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적 연구능력을 통해 본 영재학생에 대한 재고: 실험설계검사를 통하여
Rethinking the High Ability Students to Foster Their Scientific Research Skill: Through an Experimental Designing Test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5 no.8, 2004년, pp.674 - 683  

박종욱 (청주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  정현철 (한국교육개발원) ,  허남영 (한국교육개발원) ,  신명경 (청주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연구를 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다. 과학영재아들로 하여금 본연의 과학연구능력을 개발하고 구현하도록 하는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영재교육의 목표이다. 여기서 과학연구능력이라고 할 때 과학연구의 요소는 무엇인가 살펴볼 필요가 생기며 하나의 과학연구가 존재하기 보다는 다양한 연구밥법이 공존한다는 입장이 더 설득력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능력의 다양한 측면과 특성을 알아보는 탐색연구이며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서 과학과정 능력 중 실험설계능력에 초점을 맞추었다. 물론 연구능력이라고 할 때에는 문제발견, 과학지식, 자아통찰 등 다양한 영역이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설계능력을 보기 위해 1990년 Fowler가 개발한 Diet Cola Test를 국내의 학생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전국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생 중 총 705명의 초등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연구대상이 되었으며 과학교육분야에서의 문제중심학습과 창의적 사고력이라는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자료를 해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more than one way to conduct scientific research. In addressing the concern for educating the gifted in science towards achieving objectives of fostering their research skill, its elements need be explored and discussed by first admitting that various methodologies and features coexist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is paper will depict how the gifted in science design their own experiments to solve a given science related problem. It is popularly assumed that the gifted are good in making something very creatively.

가설 설정

  • Put all of four boxes in cool and dark place. 3. Don't sill the soil in the box. 4.
  • 4): item 1, 2, 3, 5, 7, 10 and a total score of 14 items. My expectation was the metropolitan city group of students will work better than the middle sized city group. The results however showed the opposit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dams, C.M., and Callahan, C.M., 1995,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performance task for evaluating science process skills. Gifted Quarterly, 39 (1), 14-20 

  2. Amabile, T.M., 1987, The motivation to be creative. In S.G. Isaken (ed.) Frontiers of creativity Research: Beyond the Basics (Buffalo, NY: Bearly) pp. 223-254 

  3. Billington, H.L., 1997, Poster presentations and peer assessment: novel forms of evaluation and assess.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31 (3), 218-220 

  4. Chein, M.F., 1982, Creative thinking abilities of gifted children in Taiwan (Chinese). Bulletin of Education Psychology, 15, 97-110 

  5. Cohen, I.B., 2000, The impact of science on society. Science Teacher, 67(5), 25-27 

  6. Feldhusen, J.F., 1995, Creativity: A knowledge base, metacognitive skill, and personality factor.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9, 255-268 

  7. Finlay, C.S., and Lumsden. C.J., 1988, The creative mind: toward an evolutionary theory of discovery and Innovation. Journal of Social and Biological Structures, 11, 3-55 

  8. Fowler, M., 1990, The diet cola test. Science Scope, 13 (3), 32-34 

  9. Friedlander, M., 1983, A natural science creativity test as a prediction of creative thinking in science. The Creative Child and Adult Quarterly, 8 (4), 211-215 

  10. Gallagher, S.A., William, S.J., and Rosenthal, H., 1992, The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Gifted Child Quarterly, 36 (4), 195-200 

  11. Hu, W., and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 (4), 389-403 

  12. Jung, H.C. et al., 2002, Development of programs to enhance the scientific creativity-based on theory and examples,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3(4), 334-348 

  13. Lubart, T.I., 1994, Creativity. In R.J. Sternberg(ed.)Thinking and Problem Solving (London: Academic Press), pp. 289-332 

  14. Lunetta, V., and Tamir, P., 1989, Matching lab activities with teaching goals. The Science Teacher, 46 (5), 22-24 

  15. Molitor, L.L., 1976, Development of a test of science process skil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3 (5), 405-412 

  16. Ochanji, M., 2000, Rethinking the role of the science teacher. The Science Teacher, 67 (5), 24 

  17. Park, K.H., 2004, Development of the scientific creativity test and analysis of gifted in science students' brain functions, Unpublished Ph.D. Thesis.: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8. Simonton, D.K., 1983, Formal education, eminence and dogmatism: the curvilinear relationship.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7, 149-162 

  19. Sternberg, R.J., and Lubart, T.I., 1991, An invest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4, 1-31 

  20. Stevens, R.J., and Slavin, R.E., 1995, The cooperative elementary school: effects on students' achievement and Attitud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2 (2), 321-351 

  21. Taylor, I.A., and Getzels, J.W., 1975, Perspectives in creativity. Aldine Publishing Company, Chicago 

  22. Torrance, E.P., 1962, Guiding creative talent. Engl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23. Torrance, E.P., 1990,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Beaco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s 

  24. Welsch, P. K., 1981, The nurturance of creative behavior in educational environments: A comprehensive curriculum approach.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1 (9), 3870A (University Microfilms No. 81-064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