509. 

  15. Mollgaard, H. 1946. On phytic, its importance in metabolism and its enzymic cleavage in bread supplemented with calcium. Biochem. J. 40:589. 

  16. NRC. 1998. Nutrient requirement of swine.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 C. 

  17. Pedigon, G., Nader de Macias, M. E., Alvarez, S., Oliver, G. and Pesce de Ruiz Holgado, A. A. 1987. Enhancement of immune response in mice fed with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Lactobacillus acidophillus. J. Diary Sci. 70:919. 

  18. Pedigon, G., Alvarez, S. and Pesce de Ruiz Holgado, A. A. 1991. Immunoadjuvant activity of oral Lactobacillus casei: influence of dose on the secretory immune response and protective capacity in intestinal infections. J. Dairy Res. 58:485 

  19. Pollman, D. S., Danielson, D. M. and Peo, E. R. 1980. Effects of microbial feed additives on performance of starter and growing-finishing pigs. J. Anim. Sci. 51:577. 

  20. SAS. 1985. SAS User's Guide: Statistics, SAS lnst, Inc., Cary, NC 

  21. Scheuermann, S. E. 1993. Effect of the probiotic pacitlor on energy and protein metabolism in growing pigs. Anim. Feed Sci. Techol. 41:181. 

  22. Xuan. Z. N., Kim. J. D., Heo, K. N., Jung. H. J., Lee. J. H., Han. Y. K., Kim. Y. Y. and Han. In K. 2001.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biotics complex for weaned pigs. Asian-Aust, J. Anim Sci. 14:1425. 

  23. 장영효, 김종근, 김홍중, 김원용, 김영배, 박용하. 2000. 자돈에 투여한 Lactobacillus reuteri BSA-131의 생균제 효과. Kor. J. Appl. Micro. Bio-technol. 2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