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림 활동이 문제 해결 과정에서 개념 이해, 해답 예측, 계산에 미치는 영향 : 속력과 밀도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stimation Activities on Understanding Concepts, Predicting and Calculating Answers in Problem Solving Procedure: Cases of Speed and Densit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4 no.5, 2004년, pp.814 - 824  

서정아 (동마중학교) ,  조광희 (서울대학교) ,  송진웅 (서울대학교) ,  박승재 (과학문화교육연구소)

초록

본 연구는 속력과 밀도 개념에 대하여 어림활동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문제 해결과정에 미친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례 분석을 통하여 어림활동이 밀도 문제 해결과정에 주는 영향을 미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1학년 남학생 192명이었다. 어림활동반의 세 명의 학생이 면담과 활동 녹취를 하였다. 연구 결과 어림활동과 측정활동이 모두 밀도 개념에 대한 정성적인 이해와 계산 능력에 도움을 주었으나, 계산 문제의 해답을 예측하는 능력은 어림활동반에서만 유의미하게 향상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어림활동은 학생들이 밀도의 관계식과 밀도 값을 경험세계와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으며 이와 같은 이해를 바탕으로 계산 문제의 해답을 예측하도록 도왔다. 그리고 계산 능력이 부족한 한 학생은 계산 문제를 정성적으로 이해하여 답이 어떻게 되어야 할지를 말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어림활동은 개념과 관련된 관계식이나 값들을 경험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해답을 예측하도록 하였으며, 수학적인 능력이 부족한 학생이 계산 문제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article presents the effects of estimation activities related to speed and density on students' concept-understanding, answer-prediction, and answer-calculation in problem solving procedure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Participants were one hundred and ninety two seventh grader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일반적인 형태의 주관식 문항이며, 계산 과정과 해답을 모두 점수에 반영하였다. 이 문항을 통하여 해답의 예측과 계산 능력 사이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어림 능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 학습 현장에서 정량적으로 다루어지는 속력과 밀도 개념에 대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어림활동과 측정활동을 각각 실시한 후,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개념 이해, 해답예측, 계산 능력에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 접근 방식으로 연구를 시도하였다.
  • , 1988; 장병기, 1994). 이와 같은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학생들이 문제를 풀 때 자신이 예측한 결과와 계산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았다. 지필 검사에 참여한 전체 17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밀도에 대한 예측 2번 문항(Fig.
  • 생각의 과정도 점수에 반영하였는데, 만일 학생들이 지하철의 속력이나 은과 금의 밀도를 실제와 다르게 어림하여 반대의 결과가 나왔더라도, 과정이 타당하고 합리적이면 옳은 답으로 간주하였다. 이와 같은 문항을 통하여 계산 문제를 접하였을 때 학생들이 풀이 과정을 예측하는 능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도 크게 두 가지 형식이다. 지필 검 사지를 통하여 전체적인 경향성을 파악하고, 학생들의 활동 중 대화 내용과 사전 사후 면담을 근거로 어림 활동 후에 나타난 변화를 미시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옥경(199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분수 개념 이해및 분수 수업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서정아, 박승재(2003). 중학생의 속력과 밀도에 대한 어림 및 측정 활동이 관련 사항 이해와 능력 함양에 미치는 영향. 새물리, 46(6), 305-313 

  3. 서정아, 조광희, 박승재 (2003). 중학생의 물리량에 대한차수 어림 능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29-238 

  4. 송진웅, 김혜선(2001). 기본물리량 어림의 정확성 및 방법에 대한 탐색. 한국과학교육화회지, 21(1), 76-88 

  5. 장병기(1994). 그림자 현상에 대한 학생의 생각과 제시된 증거 유형에 따른 추론 방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홍미영, 박윤배(1995). 문제의 특성에 따른 대학생들의 화학 문제해결 과정의 차이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80-91 

  7. Andrade, E. N. da C.(1964). Rutherford and the nature of the atom. 안운선(역). 전파과학사: 서울 

  8. Crane, H. R(1969). Problems for introductory physics. The Physics Teacher, 7, 371-378 

  9. Fortgang, A.(1995). The triangle of science. The Science Teacher, 62(1), 32-36 

  10. Hacking, I.(1983). Representing and Intervening:Introductory Topics in the Philosophy of Natural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Y, 233-245 

  11. Kuhn, D., Amsel, E., O' Loughlin, M.(1988).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Skills. Academic Press: CA 

  12. Larkin, J. H.(1979). Processing information for effective problem solving. Engineering Education, 70(3), 285-288 

  13. Larkin, J. H.(1980). Teaching problem solving in physics: The psychological laboratory and the practical classroom. In D. T. Tuma & F. Reif (Eds.) Problem Solving and Education: Issues in Teaching and Research. Wiley: NY, 111-125 

  14. Lobato, J. E.(1993). Making connections with estimation. Arithmetic Teacher, 40(6), 347-351 

  15. Mandell, A.(1980). Problem solving strategies of sixth-grade students who are superior problem solvers. Science Education, 64(2), 203-211 

  16. McMillan, C.III & Swadener, M.(1991). Novice use of qualitative versus quantitative problem solving in electrosta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8(8), 661-670 

  17. Micklo, S. (1999). Estimation: it's more than a guess. Childhood Education, 75(3), 142-145 

  18. PSSC(1965). PSSC Physics. PSSC 번역위원회(역). 탐구당: 서울, 7 

  19. Rogers, E. M.(1960). Physics for the inquiring mind:the methods, nature, and philosophy of physical sci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NJ 

  20. Schofield, B.(1989). Use of apparatus and measuring instruments. Assessment of Performance Unit. Science at Age 13: A Review of APU Survey findgings 1980-84. Her Majesty's Stationary Office: London, 55-71 

  21. Wilson, J. T.(1973).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s of generating hunches upon subsequent search activities in problem-solving situations. Paper presented at the 46th annual meeting of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0790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